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시간여행] 결실의 계절, 정미소 쌀 이야기 나락 먼지 폴폴 날리던 추억의 정미소는 지금? 
[시간여행] 결실의 계절, 정미소 쌀 이야기 나락 먼지 폴폴 날리던 추억의 정미소는 지금? 
  • 박지영 기자
  • 승인 2007.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장동정미소 전경.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여행스케치=이천] 누렇게 벼가 익어 황금빛 들녘을 이루면 바빠지는 곳이 있다. ‘쿵더쿵덕’, ‘쿵쿵쿵…’소음과 함께 나락 먼지 폴폴 날리던 정미소다. 예전에는 동네마다 한 곳씩 있었던 추억 속의 정미소는 그 수요가 줄고 대형화되면서 요즘은 보기 힘든 풍경이 되어버렸다. 

“방아 좀 찧어주소~” “얼마치요?” “찹쌀 10kg, 떡 해먹으려구.”
그곳은 나에게 신비로움과 동경의 대상이었다. 한쪽에선 기계가 하얀 쌀을 토해내고 한쪽에선 먹음직스런 가래떡이 줄줄이 뽑아져 나오고 고소한 참기름 냄새가 코를 찌르는가 하면 고추 빻을 때 나는 ‘매운 내’로 눈과 코가 맹맹했다. 그래도 참을 만했다. 그곳에 가면 금방 뽑아 뜨끈한 가래떡이나 갓 도정된 생쌀까지 항상 먹을 것이 손에 쥐어졌으니. 

‘방앗간=정미소’였던 시절이었다. 사철 일거리가 넘치는 방앗간이 가을 한철 바짝 바쁜 정미소의 역할도 함께 하는 곳이 많아 이곳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풍경들은 늘 새로웠고 호기심을 자극했다. 서울에 살았으면 한 번도 보지 못했을 풍경들이지만, 호기심 많고 기운 넘치는 연년생 남매를 함께 키우기 힘들었던 엄마가 다섯 살 무렵까지 시골 외갓집으로 1년씩 번갈아 보내면서 방앗간 구경을 처음 하게 되었다. 

할머니가 방앗간 가자고 하면 나는 마당 한구석에서 세발 자전거를 몰고 나왔는데 그 뒷좌석에 방아를 찧을 고추나 떡 해먹을 쌀을 싣고 힘차게 페달을 밟았다. 고소한 냄새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기계들, 저마다 도정할 곡식을 가지고 온 사람들로 붐비는 그곳으로 가는 길은 늘 즐거웠다. 그러고는 한동안 잊었다가 벼 이삭이 잘 여문 경기도 이천의 황금빛 들판을 보며 문득 그때의 추억이 떠올랐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요즘도 새벽 6시면 정미소 불이 켜진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이젠 쌀이 귀한 시대가 아니잖아요”  신둔면 장동리 장동정미소
겉으로 보기에도 함석으로 지어진 오래된 건물이 안으로 들어가니 더 아슬아슬하다. 천장은 나무로 뼈대를 세운 뒤 서까래로 얼기설기 엮었고, 벽은 대나무로 중심을 잡고 흙을 발라 때웠다. 시침과 분침이 행방불명된 채 중앙에 걸린 벽시계는 과거에 멈춘 채 어딘가로 흘러가는 장동정미소를 상징하고 있다. 

이곳은 1973년도에 마을공동정미소로 세워져 하루 100가마니를 도정했을 정도로 성업을 이루다 마을 단위로 정미소가 하나씩 생기면서 물량이 적어져 지난 1997년에 김철선 씨 형제가 인수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정미소 뒤편은 왕겨 껍질을 모아두는 곳이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정미소 강아지를 보기 위해 온 동네 꼬마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보시다시피 사양길이죠. 형하고 같이 하지만 요즘 돈 2~3억 갖고 할 수 있는 게 없어 버티는 중입니다. 지금은 대형화된 공장들 틈바구니에서 간신히 생존만 하는 거죠.”

1997년도 정미소 인수 당시 쌀 80kg 한 가마니를 도정하면 쌀금(쌀값)으로 5kg을 받았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쌀금은 요지부동, 지금도 5kg을 받는다. 대형공장들이 들어서지 않았던 90년대 후반에는 그래도 살만했다. 아침저녁 부지런히 기계를 돌려도 시간당 15~20가마, 하루 200가마밖에 못 찧었지만 정미소에는 인정이 넘쳤다. 한 해 농사가 풍년이면 정미소에서 기다리는 손님들에게 곡주를 대접했는데 다 찧을 때까지 술만 마시다 얼큰하게 취해서 돌아가는 사람, 내 쌀이 어디로 빠지는가 싶어 한시도 눈을 안 떼고 지켜보는 사람이 있어 행복했다. 

“지금껏 남아 있는 대부분의 개인정미소는 직접 도정해서 쌀 소매도 하고 개인들이 조금씩 가져오는 거 해주면서 살고 있죠. 쌀 개방이 현실화되면서 미국 쌀, 중국 쌀이 들어오고 쌀 소비도 줄고, 이젠 쌀이 귀한 시대가 아니잖아요. 그래도 예나 지금이나 쌀은 현금이나 마찬가지예요. 못 팔아먹진 않으니까요. 외국 쌀은 품질이 떨어져서 아직까지 소비자들이 많이 찾진 않는데, 앞으로는….”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찹쌀 10kg을 사러 온 할머니의 차가 있는 곳까지 배달하려는 참이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진화하는 개인 정미소 부발읍 죽당리 고실정미소
“20년 전 동네 방앗간을 500만원 주고 인수했어요. 그땐 송원리, 수정리… 리 단위마다 정미소가 하나씩 있었고 마을 4km 이내에 4곳이나 있었어요. 지금은 우리 집 하나 남았죠.”

