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오지마을 트레킹] 청정 계곡으로 소문난 삼척 풍곡리 덕풍마을 죽기 전에 가봐야 할 용소골 가는 길
[오지마을 트레킹] 청정 계곡으로 소문난 삼척 풍곡리 덕풍마을 죽기 전에 가봐야 할 용소골 가는 길
  • 박지영 기자
  • 승인 2007.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삼척의 덕풍계곡 풍경.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여행스케치=삼척] 계곡물 좋기로 정평이 나 있는 삼척의 덕풍계곡은 그 길이가 무려 14km나 된다. 풍곡리에서 덕풍마을까지 이어진 6km의 계곡에는 여름이면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지만, 정작 아름다운 곳은 험하다고 소문난 덕풍마을에서 응봉산까지 이어지는 물줄기이다. 길이 워낙 험해 119구조대원도 오르기 힘들다는 이 구간을 마을 주민을 따라 트레킹에 나섰다.  

강원도 삼척과 경북 울진의 경계에 있는 응봉산(998.5m)에는 꼭꼭 숨겨진 비경 지대가 있다.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크고 작은 소와 문지골, 용소골, 보리골 등의 계곡인데 아무에게나 그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적어도 산에서 1박 이상은 해야 제대로 볼 수 있다. 그 중 일부 전문 산악인들에게만 그 비경을 공개했다는 덕풍계곡에서부터 용소골까지의 12km 구간은 다녀간 사람들이 금강산의 내금강이 부럽지 않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는 곳이다. 그말을 듣고 ‘겁도 없이’ 한 번 찾아가보기로 했다.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이름마저 계곡이 풍부하다는 뜻이 담긴 풍곡리 덕풍마을의 전경.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이 도로가 쿵덕쿵이 도로래요~, 엉덩이가 쿵덕쿵 하지 않아요?” 마을회관이 있는 아랫 덕풍마을에서 비포장도로를 따라 4km 들어가면 응봉산 중턱의 윗 덕풍마을에 도착한다. 트레킹을 할 계획이 아니라면 옥빛 맑은 물이 흐르는 이 4km 구간에서 실컷 놀고 싶을 정도로 물이 맑고 주변이 깨끗하다. 비교적 수심이 낮고 판판한 암석과 모래가 많아 어린아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놀기에 적당하다. 청정 1급수라 산천어, 버들치, 피라미 등이 많이 잡혀 플라이 낚시를 하는 이들이 드문드문 찾아온단다.

아랫마을에서 2km 지점까지는 휴대폰이 수신되지만 그 이상은 전화도 불통이다. 1968년에 북에서 120명이 남침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이 있었는데 사람이 자주 다니지 않는 이 부근에 나타나 주민들의 신고로 붙잡힌 적도 있다. 그 정도로 오지다. 

위쪽 덕풍마을은 13가구가 사는데 그 중 절반이 민박집과 음식점을 함께 운영한다. 청정한 계곡과 깨끗한 산자락에 자리한 마을이라 2년 전만 해도 오지마을로 불렸다. 하지만 태풍 루사와 매미가 연달아 마을을 덮치면서 다리도 새로 놓고 대부분의 집들을 전원주택처럼 새로 지어 오지라고 불리기엔 조금 넘치는 듯하다. 

덕풍계곡을 한번 다녀간 사람들은 해를 거르지 않고 꼭 다시 찾는다는데 깨끗하게 보존된 청정 자연에 동네 인심이 좋은 것이 첫째 이유요, 이곳에서 차로 40분이면 동해의 호산해수욕장에 갈 수 있다는 것이 두 번째 이유다. 피서객들은 대부분 낮에는 해수욕장에서 실컷 놀다가 회도 먹고 저녁에는 시원한 덕풍계곡에 와서  며칠씩 쉬고 간단다. 성수기에는 바가지를 씌우기 일쑤인 해수욕장에 비해 민박이 저렴한 것도 피서객들이 즐겨찾는 이유다.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그 어떤 맛과도 비교할 수 없는 강원도의 보리밥.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돌아오는 길에 발이 미끄러져 위험한 고비를 넘겼다. 생명의 밧줄.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피서객들을 위해 집들을 분주하게 단장 중인 윗 덕풍마을을 지나면 용소골로 들어가는 본격적인 응봉산 계곡 트레킹이 시작된다. 초반에 흙길을 걸을 때까진 날씨도 청명하고 좋은데 마을 사람들이 ‘개구리 엉덩이’라 부르는 편편한 계곡을 지나고부터 흙길이 사라진다. 구불구불 이어진 길은 더 이상 길이 아닌 암반이다. 

