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낭만여행] 온통 감세상, 경북 상주 붉은 ‘감’이 활짝 피었습니다
[낭만여행] 온통 감세상, 경북 상주 붉은 ‘감’이 활짝 피었습니다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7.1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주렁주렁 매달려 곶감이 될 준비를 한 감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상주] 비싸서 자주 사 먹지는 못하고 군침만 꿀꺽 삼켰던 상주 곶감이 아니던가. 올해는 입은 아니더라도 눈으로라도 실컷 곳감을 먹어볼 심산으로 상주로 향했다. 어김없이 붉은 감들이 주렁주렁 맺혔고, 이들을 따다 곶감 만드는 손길도 연신 쉴 틈이 없었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1년 정성들여 가꾼 감이 탐스럽게 가을 햇살에 익어간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붉은 감, 눈을 홀리다 
출옥하는 남편의 귀향을 환영하기 위해 마을 입구 떡갈나무에 노란 리본을 가득 묶은 아내의 가슴 따뜻한 사연을 노래한 팝송 ‘떡갈나무에 노란 리본을 달아요(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d Oak Tree)’.

언제부터인가 그 노래가 머릿속을 빙빙 맴돌고 있다. 상주에 들어서면서부터 여기저기 알전구처럼 환한 감나무의 환대가 마치 노란 리본처럼 살갑게 느껴졌었나 보다. 곶감을 그렇게도 좋아하는데, 본고장에 왔으니 저절로 흥이 날 법도 하다. 지금 상주에서도 감으로 가장 유명한 남장마을로 들어가는 길이다.

우리나라 곶감의 60%를 공급한다는 상주. 이곳이 최대 곶감 생산지가 된 데는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와 비옥한 토질, 지형적 특성 등의 요인이 골고루 갖춰진 때문이다. 상주 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6세기 초로 보는데, 당시 이곳에서 재배되었던 대홍시는 전국적으로 기이한 품종이라 진상품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러나 지금처럼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은 최근 20년 내외로, 인터넷을 통해 전국적인 판매망을 갖게 되면서 날개를 단 덕분이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감을 따는데도 요령이 필요하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처럼 빨갛게 익어가는 감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지붕 위로 내려앉은 감.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어쨌거나 1년 내내 전국에서 상주곶감을 찾아대니 감을 말리는 10월 중순부터 11월 초순까지 상주 전역이 얼마나 눈코 뜰 새 없이 바쁠지 가히 상상해볼 수 있겠다. 남장마을로 들어가는 길에 만난 주민 채귀영 씨의 말에 의하면 상주에 있는 아주머니들이 죄다 곶감 깎는 일손을 거들고 있다고 보면 된단다. 그래서인지 정말 길거리에 돌아다니는 사람들이 드물다. 

조용한 거리를 걷다가 대형 창고처럼 큰 작업장에서 뭔가 떠들썩한 소리가 나기에 슬쩍 들여다보니 비로소 인기척이 있다. 감 깎는 기계 소리와 카세트에서 울려 퍼지는 트롯 노래가 어우러져 작업장이 들썩인다.

“ 하~늘은 오렌지 색, 꾸냥의 귀거리는 한들 한들

손풍금 소리 들려오온다 방울소리 울린다아~(얼씨구~ 조오타)”

아직 주렁주렁 매달린 감도 많은데 언제 저렇게 많은 감을 깐 것인지 사람이 들어갈 만큼 큰 ‘다라이’에 감껍질이 수북 넘쳐난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작업하며 노래를 부르는 어머니.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감보다 달디단 상주 인심 
“아이고, 어데서 왔어요?”
“서울서 감 보러 왔어요.”
“이 멀리까지. 실컷 보고 가소.”

부드럽고 사근한 특유의 사투리 때문에 듣는 이도 한층 살갑다. 아주머니들이 일렬로 앉아 숙련된 솜씨로 돌아가는 회전축에 감을 걸고 또 한 손으로는 껍질을 능숙하게 벗겨낸다. 