방아를 찧을 때 통통통통… 소리가 나서 통통방아로 불렸던 당시 기계는 엔진을 식히려면 물이 필요했다. 그래서 방앗간이 대부분 저수지나 작은 천 가까이에 있었다. 고실정미소도 작은 저수지를 바로 앞에 두고 있었는데 이젠 그 자리가 창고가 되었다. 개인 정미소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집을 키운 것이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나락에서 겉 껍질인 왕겨를 벗겨내면 현미가 된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현미를 여러번 벗겨내면 우리가 흔히 먹는 백미가 된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이천쌀은 농협을 거쳐야만 ‘이천쌀’이라는 인증을 받을 수 있어 농민의 95% 이상이 농협에  수매를 한다. 그리고 나머지는 두었다가 그때그때 도정을 해서 개인들이 각자 먹는데 그 일은 개인 정미소 차지다. 개인 정미소는 종종 도정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직접 차를 가지고 가지러 간다. 일종의 고객 서비스(?)인 셈이다. 

개개인의 것을 따로 도정하다보니 이곳에는 건조기만 무려 11대. 크기는 일반 정미소 5~6곳을 합해놓은 크기이며 9단계를 거쳐 도정을 한다. 개인 정미소로는 이천시 중에서 가장 큰 편으로 도정하는 양도 소규모의 미곡처리장에 맞먹는다. 개인 정미소로 살아남은 비결은 따로 있다. 대부분 방아를 찧고 남은 나머지에 대한 대금을 나중에 지급하는데 이곳은 20년 전부터 찧은 날 바로 계산을 해주니 다른 지역까지 소문이 나서 사람들이 몰려들게 된 것. 손님과의 신뢰를 철칙으로 알고 지킨 것이 살아남은 비결이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한눈에 다 들어오지도 않는 RPC의 기계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오늘날 대형 정미소 부발농협 RPC
RPC는 Rice Processing Complex의 약자로 미곡종합처리장을 의미한다. 쌀을 도정하는 공장이란 뜻이다. 1980년대 후반부터 농협 등에서 대형으로 도정공장을 짓기 시작한다. 1992년도 전국에 RPC가 2~3개였다가 1995년도에 30~40개로 늘어난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그 이면엔 얼마나 많은 정미소들이 문을 닫게 되었는지 짐작이 가능하다.

현재 이천시에는 RPC가 5곳, DSC가 3곳이다. DSC는 RPC보다 경지 면적이 조금 적을 뿐 하는 일은 같다. 부발농협 RPC의 하루 소화물량은 무려 150톤. 일반 정미소에선 상상도 못할 수량이다. 이천시에서 한 해 생산되는 쌀의 양이 5000톤이라면 농협에서 4000~4200톤을 수매한다. 나머지는 두었다가 개인이 먹기도 하고, 개인 정미소에서 사들여 마켓 등에 팔기도 한다. 요즘은 개인이 직접 도정을 해서 먹는 자가도정도 느는 추세다. 개인 정미소나 RPC나 가을철이 가장 바쁘지만 RPC는 특히 그렇다. 추석 물량에 대비하려면 10월 3~4째주에 시작해 10월 말까지 약 25일간 수매를 하는데, 이 기간 동안 약 4000톤의 물량을 감당하려면 밤이고 낮이고 쉴 새 없이 기계를 돌려야 한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기계가 포장까지 처리하고 쌀을 운반하는 것만 사람의 몫이다. 2007년 9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일단 RPC로 개인의 쌀이 입고되면 중앙제어판 기계로 모든 것을 조작한다. 호퍼스케일에선 개인별로 등급을 매기기 위해 시료를 채취해 수분과 중량을 측정한다. 제현율 판정기에서 등급이 판정된 뒤 다음 11번의 과정을 거친다. 

연류계-종합석받기-현미기-현미분리기-현미석받기-연삭식정미기-청결미기-등급선별기-백미석발기-로타리시후터-색채선별. 

농협 RPC에서는 질 좋은 쌀을 만들기 위해 현미 껍질을 두 번 벗기고 색채선별과정을 두 번 거친다. 그리고 포장된 뒤 유통 과정을 한 번 더 거친 후에 우리의 식탁에 오른다. 쌀이 밥으로 탄생되기까지는 약 88번의 공정을 거친다 하여 米자가 八十八로 되어 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무수히 많은 공정을 거친다.

요즘은 워낙 유기농을 찾는 시대인지라 올해는 이천시 자체적으로 약을 치지 않는 친환경농법으로 벼를 재배하였다. 그랬더니 벼 이삭을 갉아먹는 홍명나방이 생겨 작황이 지난해보다 약간 떨어질 것으로 보지만, 그래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기농 쌀을 먹으니 건강에는 더 좋지 않을까.

지금 현재 이천시에 남아 있는 정미소의 숫자는 약 40곳. 정미소가 사라지는 이유는 대형도정공장 때문이다. 모든 것이 대형화되고 전문화 되어가는 요즘 시대에 불가피한 상황일 수 있으나 서서히 사라져가는 정미소가 아쉽기만 하다. 예전 부잣집 하면 방앗간(정미소), 술도가, 장날 소국밥집이던 그때 그 시절이 그립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