장화를 신은 덕풍마을의 반장 이희철 씨가 동행을 해주셨다. 수없이 다녀 험준한 지형에 익숙한 그는 가던 중에 길이 사라지면 첨벙첨벙 계곡으로 뛰어들어 건너편으로 넘어가길 수차례 반복한다. 등산화를 신은 나는 그때마다 신발 벗고 바지 걷고 놓여 있는 징검돌을 따라 조심스레 건넌다. 하지만 들어갈수록 수심이 깊어져서 함부로 계곡을 건널 수가 없다. 푹 파인 암반의 깊이만큼 시커멓게 보이는 물이 요동친다. “그 험한 데를 어떻게 가려고…”하며 걱정하던 마을 아주머니의 표정이 생각나는 순간이다. 

한 시간 조금 못 돼서 1용소에 닿았다. 1용소를 코앞에 두고는 길도 없다. 그저 암벽에 달랑 밧줄이 결처져 있을 뿐이다. 수심 30~40m의 계곡물을 보며 밧줄을 힘껏 잡았다. 밧줄에 몸을 지탱하며 모퉁이를 지나니 웅장한 협곡이 눈앞에 펼쳐진다. ‘콰르르 콰르르~’ 시원한 물줄기가 쏟아지는데 그 기에 넋이 빠질 정도다.

1용소가 이 정도라면 용소골 트레킹의 하이라이트라는 3용소는 어떤 모습일까. 자못 궁금해진다. 다시 2용소를 향해 길을 재촉한다. 2용소부터는 길이 더 험해진다. 그러다 2용소 직전에 있는 ‘처녀소’에서 정점을 이룬다. 암반 밑으로 뻥 뚫린 구멍이 속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시커멓게 비치는데 그 모습이 처녀의 뒷모습 같다고 해서 ‘처녀소’ 라고 불린다.

처녀소를 가운데 두고 거대한 병풍처럼 수직 절벽의 붉은 암벽이 양쪽을 둘러쌓았다. 울진 통리협곡에 맞먹는 거대한 높이다. 마치 그랜드캐니언처럼 강물의 침식 작용이 빚어낸 협곡 같은 느낌을 준다. 그러고 보니 3용소를 지나면 울진의 불영계곡과 이어진다는데 지질학자들 사이에서 ‘한국의 그랜드캐니언’으로 불리는 울진의 통리협곡과 쌍벽을 이루는 곳이 이곳이 아닌가 싶다.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깊이를 알 수 없는 협곡.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덕풍마을의 자율 구조대. 2007년 6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땅은 암반이요, 산은 절벽과 협곡으로 지형이 워낙 험하다 보니 트레킹을 하러 왔다가 길을 잃고 헤매는 사람들이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휴대폰도 터지지 않는 곳이라 사고 발생 위험이 높단다. 험악한 지형탓에 119 구조대원들의 구조율이 낮자, 지형에 익숙한 지역 주민들이 나서서 ‘자율구조대’를 결성했을 정도다. 

구조대의 애환을 묻자 이희철 씨가 일화를 털어놓는다. 서울의 70대 노인이 용소골이 그렇게 좋다는데 한 번 가보고 죽었으면 소원이 없다면서 사위와 아들의 만류에도 이곳을 찾아왔단다. 그러다 유일하게 휴대폰이 터진다는 응봉산 정상에서 잘 도착했다는 말을 남기고 소식이 끊겼다. 마을의 자율구조대원 중 이희철 씨와 다른 한 분이 구조에 나서서 일대를 수색한 끝에 용소골에서 간신히 발견했다. 이미 싸늘하게 식은 노인의 시신 옆에는 ‘나는 체온이 떨어져서 여기서 죽는다. 가지 말라고 말렸던 덕구온천 민박집 아주머니에게 미안하다고 전해 달라’ 는 쪽지가 있었다고 한다. 

도대체 용소골이 얼마나 좋다고 들었으면 주변에서 그렇게 말리는 이곳을 보려고 찾아왔을까. 호기심과 무서운 마음이 덜컥 드는데 때마침 하늘에선 비를 뿌린다. “비 오면 당장 나가야 해요. 이끼 때문에 바위가 미끄럽거든요.” 2용소에서 3용소까지 가려면 내 걸음으로 앞으로 5시간은 더 가야 한다는 말에 지레 포기가 됐다. 아쉽지만 다음엔 단단하게 준비를 하고 죽을 만큼 좋다는 용소골에 꼭 도전해 볼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