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문화여행] 부암동 골목 한켠 환기미술관 
[문화여행] 부암동 골목 한켠 환기미술관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7.08.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환기미술관의 외관.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서울] 전에 없이 미술 시장이 팽창했다는 둥, 누구의 작품이 최고 경매가를 기록하였다는 둥의 얘기가 심심치 않게 들리고 해외 유명 작가의 작품 전시회가 연일 북적인다. 그러나 부암동 골목에 자리 잡은 환기미술관은 그런 세간의 소란스러움이 거짓말이 아닌가 싶게 고즈넉하기만 하다. 

오랜만에 보는 정겨운 방앗간 간판이며, 좁은 골목길을 따라 내려가자니 옛날 어릴 적 살던 옛 동네가 떠오른다. 그때는 아파트라 해도 고작 5,6층짜리가 주류였고 대부분은 이런 골목을 사이에 두고 담과 담을 맞댄 양옥집에서 살았다.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각 전시실은 둥근 고리 모양으로 동선을 배려했다.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가 김환기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환기미술관’은 그런 옛 정취가 물씬 풍기는 부암동 주택가 한켠에 자리하고 있다. 미술관이 이곳에 자리잡게 된 것이 화가가 살았던 성북동 동네의 정취가 남아 있기 때문이라는데, 그 소탈한 면모 덕분에 모처럼 관람객들은 추억에 한껏 들뜨게 된다. 메인 디시에 앞서 식욕을 자극하는 아페리티프(식전주)처럼 어쩌면 이것조차 갤러리에 들어서기 전에 마음을 새로이 다지라는-눈에 보이지 않는-의도였을까. 

미술관은 생전에 화가와 미국에서 친분을 맺었던 재미 건축가 우규승 선생의 설계로, 한국적 정취를 살리는 화강암을 기조로 하여 단순하지만 힘이 느껴진다. 이곳은 단순히 미술관의 성격을 넘어서 생활유품과 편지, 사진 자료 등이 함께 전시되어 개인적인 면모를 함께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훨씬 즐겁다.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생전의 모습을 표현한 스케치.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3층에 전시된 콜라주 작품들.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누군가가 화가 김환기의 인생을 ‘버림의 삶’이라 표현했는데, 이는 그가 매번 안락한 기득권을 외면하고 항상 힘들고 피나는 길을 선택하여 걸어간 때문이다. 지주의 외동아들로 태어났음에도 미술 공부는 절대 안 된다는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몰래 일본으로 도항하여 힘든 고학생으로 공부했던 것이나 이후 홍익대 미대 교수 자리를 버리고 과감히 프랑스 파리로 떠난 것, 다시 귀국 후에도 한창 이름을 날리던 것에 안주하지 않고 과감히 뉴욕으로 떠났던 화가.    

대학 강단에서 많은 제자를 길러내고 미술협회 이사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도 한시도 붓을 놓지 않았다는 그의 예술적 투혼은 겉만 요란한 ‘요즘’의 세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갤러리 곳곳에는 외롭고 힘들었다는 뉴욕 시절 작은 노트에 뭉뚱한 연필로, 또는 색연필로 수없이 구상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나는飛 점點, 점들이 형태를 상징하는 그런 것들을 시도하다. 이런 걸 계속해보자. 
1968년 1월 23일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생전 선생의 아틀리에 풍경.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김환기는 추상미술의 제1세대로서 한국 근대회화의 추상적 방향을 정한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사실 일반인들이 추상미술을 제대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그의 작품이 이렇게까지 대중적인 인기를 확보하게 된 데는 그의 그림 곳곳에서 풍기는 한국적 정서  때문일 것이다. 외국에서 작품 활동을 하면서 오히려 고향의 바다와 하늘, 푸른 청자, 소박한 백자 등을 그리워하며 그것을 작품 속에서 실현하였던 이가 김환기다. 그의 작품 속엔 수천 년에 걸쳐 우리 핏속에 녹아 있는 색과 선이 살아 있다.

때문에 그의 작품을 처음 대했음에도 묘한 기시감에 빠져버린다. 화가가 자신의 집 마당에 청자와 백자를 내다놓고 한참을 감상했듯이 관람객들은 단순한 점의 집합이 내뿜는 무한한 세계에 끝없이 빨려든다.      
 
미술관은 매미 소리만 메아리쳐 울릴 뿐 방문객도 눈에 띄지 않고 한산하다. 시내에서 한창 열리는 세계적인 유명 화가의 전시회가 발 디딜 틈 없이 빽빽한 것과는 묘하게 대조를 이룬다(솔직히 아이들 놀이방 혹은 대형 마트처럼 변해버린 요즈음 초대형 미술전시장은 어떡할 것인가).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작은 노트와 몽당연필만 있어도 습작 연습을 했다고 한다. 2007년 8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미술 시장 규모가 전에 없이 커졌다. 그러나 최근 언론엔 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사보다 작품으로 재테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기사가 더 많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는 한편으로 대학 교수의 가짜 학위 파문으로 한바탕 온 나라는 물론 당사자인 미술계가 호된 홍역을 앓았다. 

그런 자질구레한 세태를 보면서 문득 짜증이 밀려오는 것은 나만의 일일까? 훌쩍 환기미술관을 찾은 것은 어쩌면 그에게서 따뜻한 위로를 받고 싶었던 때문일지 모르겠다.  

지난 7월 한 옥션에서 그의 작품 ‘봄의 소리’가 13억원에 낙찰되었다고 한다. 좋은 작품을 내 집에 걸어두고 혼자 오붓이 감상하는 것도 좋지만, 마음 내킬 때 더 많은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는 갤러리를 자주 찾는 것, 이것도 그에 못지않는 행복한 사치가 아닐는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