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자전거 여행] 강도 길고, 이야기도 많다 조선 초 돌다리, 철새보호구역 등 볼 곳 많은 중랑천
[자전거 여행] 강도 길고, 이야기도 많다 조선 초 돌다리, 철새보호구역 등 볼 곳 많은 중랑천
  • 김대홍 기자
  • 승인 2008.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강 건너편의 고층 건물과 525년 역사의 살곶이다리가 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여행스케치=서울] 서울 구역 내 한강 지류 하천 중 하나인 중랑천(中浪川)은 꽤 긴 강이다.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산북리 불곡산(佛谷山)에서 시작해 의정부를 지나 서울시 성동구 송정동을 거쳐 청계천과 합쳐진 뒤 한강까지 이어진다. 길이는 45km라고도 하고, 35km라고도 하는데, 아무튼 한강 지류 하천 중에선 긴 편이다.

일제 역사 왜곡 상처가 남아
중랑천은 지역에 따라 이름이 여러 가지로, 의정부에서는 두험천(豆驗川), 서울과 의정부 경계에서는 근처에 도봉서원(1573년에 만들었으며, 조광조의 위패를 모심)이 있었다고 해서 서원천(書院川), 서울 상계동 부근에서는 ‘한강의 새끼강’이라는 뜻으로 ‘샛강’이라고 불렀다. 한강 북쪽을 흐르는 냇물이라는 뜻으로 한천(漢川) 또는 한내라고 불리기도 했다.

조선시대 중량(中梁)이라고 불리던 이 강이 지금과 같은 이름을 갖게 된 데는 1911년 일제 경성부지도가 계기가 됐다. 당시 중랑천에 있던 중량교(中梁橋)를 일제는 중랑교(中浪橋)로 고쳤고, 이후 지금과 같은 이름이 됐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600년 서울 땅이름 이야기(살림터)>에서 저자인 김기빈은 매우 애석해하고 있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길가에 꽃들이 만발하여 자전거 타는 기분도  즐겁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량(梁)과 랑(浪)은 한글 소리 체계상 큰 차이가 없으므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으나 노량(露梁, 鷺梁=노들), 명량(鳴梁, 울돌), 손량(孫梁:손돌)과 같이 량은 옛 우리말 ‘들, 돌, 달’의 이두식 표기인 물가 지명으로서 우리말의 연원과 깊은 관계가 있다.… 때문에 이를 랑(浪)으로 바꾸면 그 의미가 전혀 달라진다.…일제 때 바꾸어진 지명에 의해 중랑구까지 생겨난 것은 가슴 아픈 일이다.”

이와는 달리 아름다운 설화도 한 편 전해진다. 조선 초기 중랑천에 있던 송계교(松溪橋)를 돌다리로 바꿀 때 근처 장정들을 인부로 동원했다. 당시 16세 된 딸만 하나 있던 장님 중이(仲伊)도 부역 명단에 올랐다. 이에 딸이 대신 일하겠노라 관청에 찾아가 간청했고, 관청에선 ‘남장을 한다’는 조건으로 허락했다. 딸은 몰래 생리현상을 해결하면서 힘든 부역을 이어나갔다. 대나무관을 만들어서 남자처럼 소변을 내보냈고, 그조차도 들킬까봐 물을 최대한 적게 마셨다. 

이러한 소식을 들은 관청에서 중이의 부역을 면제했고, 중낭자(仲郎子)라고 부르던 동료들은 여자라는 사실을 알고 난 뒤 중랑(仲狼)이라 고쳐 부르다가, 다시 중랑(中浪)으로 바뀌게 됐다는 내용이다.

중랑천은 요즘 방영 중인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도 에피소드로 등장할 만한 곳이다. 세종 3년(1421) 8월 26일 세종과 태종이 매 사냥을 한 뒤 중량포(중랑천)에 이르러 술자리를 베풀었을 때 병조참의 윤회가 시를 지은 바 있고, 세종 2년 4월에는 상왕(태종)이 철원으로 가려다 중랑천 앞에서 말을 멈춘 바 있기 때문이다. 당시 중랑천 부근은 꽤 넓은 모래사장이었다고 한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중랑천에도 잠수교가 있다”
강도 길고, 이야기도 많은 중랑천이다. 자전거를 접어 지하철에 싣고 옥수역에서 내려 여행을 시작했다. 옥수역에서 내리면 한강과 중랑천이 만나는 곳에 쉽게 이르게 된다. 

옥수역 근처엔 ‘성동구 옥수 자전거대여소’가 있으니, 여기서 자전거를 빌려(신분증 지참) 중랑천 여행을 시작해도 되겠다. 한강으로 들어선 뒤, 오른쪽으로 꺾으면 한강, 왼쪽으로 꺾으면 중랑천이다. 보행로와 자전거도로가 완전히 나뉘어 있어 자전거 타기가 편하다. 

용비교를 지나면 응봉교가 나오고 근처엔 중앙선 응봉역이 있다. 응봉역 옆엔 오두막과 자연체험학습장이 있다. 강 건너편은 서울숲이다.

한강과 중랑천 합류 구간부터 중랑천과 청계천이 갈라지는 지점까지 3.3km는 철새보호구역이다. 흰뺨검둥오리, 황조롱이, 잿빛개구리매, 왜가리, 비오리, 백할미새, 때까치, 댕기흰죽지, 논병아리, 넓적부리, 고방오리 등 이곳에 머무는 새 이름이 자세히 적혀 있다. 근처 갈대밭이 꽤 운치가 있어 이곳에서 사진 한 장 찍고 가야겠다.

