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이대흠의 제주여행] 성산 일출봉 오래전의 시간이 흐르는 곳
[이대흠의 제주여행] 성산 일출봉 오래전의 시간이 흐르는 곳
  • 이대흠 기자
  • 승인 2008.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0월. 사진 / 이대흠 기자
용암이 굳어 만들어진 기묘한 모양의 해변. 2008년 10월. 사진 / 이대흠 기자

[여행스케치=제주] 제주에 오는 사람들은 성산포에 갈 것이다. 성산포에 가서 새벽잠 설치며 일출을 보려 할 것이다. 일출을 보면서 이 세상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해를 보며 소원을 빌거나 축원을 할 것이다. 그리고 성산포 바닷가에 발을 담그고 파도의 숨결을 담으려 할 것이다. 파도가 뱉는 말을 온 귀를 모아 들으며, 자기 내면의 말을 조금은 파도에 실려 보낼 것이다.

성산. 지금은 흔히 ‘성산 일출봉’이라 불려서 ‘성산’은 포구를 뜻하고, 산봉우리는 ‘일출봉’인 듯하지만, 예전에는 봉우리의 이름이 ‘성산’이었다. 그 성산의 일출이 하도 좋아 ‘영주 10경’ 중 하나로 입에 오르내리다가, 이내 최고의 관광지가 되면서 산의 이름도 은연 중에 ‘일출봉’으로 바뀌어 불리게 되었다. 하지만 원래의 의미대로라면 산은 ‘성산’이고, 포구는 성산이 있는 포구라서 ‘성산포’였던 것이다. 따지자면 ‘성산 일출봉’이라는 말은 말의 중복인 셈이다.

일출봉은 성산(城山)이라는 지명에서 알 수 있듯이 가운데가 움푹 파여 웅장한 성곽과도 같다. 조금 멀리서 보면 임금이 썼다는 금관의 모습 같고, 가까이에서 보면 절벽 같고, 들어가 보면 연꽃 속 같다. 아마 하늘 높은 곳에서 본다면 잇몸을 드러내고 웃는 아이의 입 모양 같을 것이다. 

2008년 10월. 사진 / 이대흠 기자
성산 일출봉에서 바라본 성산리. 2008년 10월. 사진 / 이대흠 기자

산을 오르노라면 양겨드랑이로 바다가 찰싹거린다. 한 눈에는 우도가 보이고 다른 눈에는 섭지코지가 보인다. 앞을 보면 바위요, 뒤돌아보면 제주의 동부 오름들이 신의 젖가슴처럼 볼록볼록 솟아 있다. 

일출봉에서는 무엇보다도 일출을 보는 것이 적격일 것이나 해가 없어도 일출봉의 풍광은 서운하지 않다. 어둑발이 올 무렵 해녀의 집을 기웃거리는 흰 파도를 보거나 햇살의 농도에 따라 옷을 갈아입는 바다색에 취해봄도 좋을 것이다. 그러다 달이라도 떠오른다면 자기 안의 가장 슬픈 일을 끄집어내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절경은 사람을 울게 하고 울음은 상처를 치유하는 약이므로. 가장 슬퍼서 우는 울음이라면 성산포 바다쯤으로 울어야 하지 않겠는가. 성산포 바다쯤으로 맑아져야 하지 않겠는가. 눈에 넣고 싶은 풍경을 보면 꼭 한 사람이 떠오른다. 그 사람에게 이 풍경을 보여주고 싶은데, 그렇게 하지 못하는 마음이 안타깝다. 

2008년 10월. 사진 / 이대흠 기자
구름이 드리워진 성산 일출봉. 2008년 10월. 사진 / 이대흠 기자

일출봉에 왔으니, 일출만 보면 그만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그건 잘 모르고 하는 말이다. 일출봉에서 해 뜨는 것은 순간이지만, 성산포 일대에는 눈을 기쁘게 하는 풍경이 많다. 그 중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은 썰물 때 보는 성산의 뒷모습일 것이다. 오조리에서 바라본 성산의 모습도 모습이지만, 물이 다 빠져나간 뒤의 낮은 바위를 덮고 있는 이끼들의 모습도 그만이다. 바위의 모양도 기묘하고 바위를 둘러싼 이끼 덕분에 바다를 향해 엎드려 있는 바위에서 세상의 가장 부드러운 살이 느껴진다.

또한 오조리나 성산리, 종달리에서는 조개 캐기 체험을 할 수 있는데, 물때를 맞춰 가면 어렵지 않게 한 끼 국거리를 할 수 있는 조개를 캘 수 있다. 간단히 모래를 파헤칠 수 있는 골갱이나 호미 하나면 충분하니, 준비하는 것도 그다지 번거롭지 않다. 모래 속의 생물이 아이들의 손에 잡히면 아이들은 온 세상을 얻은 듯 기뻐 날뛴다. 원시 시대에 수렵 어로 채취를 하였던 원시인들처럼 아이들은 금세 자연과 하나가 된다. 

성산포에서는 산과 바다가 시간을 오래전으로 돌려놓는다. 그곳에서는 맨몸의 해와 달이 둥그렇게 굴러가고 아이들의 발가락 몇 개가 해보다 높은 곳에 떠 있기도 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