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숨겨진 풍경] 밀양팔경 쇠점골 호박소 바위 절구에서 펼쳐지는 폭포의 절구질
[숨겨진 풍경] 밀양팔경 쇠점골 호박소 바위 절구에서 펼쳐지는 폭포의 절구질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8.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밀양 팔경 중 하나인 호박소.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밀양]한여름에도 얼음이 얼고 찬바람이 나오기로 유명한 밀양의 얼음골. 이 얼음골에서 조금만 더 올라가면 밀양이 숨겨놓은 밀양팔경 중 하나인 ‘호박소’를 찾을 수 있다. 이름만 들어서는 호박과 관련된 곳인 듯 싶지만, 사실은 자연이 만들어놓은 오묘한 형태의 걸작이다.

호박소로 가는 길, 이곳은 쇠점골이라 불리는 계곡이다. 유명 관광지인 얼음골이 있는데다 마침 도로공사도 하고 있는 터라 조금은 번잡하다. 혹시라도 출입제한이 될까 봐 노심초사했지만 다행히 아무런 제지 없이 호박소주차장까지 들어간다. 아직은 좀 이른 여름이라 관광객들은 적은 편이다. 하지만 머리 위로 내리꽂히는 햇빛에 몸은 조금이라도 빨리 그늘지고 시원한 곳을 찾으라고 성화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호박소에서 오천평바위로 갈 때 건너는 구름다리.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울창한 숲길을 따라가면 백련사라는 조그만 절이 나온다. 그리 오래된 절은 아닌 듯 싶지만 경내에서 들리는 목탁 소리와 염불 소리가 고즈넉한 숲의 풍경과 꽤 잘 어우러진다. 

절을 지나 계곡 쪽으로 가면 이정표가 하나 보이는데, 왼쪽으로 가면 호박소, 오른쪽 구름다리를 건너면 오천평바위로 가는 길이다. 호박소까지는 100m, 오천평바위까지는 1.2km다. 우선 호박소부터 구경하기로 한다. 

호박소로 가는 길은 계곡을 따라 바위로 만들어놓은 계단을 따라 걸으면 된다. 하지만 물길을 따라 넓게 펼쳐진 반석들을 밟으며 올라가는 편이 훨씬 운치가 있다. 바위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길이 세차긴 하지만 워낙 주변 바위가 넓고 평평해 걸어다닐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다. 가끔은 작은 돌들을 징검다리 삼아 물 위를 폴짝폴짝 뛰어야 할 때도 있지만 위험하지는 않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호박소로 가기 전에 들를 수 있는 백련사.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허연 물거품을 일으키며 흐르는 물길은 때로는 작은 폭포를, 때로는 넓은 폭포를 만들며 유유히 흘러내린다. 양옆의 울창한 숲은 천연 햇빛 가리개다. 이 넓은 바위를 온통 그늘로 만들어놓았다. 해는 머리 위에 떠 있지만 그늘이 만들어져 온몸에 서늘한 한기가 느껴질 정도다. 

경사가 가파르지 않은데다 넓은 바위들이 층층이 겹쳐 있어 마치 거대한 바위 미끄럼틀을 연상시킨다. 곳곳에서 신을 벗어놓고 탁족을 즐기는 여행객들의 모습이 그저 한가롭기만 하다. 
그렇게 조금을 올라 드디어 호박소와 대면하는 순간, 그저 작은 소(沼)인 줄만 알았던 예상은 놀라움으로 바뀐다. 커다란 그릇을 연상시키는 소의 모습도 그러려니와 10m 위에서 떨어지는 폭포와 소를 둘러싼 바위도 범상치 않은 기운을 뿜어낸다. 

커다란 바위가 얼마나 오랜 세월 동안 깎이고 다듬어져야 이런 절경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손으로 빚어도 이렇게 아름답게 만들어낼 수 있을지 확신이 서질 않는 터에 오로지 물길의 힘만으로 이런 걸작을 만들어낸 자연이 대단하기만 하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완만하게 경사진 바위 위를 미끌어지듯 흐르는 쇠점골의 물길.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호박소의 ‘호박’은 먹는 호박이 아니나 ‘확(절구 아가리로부터 밑바닥까지의 구멍)’의 경상도 사투리다. 처음 호박소를 발견한 사람들은 이 모습에서 절구통의 모습을 발견했으리라. 그러곤 명주실 한 타래를 풀어 소의 깊이를 재었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명주실 한 타래로도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소는 깊다고 한다. 여느 범상치 않은 소들도 그렇지만 이곳 호박소에서도 이무기가 글을 깨우치고 용이 되어 잠겼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그 깊이를 알 수 없고 폭포가 떨어지고 있는 만큼 수영을 하기엔 위험하다. 관공서에서는 수영 금지를 알리는 현수막과 함께 소를 가로질러 빨간 부레가 달린 안전줄을 매달아놓았다. 관광객들의 안전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설치한 시설이지만 카메라 셔터를 누르면서 못내 아쉬운 기분은 어쩔 수 없다. 마치 푸른 바다를 달리는 해안도로에 떡 버티고 서 있는 전봇대를 보는 심정이랄까. 

