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따뜻한 세상이 그리울 때] 주민 얼굴 벽화가 있는 고창 돋음볕마을 웃음꽃, 국화꽃으로 온동네가 꽃밭이지라
[특집 따뜻한 세상이 그리울 때] 주민 얼굴 벽화가 있는 고창 돋음볕마을 웃음꽃, 국화꽃으로 온동네가 꽃밭이지라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7.1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돋음볕마을의 전경.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고창] 동네방네 꽃이 피었다. 마을 뒷산에는 가을 국화가 흐드러지게 피었고, 담장에도 국화꽃이 피었다. 하지만 그보다 더 화사하게 핀 것은 마을 사람들의 웃음꽃이다. 마을을 들어서자마자 볼 수 있는 마을 사람들의 따뜻한 웃음꽃은 1년 365일, 24시간 동안 지지 않고 피어 있다.   

돋음볕마을. 처음으로 솟아오르는 햇볕마을이란 뜻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안현 돋음볕마을’이다. 미당 서정주가 잠들어 있는 질마재 고개를 물어물어 내려오면 한 마을에 사람들의 웃음꽃이 활짝 피어 있다. 길을 달리다 뜬금없이 만나는 웃음꽃. 그것은 희한하게 웃음을 번지게 만든다. 돋음볕마을의 첫인상도 그렇다. 

안현마을에 벽화가 그려진 것은 올해 초. 2000년 타계한 故 서정주 선생이 묻혀 있는 안현마을에서 선생을 기리기 위해 3년 전부터 마을 뒷산에 국화를 심고 ‘100억 송이 국화축제’를 벌여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였다. 하지만 국화는 가을과 초겨울에만 볼 수 있는 꽃이라 마을 내에서 사계절 내내 관광객들이 볼 수 있는 것이 없을까 찾다가 생각해낸 것이 총 1㎞ 길이의 벽에 주민들의 얼굴과 국화, 해바라기 등을 그려넣는 것이었다. 벽화는 서울의 공공디자인연구소에서 6개월간 맡아 그렸다. 

처음엔 벽화 모델이 되는 게 부끄럽다며 손사래를 치던 주민들도 나중엔 적극적으로 바뀌었고, 지금은 자기 집 앞 벽에 그려진 벽화를 자랑거리로 생각하고 있다. 이런 소문이 점점 입소문을 타고 전해져 지금은 외지 사람들도 지나가는 길에, 혹은 미당시문학관을 들르는 길에 꼭 둘러보아야 할 곳으로 꼽을 정도다. 단순한 아이디어의 출발이 조용했던 안현마을을 사람들로 활기찬 돋음볕마을로 바꾸어놓은 것이다.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돋음볕마을 표석.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마을 뒷산에 핀 국화.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마을로 들어서자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로 시작되는 미당 서정주 선생의 시가 담장에 적혀 있다. 시의 제목이 ‘국화 옆에서’인데, 시 옆에 국화 그림이 한가득이다. 국화 옆에서 ‘국화 옆에서’란 시를 읽고 있는 기분, 참 오묘하다.

소위 말하는 ‘뜨는’ 마을이 되었는데도 마을 주민들의 일상은 그대로다. 농기구들은 언제라도 손만 닿기만 하면 출동할 수 있다는 듯 ‘3분 대기조’ 진영을 갖추고 있다. 

“농번기라 정리가 안 되야서 그랴요. 지저분한 것들은 찍지 마소. 마을 사람들도 다 일 나가고 손님 맞을 사람이 읍서 우얀다요? 나도 곧 일 나갈 참인디…. 마을 돌아보다가 시간 나면 회관에서 차나 한잔하고 가시오. 커피는 셀푸잉께.”

빈 마을에 손님을 두고 나가기가 뭐한지 한 마을주민은 애써 손님을 챙기려 한다. 하지만 인심만으로는 그의 발길을 잡을 수가 없다. 경운기를 탄 그는 유유히 마을을 빠져나간다.  

