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탐방! 어촌체험마을] 유채꽃 만발한 보물섬, 경남 하동 대도마을 봄꽃 보고, 농어 잡고, 조개 캐고…
[탐방! 어촌체험마을] 유채꽃 만발한 보물섬, 경남 하동 대도마을 봄꽃 보고, 농어 잡고, 조개 캐고…
  • 최혜진 기자
  • 승인 2009.03.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등대 앞에서 낚시를 하는 사람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여행스케치=하동] 생태체험과 봄 소풍을 한 번에 해결할 여행지가 어디 없을까?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이라면 ‘남해의 보물섬’ 대도마을에 주목하시라. 바다낚시에서 조개 잡기까지 다양한 생태 체험은 물론, 노란 유채꽃의 향연까지 만끽할 수 있다. 

14t급 대도호가 신노량선착장을 밀어내고 남해를 유유히 가른다. 배는 노량해전의 격전지였던 광양만을 지나 15분 만에 대도마을에 닿았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바다와 섬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해안산책로.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대도호는 육지와 대도마을을 잇는 유일한 교통수단이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대도마을은 7개의 섬이 군도를 이루는 하동군에 속한 유일한 유인도이다. 60가구 20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작은 어촌으로, 농림수산식품부가 선정한 ‘아름다운 어촌 100선’에 꼽힐 만큼 풍광이 훌륭하다. 천혜의 절경을 끌어안고 있는 섬의 풍경을 두루 감상할 요량으로 섬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산책로를 따라 걸어보았다. 포구를 기점으로 왼쪽으로 에둘러 걷다보면 바닷길 너머로 농섬이 보인다. 그리고 섬 아래로 건강하게 그을린 피부를 자랑하는 갯벌이 드러난다. 

꽃도 보고, 굴도 따고 
본섬인 대도와 무인도인 농섬은 간조 때 바닷길이 열려 자유롭게 왕래가 가능하다. 섬과 섬 사이의 수심 10m 이내의 평탄한 해저에 피조개, 새조개, 바지락 등 각종 패류가 워낙 풍부해서 마을에선 이곳을 갯벌체험장으로 조성했다. 그 주변에 산책로 데크, 낚시 데크 등의 편의시설을 마련했고, 2011년까지 해수풀장, 식물원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갯벌은 바다생물의 숨소리로 가득하다. 마치 조개들이 ‘나 여기 있어요!’ 하고 외치듯 숨구멍을 뽕뽕 뚫어놓았다. 구멍을 따라 손을 쑥 집어넣고 조개를 더듬어서 예민한 손끝의 감각으로 조개를 움켜쥐면 ‘성공’이다. 경남진주에서 온 민영이네 가족도 갯벌에 팔을 쭉쭉 뻗어 조개를 잡는 재미에 푹 빠졌다. 벌써 소쿠리에 조개가 한가득이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인근 무인도에서 굴과 조개를 채취한 아낙들이 대도마을로 돌아오고 있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체험객에게 풍성한 패류를 제공하기 위해 갯벌체험장에서는 주민들의 어획행위가 금지되었다. 따라서 어민들은 만조 때 농섬을 제외한 무인도로 어선을 타고 나간다. 그리고 바닷물이 빠지면서 점차 넓어지는 갯벌에서 어패류를 채취한다. 갯돌에 붙은 굴이나 갯벌 속에 숨은 조개를 채취하는 아낙들의 모습이 활기에 넘친다. 다시 바닷물이 차오르기 시작할 때 쯤, 굴, 조개로 묵직해진 어선이 대도마을로 돌아온다. 

아낙들은 배에서 항으로 굴을 옮겨 ‘2차 작업’을 시작한다. 날카로운 조새로 굴껍질을 까고 알맹이를 콕 찍어 소쿠리에 빼놓는 일이다. 단순한 반복 작업인데 묘한 중독성이 있어서 시선이 고정된다. 

그렇게 한참을 작업하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노라니, 먹이를 달라고 머리를 내민 새끼새처럼 보였는지 할머니가 굴 알맹이를 입에 쏙 넣어주신다. 순식간에 입 안에 짭조름한 바다 향기가 퍼진다. 고소하고 달달하다. 자연산 굴은 양식보다 알맹이가 작고 비린 맛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과연 ‘꿀맛’ 같은 ‘굴 맛’이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4월 중순 대도마을은 유채꽃으로 뒤덮인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낚시와 숙박이 한 번에 해결되는 대도의 명물 해상콘도. 대도 앞바다에서는 남해대교의 풍광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다시 섬 주위를 걸었다. 그런데 섬 능선을 타고 파릇한 싹이 올라와 있다. 언덕에 올라서서 보니 광활한 초록 물결이 굽이굽이 이어진다. 유채꽃이 꽃망울을 터뜨릴 채비를 하고 있는 것이란다. 

