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정원여행] 수원 효원공원 월화원 버스 한 번 타니 중국의 무릉도원이 예 있구나
[정원여행] 수원 효원공원 월화원 버스 한 번 타니 중국의 무릉도원이 예 있구나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9.03.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월화원 전경.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수원] 도심 한가운데서 영화에서나 보던 중국식 정원을 볼 수 있다? 그것도 무료로? 수원에서라면 가능한 일이다. 수원 효원공원의 월화원으로 가면 중국 영남지역의 전통정원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도심에서 봄을 느끼는 색다른 방법이다. 

버스에서 내리자 주변이 온통 빌딩 숲이다. 과연 이런 곳에 정원이 있을까 싶다. 효원공원의 입구로 들어선다. 그리고 왼쪽을 바라보니 범상치 않은 대문이 보인다. 비밀의 정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다. 

문 양쪽을 지키고 있는 사자상과 천장에 매달린 붉은 등에서 중국풍의 분위기가 물씬 느껴진다. 하지만 놀라기는 아직 이르다. 대문을 들어서는 순간, 숨겨졌던 비밀의 화원이 눈앞에 펼쳐진다. 영화에서나 보아오던 그런 정원이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월화원 입구의 붉은 등이 이색적인 분위기를 낸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화려한 꽃 모양의 창.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월화원은 2003년 10월 경기도와 광둥성이 체결한 ‘우호교류 발전에 관한 실행협약’의 내용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전통정원을 상대 도시에 짓기로 한 약속에 따라 2006년 4월에 문을 열었다. 수원에 월화원이 있다면 광둥성의 중심도시인 광저우엔 담양의 소쇄원을 닮은 ‘해동 경기원’이란 정원이 있다. 월화원은 중국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기의 민간 정원 양식을 기초로 조성되었다. 건축은 중국 현지의 건축가들이 담당했다. 겉만 그럴듯한 정원이 아닌, ‘전통 있고 수준 높은 진짜 중국 전통정원’인 것이다.
 
중국에서 한국으로, 공간을 뛰어넘은 중국 정원엔 따뜻한 봄볕과 함께 고즈넉한 시간이 흐르고 있다. 작은 연못을 중심에 둔 건물들 사이로 이색적인 풍경이 곳곳에 숨겨져 있어 그것을 찾아보는 것만으로도 소소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길을 따라 부용사라고 불리는 곳으로 향한다. 으레 정원의 벽은 높고 폐쇄적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곳의 벽들은 그렇지 않다. 꽃 모양을 한 녹색의 창을 두어 담장 맞은편을 은근슬쩍 들여다볼 수 있다. 

정원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창을 통해 엿보는 기분, 이것이 월화원을 더 신비롭게 만드는 장치이다. 처음부터 개방적인 설계를 특징으로 지었다지만 이렇게 ‘은근한 개방’ 덕분에 여전히 궁금증을 유발하게 만들어 구석구석 살펴보게끔 만든다.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창은 멀리서 보면 빛을 머금은 꽃들이요, 가까이서 보면 다음 행선지를 알려주는 창이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중국 정원의 특색이 잘 나타나는 건축물.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또한 둥근 모양, 세모 모양 등으로 뚫린 창들은 그 모습 그대로 맞은편의 풍경을 담아놓은 액자나 다름없다. 그림 속 무릉도원은 단지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하지만 월화원에서만큼은 그럴 필요가 없다. 액자 속의 그림으로 뛰어들려면 그냥 문만 넘어서면 된다. 