아쉬운 마음에 발길을 다시 옮긴다. 곳곳에 잘 익은 감과 석류들을 살펴보는 재미, 그리고 담장 넘어 몰래 시골사람들의 살림살이들을 훔쳐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예쁘장한 개 한 마리와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고 있으니 문득 방에서 한 할머니가 나온다. 

“갸가 그래뵈도 서서 걸어.”
“에이~ 개가 어떻게 걸어요.”
“아따 슨당께~ 개야 이리 와봐라. 걷자~ 걷자~.”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우리 개는 서서 걷는 개여~"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썰렁했던 슬레이트 지붕에 핀 그림꽃이 주렁주렁 익은 감들과 어우러졌다.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할머니는 개의 두 앞발을 잡아 일으켜 세우더니 자기 몸으로 당기신다. 뒤뚱뒤뚱 개가 서서 걷기는 걷는다. 근데 저렇게 하면 날아도 다니겠네요, 할머니….

마을은 참 좁다. 갈 지(之)자로 한번 스윽 걸으니 이내 원래 자리로 되돌아온다. 이제 사진을 찍으며 벽화 구경도 좀 제대로 할 요량으로 채비를 한다. 그때 마을버스가 오더니 꼬맹이 둘을 내려놓고는 휑하니 가던 길을 가버린다. 그러고 보니 마침 초등학교 저학년들이 학교를 마칠 시간이다. 

“아저씨 사진 찍으러 왔어요? 여기서 잠시만 기다려요. 가방 내려놓고 놀러 올게요.”
지들 마음대로 약속을 잡더니 냅다 집으로 뛰어간 녀석들은 잠시 후 자전거를 타고 정말로 나오는 것이 아닌가. 그러고는 마을 벽화 대표 모델(?)인 양옥순 할머니를 가리키며 말한다.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양옥순 할머니의 손주인 은재가 할머니 그림 앞에서 포즈를 취해주었다. 2007년 1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이거 우리 외할머니예요. 할머니 지금 바다에 일하러 나가고 없는데…. 이따가 밤 되면 오시는데…. 참, 아저씨 우리 국화꽃 보러 갈래요? 마을 뒤에 되게 많아요!”

초등학교 1학년인 은재의 말에 얼마나 걸리냐고 물었더니 ‘진짜진짜 멀어요’란다. 그래서 진짜진짜 얼마나 머냐고 했더니 ‘한 10분? 숨이 꼴딱꼴딱 넘어갈 만큼’ 힘들단다. 속는 셈치고 따라가니 바로 마을 뒷산이다. 10분은 무슨 10분! 고작 5분이 채 안 걸리누만! 그래도 언덕길이 좀 있던지라 은재 녀석은 숨이 턱까지 차 있다. 마을 뒷산엔 역시나 국화가 흐드러지게 피어있다. 노란 꽃, 빨간 꽃, 하얀 꽃…. 그야말로 꽃 천지다. 

“삼촌 내년에도 또 놀러올 거예요?”

불과 2~3시간의 짧은 시간 동안 함께 마을을 둘러본 사이지만 은재 녀석이 정이 많이 든 모양이다. 처음엔 자기 집에서 자고 가라더니 안 된다고 하자 이내 내년을 기약한다. 녀석의 손을 잡고 마을로 내려오니 아까의 ‘걷는 개’ 주인 할머니가 나를 부른다. 

“애기 손잡고 놀러만 댕기고 서울 안 올라갈끼요? 인자 해도 지는디…. 배 고프믄 밥 묵고 가. 나 밭에 잠깐 갔다올팅께.” 
국화꽃 향기에 취해 우연히 들른 한 마을에서 한없이 따뜻한 풍경과 사람들을 보고 간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배가 부르다. 마을을 빠져나오는 길, 잠시 뒤돌아본 마을에선 여전히 마을 사람들의 웃음꽃이 활짝 피어 있다. 

그리고 처음 그랬던 것처럼 지금도 그 웃음꽃은 내 얼굴에도 피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