대도에는 10만㎡에 걸쳐 유채꽃단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4월 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해 4월 중순에는 섬이 샛노란 유채꽃밭으로 뒤덮인다. 이는 이성호 어촌계장이 제주도에서 유채꽃 종자 700㎏을 사들여 파종해 조성한 것이다. 굳이 제주도까지 가지 않아도 유채꽃단지를 볼 수 있어서, 화창한 봄이면 객지인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는 말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콘도가 바다 위에 동동~
대도의 바다에 떠 있는 것은 어선뿐만이 아니다. 바다낚시와 숙박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해상콘도’도 광양만을 수놓고 있다. 종종 대도마을의 해상콘도는 거제도의 그것과 비교되곤 하는데, 이미 10년 전부터 만들기 시작했으므로 이곳이 원조라 할 수 있다.

대도마을에서 수상콘도 운영이 가능한 것은 바다가 육지와 올망졸망한 섬으로 둘러싸인 ‘내해’이기 때문이다. 대도를 둘러싼 바다의 파도가 거세지 않고 호수처럼 잔잔해서 혹여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은 붙들어 매도 된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대도와 농섬을 연결하는 다리.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그런데 마을주민들이나 낚시꾼들은 해상콘도를 1동, 2동이라 부르지 않는다. 소안도, 홍도, 월미도 등 섬 이름으로 부른다. 처음엔 낚시꾼이 “소안도에 데려다주세요” 해서 설마 저 작은 배로 완도군의 소안도까지 가는 것은 아니겠지 했는데, 알고 보니 콘도를 부르는 이름이었던 것이다. ‘대도에는 대한민국 모든 섬이 모였다’는 뜻의 일종의 마케팅이란다. 

잠시 후 노량항에서 마을로 대도호가 들더니 세 명의 낚시꾼들이 해상콘도에서 ‘낚시판’을 벌일 채비를 한다. 경남 함양에서 종종 이곳을 찾는다는 세 명의 강태공과 함께 ‘월미도’로 작은 어선을 몰았다. 그들은 남해대교가 내다보이는 ‘월미도’ 해상콘도에서 하룻밤을 보낼 참이다. 

해상콘도를 빌리더라도 낚싯대는 제공되지 않는다. 각자 가져오는 것이 원칙인데 나는 미처 준비하지 못해 그들이 가져온 여분의 낚싯대 중 하나를 빌려 바다에 드리웠다. 고요한 파도처럼 마음을 정갈히 하고, 이제 기다리는 일만 남았다. 찌의 움직임에 신경을 집중한 지 30분쯤 지났을까. 내 것은 여전히 기미가 없는데, 옆자리에 김정민 씨의 낚싯대가 바다 위에서 격렬하게 춤을 추기 시작했다.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소형좌대에서 낚싯대를 드리운 강태공. 2009년 3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있는 힘껏 낚싯대를 당기니 통통한 몸을 자랑하는 농어가 낚여 올라왔다. 은빛 비늘이 햇빛에 반짝이며 눈부시다. 동료들로부터 내심 부러움의 눈길이 쏟아진다. 통통한 이놈을 항구 앞의 가게에 가져다주면 회를 떠줄 것이다. 30분 만의 수확치고는 꽤 쏠쏠하다. 

“여는 물때만 잘 맞추면 기가 맥히게 올라오지예. 조류가 세서 파도가 칠 때는 낚시 찌가 바닥까지 안 떨어징께 고기 잡기가 좀 힘들고예. 파도 잔잔할 때 하믄 쏠쏠하게 잡힌다 안 합니꺼. 오늘 물때가 좋응께 함 기다려보지예.” 

농어를 어망에 담은 김정민 씨가 시무룩해진 나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을 건넨다. 그 후 인내심이 바닥에 드러날 때까지도 초보자의 낚싯대는 대답이 없었다. 

이들은 오늘 해상콘도에서 밤새 낚시도 즐기고, 비치된 가스레인지를 이용해 요기를 달랠 간단한 요리도 해먹을 것이다. 또한 콘도 안에 마련된 방에서 고요한 파도에 몸을 싣고 잠을 청해도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