담장 사이로 맞은편 풍경을 확인한 후에 작은 문을 넘어간다. 접대와 휴식의 장소로 쓰였던 부용사와 옥란당의 모습이 보인다. 문이 잠겨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가지런히 놓여 있는 테이블과 의자들이 얼마 전에 보았던 영화 <색, 계>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부용사의 지붕이나 옥란당의 문 등 월화원의 건물들은 하나같이 누각을 말아 올려 처마선이 하늘을 향해 솟아 있는 형태를 띤다. 우리나라 식으로 말하자면 팔작지붕과 비슷하고, 중국식으로 말하자면 ‘혈산권붕(歇山捲棚)’이라 한다. 건물 곳곳에는 중국 영남지방의 산수자연을 노래한 시와 글들이 새겨져 있어 한자에 조예가 깊다면 시조를 읊는 재미도 쏠쏠하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이색적인 공간 덕분에 ‘코스프레’를 즐기는 이들이 많이 찾는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분재원으로 들어가는 둥근 출입문. ‘지춘’이란 글자가 의미심장하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부용사와 옥란당이 있는 공간은 월화원을 크게 두 곳으로 나누었을 때 건축공간에 속해 정원 안을 둘러보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부용사 옆의 문을 지나면 원림공간이 펼쳐진다. 이제부터는 중국의 야외공간을 산책하는 기분이다. 

야외 공간 또한 전통적인 중국 정원조성수법으로 만들어졌다. 인공으로 연못을 파고, 못을 파낸 흙으로 작은 동산을 조성해 작지만 수려한 자연경관을 만들어냈다. 연못에는 이리저리 꺾인 형태의 곡교(曲橋)를 놓아 물 위를 산책하듯 걸을 수 있다. 연못 주변에는 수양버들을 심어놓아 한 폭의 수묵화를 보는 느낌이 든다. 

이러한 이색적인 분위기 덕분에 월화원에는 카메라를 든 사람들이 몰리지만, 특히 ‘코스프레’를 즐기며 사진 촬영을 하려는 사람들도 꽤 많은 편이다. 수양버들 어우러지는 전통 정원의 모습이 중국풍의 캐릭터는 물론, 일본풍의 의상을 입고 사진 촬영을 할 만한 장소로 이만한 곳이 없단다.  

야외에서 가장 돋보이는 건물은 ‘월방’이다. 월방은 중국 원림 건축의 대표적인 건축물의 하나이다. 중국 영남지방은 강과 호수가 잘 어우러져 물 위에 떠 있는 배를 연상시키는 이러한 건축양식은  원림 속의 수경과 잘 어우러진다. 월방 또한 마찬가지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월화원의 전망대 역할을 하는 우정.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연못 위에 떠 있는 배의 형상이라, 입구가 두 군데지만 밖에서는 안이 보이지 않는다. 덕분에 월방은 은근한 데이트를 즐기는 연인들에게 인기가 높다. 

인공 동산 정상에 지어진 ‘우정(友亭)’은 월화원 전체를 조망하는 전망대와 같은 곳이다. 끝을 말아 올린 두 개의 지붕이 겹쳐져 있어 화려함을 더한다. 봄이면 빨간 철쭉이 푸른 대나무와 어우러져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랑하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우정에서 시작된 작은 물줄기가 폭포가 되어 연못으로 흘러드는 모습은 여느 장엄한 장관 못지않다. 

다시 월방을 지나 월화원을 나가는 길에는 작은 분재원이 하나 있는데, 동그란 출입문 위로 ‘만춘(晩春)’과 ‘지춘(知春)’이란 글자가 양쪽에 새겨져 있다. 들어가는 문 위에는 ‘봄을 느낀다’는 뜻의 ‘지춘’, 나가는 문 위에는 ‘지나는 봄’이라는 뜻의 ‘만춘’이다. 그만큼 월화원은 들어가고 나가는 동안 봄의 모든 것을 만끽할 수 있는 매력적인 정원이다. 
월화원은 약 6000㎡의 넓이로, 슬렁슬렁 한 바퀴 둘러보면 약 30분이 걸리는 크지 않은 정원이다. 하지만 월화원은 천천히 여러 번 둘러보며 그 진가를 조금씩 알아가는 맛이 있는 정원이다. 날씨는 물론이고 빛에 따라, 보는 방향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을 감추어놓고 공들인 만큼 그 비밀스러운 풍경을 보여준다. 고로, 월화원을 둘러볼 땐 뒷짐을 지고 천천히 중국 정원만의 ‘삼보일경(三步一景)’을 즐겨보길 권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