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언플러그드 여행] 제주 올레길 걷기여행 “자연이 너무 아름다워 눈물이 난다…”
[언플러그드 여행] 제주 올레길 걷기여행 “자연이 너무 아름다워 눈물이 난다…”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8.1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코스의 종착지인 외돌개.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제주] 지난달의 특집 기사 ‘지리산 트레일’ 반응이 참 좋았다. 그에 대해 물어보는 사람이며, 꼭 한번 가보겠다고 벼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런 이들에게 또 한 곳의 매력적인 여행지를 소개하고 싶다. 이름하여 제주 올레길. 이곳 역시 절대 빼먹지 말고 꼭 가보길 자신 있게 권한다. 

제주 여행 하면 대부분 좋은 리조트나 펜션, 여기에 렌터카가 당연히 묶인다. 나 역시 다르지 않다. 어느 순간부터 제주도에서는 경쟁적으로 화려함을 더해가는 초특급 리조트나 펜션에서 서비스를 즐겨야 한다는 간단한 인식이 박혀버렸다. 그러나 ‘화려한 휴가’를 위해 지불해야 하는 ‘출혈’ 역시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슬슬 제주도를 찾는 횟수가 줄었고, 최근 몇 년 동안은 아예 발길을 끊어버렸다. 

그러나 이번 여행은 180도 달랐다. 우선 과감하게 차를 버렸다. 숙소는 천주교에서 여행자를 위해 싸게 개방한 피정센터(신자가 아니라도 묵을 수 있다)로 잡았다. 화려한 수영장도 없고, 특급 셰프를 자랑하는 레스토랑도 없고, 심지어 방엔 작은 TV조차 없다. 그런데 웬일인지 장식을 다 걷어내고 여행의 기본으로 돌아간 듯 홀가분하다.      

“우리는 이곳에서 참 행복했고 많은 것을 얻었어. 그러니 그 행복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나눠줘야 한다고 생각해. 누구나 우리처럼 산티아고에 오는 행운을 누릴 순 없잖아. 우리, 자기 나라로 돌아가서 각자의 까미노를 만드는 게 어때? 너는 너의 길을, 나는 나의 길을.”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푸른 하늘과 돌담.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먼저 여행을 떠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이가 있다. 바로 ‘제주 올레길’이라 길을 만든 서명숙 씨다. 그녀는 전문 여행가가 아니다. 오히려 여행과는 거리가 먼 정치부 기자였다. 여성 최초로 <시사저널> 편집장을 거쳐 <오마이뉴스> 편집국장까지 한 경력을 보면 그녀의 인생이 얼마나 복잡했을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송사(訟事)가 여성지 부록처럼 지긋지긋하게 따라다니는 삶을 그녀는 23년이나 지속하였다. 그러다 어느 날 모든 것을 내려놓고 산티아고 여행을 떠나겠다고 선언했다. 여행 전문가도 아닌 탓에 많은 사람들이 무모하다 말렸지만, 결국 그녀는 뜻을 굽히지 않고 배낭 하나 짊어지고 혼자 그 먼 길을 떠났다. 

그런데 그렇게 다 훌훌 털어버리고 떠났던 여행에서 그녀는 오랫동안 머릿속에 고이 접어두었던 고향 제주의 길을 떠올렸다. 어쩌면 이상한 일이다. 버리듯 뒤로하고는 바쁘다는 핑계로 찾지 않았던 고향을 그 먼 이국의 순례길 위에서 다시 그린다는 것은….

결국 그녀는 여행을 무사히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와 산티아고를 여행하듯 고향 길을 걸었다. 그리고 산티아고 못지않은 자신의 고향 길을 하나하나 이어나갔다. 그리하여 지인들과 머리를 맞대고 그 길에 이름을 붙였다. ‘제주 올레길’.

‘올레’는 제주도 사투리다. 집에서 큰길로 나가기 위한 좁은 통로로, 이 길을 벗어나야 세상으로 나갈 수 있고, 세상에서 이 길을 통해야 다시 어머니 품으로 돌아올 수 있다. 또 반가운 손님이 왔을 때 신발도 신지 않고 맨발로 뛰쳐나가 맞는 길도 바로 올레라고 한다.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잠시 코스를 벗어나 야생화를 보러 갔다.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가을이 깊었는데 제주의 햇살은 아직도 여름 언저리에 머무르고 있는 듯 기세가 꺾이지 않았다. 2코스의 시작인 쇠소깍에 드문드문 사람들이 모여든다. 눈부신 햇살 아래 바다가 빛난다. 진부하지만 바다에 금가루를 뿌려놓았다는 표현 이상의 수사가 떠오르지 않는다.