국궁장을 지나면 살곶이다리가 나온다. 조선 성종 14년(1483년)에 완공된 다리이니, 역사가 무려 525년이다. 길이 95m로 현재 남아 있는 조선시대 돌다리 중 가장 길다. 왕릉이 모여 있는 동구릉이나 강원도, 충청북도로 가는 길목이었기 때문에 국왕이 수시로 행차한 길이다. 다리 건설은 태종 때 시작했지만, 다리를 만드는 데 경비와 인원이 만만치 않아 착공 60여 년 뒤에야 완공을 했다. 

살곶이다리를 건너면 돌다리가 하나 나온다. 여기서 직진하면 청계천이고 다리를 건넌 뒤 오른쪽으로 꺾으면 중랑천이다. 이 길에서 헷갈리면 청계천으로 들어갈 수 있으니 조심하시길.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자전거 통행 제한 구역.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시원하게 뻗은 중랑천을 달리니 물가 풍경이 다양하다. 물가에서 느긋하게 소주를 마시는 어르신, 태평소를 부르는 아주머니들, 모래사장에서 먹이를 찾는 비둘기. 

빗물펌프장(유수지)도 꽤 많다. 몇 개나 되는지 세어봤다. 중곡빗물펌프장, 휘경빗물펌프장, 신이문2빗물펌프장…. 빗물펌프장은 내수 침수지역 해결이 목적인데, 전국에 450개 정도 있으며, 1942년에 만든 용산빗물펌프장이 서울에선 최초로 손꼽힌다.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에 사람들이 몰리고, 1968년 이후 한강변 저지대에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빗물펌프장이 많이 필요하게 됐다고 <서울시 서울 600년사>는 밝히고 있다.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계속 달리다 보니 군자교 이후부터는 계속 아파트 단지다. 삼성아파트, 현대아파트, 삼익아파트, 두산아파트, 한신아파트, 주공아파트, 쌍용아파트, 대우아파트가 연이어 나온다. 중랑천을 달리다 보면 우리나라가 얼마나 엄청난 아파트 공화국인지 실감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아파트는 (주)중앙산업이 1956년 서울 을지로4가 - 청계천4가 사이 주교동 230번지에 건설한 중앙아파트가 최초다. 지금과 같은 단지식 아파트의 원조는 1962년 도화동에 만들어진 마포아파트다.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저소득층 주택’, ‘질 낮은 주택’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냉대 받던 아파트는 강남 개발과 함께 꿈의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1970년 우리나라 총 주택수 443만3000여 채 중 0.77%(3만4000여 채)에 불과했던 아파트는 1993년 12.2%, 1994년 17.8%, 1995년 37.6%로 상승곡선을 그리더니 2006년 12월 말 전체 주택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52.7%로 절반을 넘었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중랑천에는 철새보호구역이 있다.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 신기할 따름이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이 비율은 앞으로 더 높아질 전망이다. 건설교통부가 밝힌 바에 따르면 2006년 신규 주택 중 아파트 비율은 87.9%로 90%에 가깝다. 중랑천을 달리다보면 아파트를 세우기 위해 건설장비가 움직이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이화교 주변에선 인도잠수교량을 봤다. 비가 오면 잠기는 다리라니. 잠수교는 한강 반포교 아래에만 있는 줄 알았더니 중랑천에도 있었다. 나 혼자 ‘새끼 잠수교’라고 이름을 붙였다.

갑자기 주변이 시원하다. 눈을 들어 왼쪽을 봤더니 아주 멋진 돌산이 보인다. 도봉산이다. 북한산국립공원에 속한 산으로 높이는 739.5m다. 자전거를 세우고 한참을 쳐다봤다. 어느새 서울을 벗어나 의정부에 들어온 것을 알았다. 여기가 의정부라는 것은 길 곳곳에 있는 장애물들을 보면 알 수 있다. 한국전쟁을 겪은 이후 서울 근교 도시는 서울을 막는 방어기지 역할을 해야 했다. 장애물 옆엔 지금도 ‘군사시설보호구역’이라는 표지석이 서 있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군사보호시설 구역 내에 들어섰음이 확연히 느껴진다. 2008년 9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곳곳에 만들어진 장애물들은 낯설거나 부자연스럽다기보다는 한강공원을 꾸미기 위해 만든 조각품 같다. 도구란 어디에 있느냐, 누가 쓰느냐, 어떤 자리냐에 따라 이리 달라질 수 있음을 장애물들은 잘 보여준다. 지친 가운데, 갑자기 웃게 만든 것은 길 옆에 있던 플래카드였다. 

“아이구 미친 ×아! 땅 팔아 장사하냐? 개장국 7000, 전골(2인분)15000, 수육 싯가 무침(2인분) 20000, 토종닭·각종안주·시원한 냉호프.”

이곳에 더 달리니 강이 갈라진다. 오른쪽은 선곡교, 왼쪽은 양주교다. 근처엔 의정부버스터미널이 있다. 1호선 가능역과 의정부터미널역이 각각 1km 정도 거리다. 오른쪽으로 꺾으면 효자교까지 2.5km 정도를 더 갈 수 있고, 왼쪽으로 꺾으면 양주시청을 거쳐 10km 정도 더 갈 수 있지만, 어디로 갈지 판단이 서질 않았고, 요즘 몸이 안 좋아 일주일 동안 계속 죽만 먹었더니 힘도 없다. 돌아갈 길도 걱정이다. 옥수역에서 이곳까지 거리는 대략 30km. 이런 내 마음을 아는지 의정부하수종말처리장 옆으로 무지개가 떴다. 나머지는 다음에 한 번 더 오리라 마음을 먹고 발길을 돌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