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新 장터기행] 장흥 탐진강변 풍물시장 봄나물 같은 사람들이 당신을 부릅니다
[新 장터기행] 장흥 탐진강변 풍물시장 봄나물 같은 사람들이 당신을 부릅니다
  • 이현동 객원기자
  • 승인 2007.0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장흥 탐진강변 풍물시장인 정남진장흥토요시장.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여행스케치=장흥] 또닥또닥 지팡이 할아버지도, 툭툭 허리 치는 할머니도, 뚜벅뚜벅 걸음걸이 아저씨도, 싱글벙글 허리 굵은 아주머니도, 사뿐사뿐 잘 빠진 아가씨도, 절뚝절뚝 다리 불편한 사람도, 방글방글 빵모자 아이들도…. 없는 것이 없다는 시장에는 없는 사람도 없는데, 뭐 때문인지 시장으로 향하는 사람들 얼굴에는 추운 날임에도 모락모락 웃음이 피어오른다.

나주 영산포 홍어시장, 함평 학다리 우시장과 더불어 전남의 3대 시장으로 꼽히는 장흥시장에 토요풍물시장이 들어선 것이 2005년 7월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찬란하던 시장이 서서히 퇴락한 시골장으로 변해버렸다. 이에 장흥군청과 상인들이 부흥의 기치를 내걸고 새로이 건물도 짓고 먹을거리뿐만 아니라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다양하게 가미하여 과거의 5일장이 아닌 토요일에만 열리는 토요풍물시장으로 거듭난 것이다.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토요시장에서 나물 등을 파는 상인들.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물론 기존의 5일장 또한 그대로 명맥을 유지하면서 말이다. 그러고 보면 2, 7일 5일장이 토요일인 경우는 5일장과 토요풍물시장이 함께 열려 그야말로 떠들썩한 시장이 되는 것이다. 장흥 5일장은 주로 생필품이 필요한 장흥 관내 사람들이, 토요풍물시장은 주로 장터의 향수를 즐기며 장흥의 특산품을 사가는 관광객들이 많다.

장흥읍 탐진강변의 넓은 주차장, 강의 이쪽과 저쪽, 깊지 않은 강물 위에 줄배가 덩그렇게 놓여있다. 겨울이라 별로 사람들 손길이 닿지 않는데, 외지에서 온 몇 명이 모여 줄배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하다 자기가 더 줄을 잘 끈다며 자랑하다 결국 누군가 배의 줄을 당긴다. 시장으로 가는 추억의 줄배, 막걸리 한잔 기울인 듯 노래 한 소절 흐른다. 탐진강에서 난데없는 낙동강이다. “낙동강 강바람에~.”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깔끔하게 새로 지은 상설시장.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공연을 기다리는 사람들.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연탄난로가 최고.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강바람 맞으며 강을 건너 토요풍물시장으로 들어선다. 오전 10시부터 개장이라고 하지만 아직까지는 조용하다. 토요시장은 남쪽에서부터 민속광장과 재래시장, 상설시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민속광장에서는 하루 2회 공연이 펼쳐지는데 오전 11시와 오후 2시 30분이다.
시각이 다 되어가면서부터 사람들이 삼삼오오 공연장으로 모여든다. 10여장 연탄을 넣은 대형 난로가 3개 정도 마련되어 있고 그 주변으로 내외하듯 한쪽에는 할아버지들이, 한쪽에는 할머니들이 손을 펴 불을 쪼이며 곧 시작될 공연을 기다리고 있다. 햇볕 잘 들고 바람 들지 않는 곳으로는 이미 사람들이 꽤 모여 자리를 잡았다. 

이 공연은 그동안 각설이, 엿장수 공연, 줄타기, 관광객 노래자랑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였는데, 아예 출근부를 찍는 사람들도 많이 생겨났다고 한다. 한 할아버지는 토요일만 되면 그냥 공연만 보러 온다고 한다.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상설시장 내 수산물 코너.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할머니 난장의 할머니표 특산품들.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공연이 시작되자 온 시장에서 사람들이 모여든다. 하지만 이 공연장이 가장 인기 좋은 것은 아니다. 토요시장의 가장 큰 인기는 바로 장흥 한우고기이다. 11시 공연이 시작되기 전부터 하루 종일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 인근 목포에서 광주에서 순천에서, 멀리 경남에서, 전북에서, 서울에서도 와서 사간다는 장흥 한우. 공연장 바로 곁에 3곳에서 한우 600g 한 근을 1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이 고기를 시장 내 지정된 식당에 가서 6,000원을 주면 구워먹을 수도 있는데 결국 1만6,000원이면 4명 정도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셈이다.

공연이 끝나면 점심시간이 된다. 사람들은 공연장(민속광장)에서 재래시장쪽으로 대이동을 한다. 30년 전통의 한라국밥집, 반찬이 10여 가지도 넘는 2,000원 하는 연지보리밥집, 메뉴도 다양한 특히 할머니동동주가 일품인 백광주막촌, 돈이 좀 넉넉하다면 10여 가지 한방재료가 들어간 족발의 명가 정가네 족발집, 사람들은 추운 겨울을 한 끼 밥으로 때우고 있었다. 

한 테이블의 4자리에 빈자리만 있으면 아무나 와서 같이 먹는다. 난장판 같아도 잘 어우러지는 곳이 바로 장터다. 시장 한쪽에서는 이미 개장과 더불어 술 한 잔 드시는 사람들도 있다. 시장에서 뼈가 굵은 사람들인지, 세상에 한이 많은 사람들인지, 세상을 술잔으로 인생을 마신다. 대낮부터 너무 마신다며 말리는 말이 “낮술에 취해블믄 지 애비도 못알아분당께” 한바탕 웃음이 터진다.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장흥 토요시장에서 인기있는 단돈 2000원 하는 연지 보리밥.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추억의 줄배를 타고 토요시장 가세. 줄배는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2007년 1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토요시장의 명물인 ‘할머니난장’ 너머로 추억도 아련한 참빗을 파는 곳도 있고 시장의 또 다른 명물 뻥튀기도 있다. “뻥이요~” 우렁찬 아저씨의 목소리와 함께 터지는 뻥튀기, 지나는 사람도 그 소리에 놀랄 일인데, 이제 아저씨의 “뻥이요” 소리에 놀라는 사람은 없다. 아저씨도 시장을 떠날 때를 기다리는 걸까? 느릿느릿 돌아가는 뻥튀기가 느릿느릿 흘러가기를 바라는 아저씨 마음같다. 한때 자신의 목소리가 이 뻥튀기보다 더 컸다고, 시장을 울리고도 남았다고 하시는데….

도자기 체험장에 들렀다가 중요무형문화재 91호 이수자 하재만씨와 만나게 되는 행운을 얻었다. 사실 여행길에 만나는 한사람 한사람도 일상에서 일 때문에 만나는 인연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모두가 소중하거늘! 날도 춥고 별로 찾는 사람들이 없는데도 시장까지 나와서 종일 자리를 지키며 사람들을 웃음으로 대하는 모습, 나는 이 시장판에서 또 다른 삶의 모습을 발견한다.

두런두런 이야기 끝에 다음에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한다. 이 약속이 아니더라도 또 다시 장흥 토요시장을 찾을 것이다. 시장에는 다만 물품만 있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그대 봄이 오면 봄나물 지천일 장흥 토요시장으로 한번 가보시오. 봄나물 같은 사람들이 그대를 기다리고 있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