와서 보니 출발 지점의 상점 등에는 해당 올레 코스를 상세하게 알려주는 팸플릿이 구비되어 있다. 지역주민들이 함께 도보여행을 응원해주는 것 같아 든든해진다. 코스를 보니 태반이 생소한 지명이다. 코스를 잘 마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지만, 일단 출발이다. 시원한 바닷바람이 어서 떠나라 등을 재촉한다. 

올레 코스를 알려주는 유일한 표식은 파란색 화살표다. 코스를 벗어나지 않았는지 슬쩍 의구심이 들 때마다 길 한쪽에 슬며시 그것이 있다. 화살표야말로 세계 어느 나라 사람에게든 다 통용되는 만국 공통의 표식이 아닌가. 그 간결함도 마음에 든다. 

드문드문 화살표로 이어진 길은 왼쪽에 바다를 넓게 두르고 저 멀리까지 이어져 있다. 검정 현무암이 옹기종기 둘러쳐진 제주 전통의 민가를 걷는가 하면, 오롯이 파란 바다 바람을 가르며 가는 길도 있다. 군데군데 여귀며, 쑥부쟁이가 흔들흔들 한가롭게 마중한다. 하나하나 세심히 눈길을 주며 마음을 쓰다 보니 발걸음도 느릿해진다. 

그렇게 한 다섯 시간쯤을 걸었을까, 문득 내가 자연 속에 녹아든 듯한 느낌이 들었다. 찬란한 햇살과 짭조름한 해풍과 발밑으로 전해지는 돌부리의 촉감 등이 온몸으로 전해지고, 나의 땀과 호흡은 대기 중으로 흩어진다.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길이어도 좋고 꼭 길이 아니어도 좋다.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참 신기한 것이 보폭 하나의 거리가 한 50cm 남짓이 될까? 그것도 느릿느릿 옮기는 걸음이건만 저 멀리 보이던 섬이 조금씩 커지더니 눈앞에 와 있고, 어느새 저 뒤로 가버렸다. 

저 앞에 혼자 묵묵히 길을 걷는 도보여행자의 뒷모습이 외롭기도 하고, 듬직하기도 하다. 그러나 그것도 어디까지나 보는 제3자의 일방적인 생각일 터. 정작 걷는 그는 무념무상일 공상이 더 크다.  

오늘 이 길 위에 있는 사람은 모두 길동무다. 누구든 자연스럽게 말을 붙이고, 흉허물 없이 이야기가 시작된다. 5,6코스만 열 번 이상 다녔을 것이라고 제주시에 사는 아주머니는 한창 목소리를 높인다. 또 누군가는 제주 올레길을 알고 나서는 집에서 빈둥거리는 시간이 너무 아까워졌다고 말한다. 그러고 보니 이 얼마나 아까운 화창한 하늘이고 햇살인가. 저 멀리  감귤도 금덩이처럼 환하게 익고 있다. 

단순히 걷기만 하는데, 자동차를 타고 다닐 때와는 전혀 다른 상념이 떠오르는 것은 무엇일까? 그래서  길 위에서는 누구나 철학자가 된다고 했던가. 아름다운 자연에 눈물이 흐른다면 그는 또 시인이 된 것이다. 

올레길 위에서 만난 서명숙 씨가 “힘들고 괴로운 것은 모두 길 위에 다 쏟아버리며 걸어가라”고 말한다. 그녀 자신도 그 길에 짐을 다 내려놓은 것일까, 작고 아담한 몸이지만 목소리엔 힘이 넘친다. 하긴 그녀가 만약 여전히 시사 잡지의 데스크였다면 아마 지금의 건강한 구릿빛 피부와 환한 웃음은 도저히 생각지도 못했을 일이다. 그런 나의 지적에 서명숙 씨도 환하게 웃으며 맞장구를 친다. “그러게, 얼마나 행복한지 모르겠어요. 이렇게 햇살이 좋은데 뭐가 걱정이에요?”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08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