더위를 피해 호박소를 찾은 여행객들은 벌써부터 웃통을 벗어젖히고 호박소 물에 몸을 적시고-차마 수영은 하지 못하고-있다. 젖은 몸은 반석 위에 누워 말리면 된다. 시원한 물에 몸 담그고 뜨끈한 바위에 몸을 지지니 이보다 더한 호강이 없지 싶다. 게다가 아까부터 온갖 새들이 목청 높여 울어 젖히고 있으니 바위 위에 숯으로 시조 한 편이라도 적어놓고 가야 할 듯싶다.  

“예전엔 외지 사람들은 얼음골만 알지 호박소는 잘 몰랐거덩예. 토박이들이나 산 타는 사람들이나 와서 쉬고 하는 장소였는데 요즘은 여름 되면 발 디딜 틈도 없어예. 우째 그리 좋은 데는 금방금방 찾아댕기는지.”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바위를 종이 삼아 누가 이런 멋진 시를 썼을까.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래전부터 호박소를 즐겨 찾았다는 울산 토박이 김성열 씨는 호박소가 알려져 기쁘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사람들이 왔다간 자리에 쌓여 있는 쓰레기들을 보면서 차라리 알려지지 않았더라면 하는 생각을 많이 한단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아직 호박소 근처엔 큰 소리로 노래를 틀어놓고 방방 뛰는 광경은 없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그런 볼썽사나운 광경은 보지 않았으면 좋으련만.

호박소에서 발 한번 담그고 오천평바위로 향한다. 1.2km 정도라곤 하지만 길만 터놓았을 뿐 잘 닦아놓지 않아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어쩌면 일부러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놔두었는지도 모른다. 그 길은 그대로 자연삼림욕장이기 때문이다. 하늘을 가릴 만큼 무성하게 자란 나무들은 고맙게도 맑은 공기를 선물해준다. 그저 계곡을 흐르는 물소리와 이름 모를 새들의 지저귐만으로도 이 길을 걷고 있다는 것에 고마워하게 된다. 

곳곳에 사람들이 쌓아놓은 돌탑들을 구경하며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났네에에헤~’ 하는 밀양아리랑을 흥얼거리며 걷다 보면 어느새 오천평바위에 다다른다. 가지산의 물줄기가 내려오는 계곡에 거대한 바위 하나가 누워 있는데, 그 크기가 거짓말을 조금 보태 오천 평은 됨직하다 해서 이 지역 사람들이 오천평바위라 불렀다 한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매콤한 도토리묵에 시원한 솔잎 동동주 한잔이면 천국이 따로 없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천평바위라 해서 거대하게 하늘로 치솟아 있는 바위를 생각했다면 조금은 실망할 수도 있다. 처음 보는 사람들은 바위의 모습이 보이지 않아 당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잘 살펴보면 발을 디디고 있는 땅 전체가 하나의 바위인 것이다. 그 사실을 깨닫는다면 움찔하며 발을 떼게 될 것이다. 

거대한 바위는 끝이 보이지 않는 땅이다. 그 땅 위로 맑디맑은 계곡물이 미끄러지듯 흐르고 있다. 어떤 시인 묵객은 바위를 화선지 삼아 시 한 수를 써서 호탕함을 뽐내었다. 

다시 호박소 입구로 나와 매점에 앉아 솔잎 동동주 한잔을 걸친다. 땀이 다 식었는지 허연 소금기가 얼굴에 덕지덕지 앉았다고 주인아주머니가 세수 좀 하라는데도 그냥 씩 웃고 만다. 그만큼 흘린 땀 덕분에 이렇게 좋은 비경을 찾게 되었으니 그깟 얼굴쯤 손등으로 슥 닦고 말면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