탱탱한 감껍질이 순식간에 동자승 머리처럼 깎인다. 이것들을 건조장으로 옮겨 꼭지마다 일정 간격으로 끈으로 매어 한 줄로 매단다.
이 상태로 약 한 달간 선들선들한 바람과 햇빛에 말리면 최고급 반건시가 된다. 곶감은 두 달간 말린 뒤 냉장고에 넣어 보관한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이때가 되면 이웃에 살던 친척까지 다 모여 감따는 일을 돕는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11월 초순까지 이렇게 감을 깎고 말리는 모습이 한창이고 그 이후엔 꾸덕꾸덕 말라가는 빨간 감으로 마을이 온통 붉게 물든다. 

맞은편 감 과수원에선 온 가족이 출동하여 감 따기가 한창이다. 사다리와 긴 장대를 이용하니 꼭꼭 숨어 있는 감도 영락없이 후드득 떨어진다. 안쪽에서 일하던 아주머니가 대번에 사진 찍으러 온 사람이냐며 아는 체를 한다. 이맘때는 방송국에서도 오고 신문사에서도 오고 사진 찍으러 오는 사람도 많단다. 아주머니는 쉴새없이 손놀림을 하는 중에도 “여기 홍시도 천지이니까 하나 먹어보소. 얼마나 맛있는지 몰라” 하고 손님치레를 잊지 않는다. 낯선 침입자를 귀찮다 내치지 않고 대접하는 그 마음이 고맙기도 하고, 상주 감 맛을 볼 절호의 기회인지라 사양 않고 바닥에 있는 홍시를 집어 쪽 빨아 넣는다. 순도 100%의 달콤함이 입 안 전체로 퍼진다. 아, 이 맛이야. 

“서울서 곶감 주는데 아무 맛도 없고 딱딱하기만 하대. 거서 먹는 곶감은 여기처럼 햇빛이랑 바람에 말리는 게 아이고, 카바이트에 말리는 기라.”

“감 많이 먹으믄 변비 걸린다고 하는데 그런 거 하나 없어. 우리는 맨날 감 먹고 곶감 먹는데 멀, 걱정 말고 많이 드소.”  

대접이 푸짐하다. 감 먹은 값으로 일손 좀 덜어드리고 가면 좋으련만 짧은 일정에 시간을 너무 지체할 수 없어 인사를 하고 나서는데 아주머니는 대접도 못 하고 손님 보낸다는 듯 “아이고야, 우째 그것밖에 안 먹고, 홍시 이리 많은데 싸 가지구 가라” 한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얼마 안 있어 저 넓은 작업장에 붉은 감이 가득 찰 것이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감만큼이나 달디단 상주 인심이다. 길을 따라 더 올라간다. 이곳저곳을 둘러보다 가게에서 음료수 하나를 사 먹으며 잠시 땀을 식히는데 이 집 안마당에도 열심히 감을 깎는 모습이 보인다. 슬쩍 곁에 가서 사진을 찍자 할머니는 “밥 묵었나. 안 묵었으믄 안에 가서 한 숟갈 달라고 하소” 하신다. 괜찮다고 사양하니 감사탕이라고 한 움큼 집어주시면서 주머니에 넣어두란다. 감사탕을 하나 입에 넣고 곁에 앉아, 작업하는 모습 속에 끼어들었다. 어느덧 잠시 끊겼던 할머니들의 수다가 시냇물처럼 줄줄 이어진다. 

훌륭한 와인 한 병에는 포도가 생산된 해의 일조량, 땅, 바람, 비, 그리고 그 포도를 재배하는 사람의 철학 등이 다 들어 있다고 한다. 때문에 와인 한 모금만 마셔도 오묘한 세계가 다 전해지는 것이다. 곶감 하나에도 그 지방의 햇살과 공기와 바람이 다 담겨져 있었다. 그리고 오늘 이렇게 직접 눈으로 보니 알겠다. 상주의 곶감이 그리 유명한 데는 천혜의 자연조건 외에 이곳 사람들의 숙련된 솜씨, 여기에 더불어 그들이 풀어내는 세상이야기, 맛깔난 노랫소리, 따뜻한 인심이 보태진 것이었음을. 

하늘은 높고 푸른데 집집마다 깎아놓은 붉은 감들이 점점 넘쳐난다. 전국에서 가을 단풍이 무색한 동네, 바로 상주의 늦가을 풍경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