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② 봄소식을 찾아] 보성 녹차밭과 득량만에서 만난 봄 초록색 바다, 파란색 바다, 둘 다 보성 봄 바다   
[특집 ② 봄소식을 찾아] 보성 녹차밭과 득량만에서 만난 봄 초록색 바다, 파란색 바다, 둘 다 보성 봄 바다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8.03.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보성 하면 떠오르는 보성 녹차밭.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보성] 봄이 가장 일찍 찾아드는 남해안. 그중에서도 보성은 특히 짙은 초록으로 봄을 맞이하는 곳이다. 보성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녹차밭, 여기에다 넘실거리는 파란 바다와 신선한 제철 음식이 있는 득량만 해안으로 나가면 어느새 봄이 꽤 오래전부터 우리 곁에 와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보성의 바다로 가기 위해 18번 국도를 따라 내려가다 보면 녹차밭으로 바로 갈 수 있다. 보성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워낙 유명한 곳이라 신선한 느낌이 덜할 수도 있지만 짙은 초록빛의 녹차밭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이것이 바로 다른 곳과는 확연히 다른 보성만의 바다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꿀벌도 본격적으로 일을 하는 시기가 왔다.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멀리서 바라보는 녹차밭은 그야말로 망망한 바다다. 중간의 골은 넘실대는 파도와 같고, 녹차잎을 따기 위해 녹차잎 사이로 숨었다 나왔다 하는 아낙들은 깊은 숨을 들이쉬고 물속으로 잠수하는 해녀들의 모습과 닮아 있다. 바람이라도 휘하고 불면 정말 초록색 파도라도 칠 것만 같다. 

보성에서는 4월 중순부터 올해 햇녹차를 따는데, 4월 20일(곡우) 이전에 채취한 아주 여린 찻잎을 우전, 4월 20일에서 5월 5일(입하)까지 딴 찻잎을 세작이라고 한다. 그 이후로도 찻잎을 따지만 최고로 쳐주는 것은 누가 뭐래도 우전이다. 해산물도 그렇지만 녹차도 제철에 맛보는 게 가장 좋은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 봄의 기운을 듬뿍 머금은 녹차 한 잔은 필히 맛봐야 보성의 봄을 느낄 수 있다. 여기에 녹차를 넣은 비빔밥 한 그릇이면 일단은 입속에는 봄을 가득 넣어둔 셈이다. 말보다 주먹이 먼저가 아니고, 마음보다 입이 먼저다.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시원하게 바다를 옆에두고 달리는 득량만 해안도로.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녹차밭에서 나와 18번 국도를 타고 조금만 내려가면 봇재 고갯마루에 이른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풍광도 결코 빼놓을 수 없다. 다향각(茶香閣)이라는 정자는 비록 콘크리트로 만든 요즘의 건물이지만 초록색 녹차 바다 위에 떠 있는 고깃배처럼 운치 하나는 어디에 내놓아도 빠지지 않는다. 언덕 능선마다 아름다운 곡선을 뽐내며 내려앉아 있는 녹차밭은 곧 만나게 될 진짜 바다에 대한 기대를 더하게 만든다.  

18번 국도를 타고 그대로 내려가면 율포해수욕장을 만남과 동시에 보성의 바다인 득량만과 조우하게 된다.  

동해와는 달리 얕고 잔잔하게 갯벌을 품고 있는 모습이 서해와 비슷한 느낌이지만 조금이라도 오래 그 모습을 보고 있자면 그들과는 다른 매력에 빠지게 된다. 잔잔하던 파도가 바람에 밀려 조금이라도 높아지면 아까의 녹차밭이 떠오른다. 단지 초록색에서 파란색으로 색만 바꿨을 뿐 그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다. 역시나 보성의 바다는 아까부터 시작되고 있었던 것이다. 

율포해수욕장은 폭 60m와 길이 1.2㎞의 작은 해수욕장이다. 해수욕장 뒤편으로 조성된 송림에는 100년이 다 된 소나무들이 제법 푸른 빛깔을 뽐내며 서 있고 갯벌에서는 열 살 남짓 되어 보이는 조무래기들이 조개껍질이며 작은 방게를 손에 들고 신나서 뛰어다닌다.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봄에 보성에서 이 맛 못보고 가면 섭섭한 바지락회.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보쇼잉~ 보쇼잉~ 엊그자께 잡아와 오늘 내놓는 바지락이랑께요. 겨울엔 꼬막, 봄에는 바지락. 맛 좀 보고 가부러요, 야?” 
보성에서 이 즈음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제철음식은 다름 아닌 바지락이다. 겨울 꼬막에게서 바통을 이어받은 바지락은 고추장과 식초에 매콤새콤하게 무쳐낸 바지락회로 탄생해 봄철 입맛을 돋운다. 하얀 쌀밥에 참기름을 두르고 김가루를 뿌린 후 바지락회를 넣어 쓱싹 비벼 먹으면 미나리가 아삭 씹히면서 쫄깃한 바지락이 그 뒤를 잇는다.  

이곳의 바지락은 득량만에서 잡은 신선한 바지락을 24시간 해감을 빼낸 후 펄펄 끓는 뜨거운 물에 살짝 데쳐 재빨리 건져낸다. 익힌 채로 그냥 까먹는 바지락은 기본이고, 바지락 칼국수, 바지락전, 바지락 된장국까지 겨울에 벌교 꼬막을 맛본 이라면 봄 바지락을 파는 율포해수욕장 근처의 횟집 앞을 눈코입을 막지 않고는 그냥 지나치기 어려울 정도다. 

율포해수욕장을 시작으로 845번 지방도를 타면 득량만 해안도로가 이어진다.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득량만 방조제가 끝나는 곳에선 유채꽃이 봄을 알리고 있다.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갯벌의 밤게. 2008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길은 한적하기 그지없다. 몇 대의 차가 지나치지만 잠시 차를 세워놓고 꽃구경을 하는 이들은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방파제가 있는 곳으로 들어가본다. 몇 명의 낚시꾼이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다. 스치는 바람이 부드러워 가만히 눈을 감으니 살짝 졸리다.

다시 길을 재촉하면 조금 바다와 멀어진다. 사실 이 해안도로는 동해의 해안도로나 남해, 거제의 해안도로보다는 보는 맛이 덜하다. 찻길 바로 옆으로 넘실대는 바다가 따라오는 길이가 짧다. 이웃 동네인 광양이나 하동처럼 멋진 매화와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지도 않는다. 어찌 생각하면 보잘것없어 보이지만 이것이 바로 이 길의 매력이다. 

해안가라고 하지만 사람들은 바다보다는 땅에 더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다. 배를 타는 이들보다 호미와 곡괭이를 들고 땅을 일구는 농민들을 더 많이 볼 수 있다. 푸르게 빛나는 논과 밭 위로 갈매기들이 날아다니는 범상치 않은 풍경이 펼쳐진다. 옆만 쳐다봐선 어김없는 산골이지만 아래를 내려다보면 통통배가 유유히 떠 있는 영락없는 바닷가 마을이다.   

길은 그렇게 바다를 숨겼다 내놓았다를 반복하며 이어지다가 득량만 방조제를 건너면서 넓은 들의 풍경을 만들고 끝이 난다. 갈대숲 사이로 유채꽃이 빠끔히 고개를 내밀고 있다. 초록색으로 시작한 보성의 봄은 파란 바다를 거쳐 이제는 노란 유채꽃으로 끝을 낼 모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