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테마여행] 속속들이 도자기 천국, 경기도 여주
[테마여행] 속속들이 도자기 천국, 경기도 여주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9.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도자기 작품.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여주] 경기도 여주 신륵사 입구엔 하얀색 천막들이 물결을 이루며 빼곡히 들어차 있다. 올해로 5회째 치러지는 세계도자비엔날레 축제가 한창이었다. 어디에 이렇게 멋진 도기들이 많이 숨어 있었던 것인지 이것저것 자꾸만 눈과 손이 간다. 다 살 수도 없고 얇은 지갑 속의 돈을 고려하며 이리저리 경우의 수를 짜느라 머리도 덩달아 바쁘다.

1990년, 나는 대학을 다니고 있었는데, 마침 학과에서 일본 큐수 지역과 민간 차원의 교류가 있어서 참가하게 되었다. 큐슈 지역의 일본인 집에 머물며 약 2주간 생활해보는 것으로, 마침 내가 가게 된 곳이 사가현(佐賀縣)의 아리타(有田)라는 지역이었다. 혹 도자기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이 지역이 그리 낯설지 않을 것이다. 

여담이지만 몇 년 전 일본 도쿄의 유명한 초밥집을 취재한 적이 있는데, 그 사장이 가게에서 쓰는 접시가 모두 아리타 산이라고 자랑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아리타는 일본 내에서도 첫손에 꼽히는 유명한 도자기 생산지이자 고급 도자기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플라스틱, 일회용품이 넘치는 시대, 오히려 도기가 진가를 발휘한다. ‘한울도예’의 작품.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당시 그런 사실을 까맣게 몰랐던 나는 그저 생전 처음 하는 해외여행에 들뜨기만 했다. 다행히 인연이 된 일본 가정이 매우 친절해서 심지어 큐슈 이곳저곳을 안내해주기까지 했다. 그런데 이들이 도착한 날부터 나에게 계속 “이삼평이라는 분을 아느냐?”고 물어왔다. 그리고 다음날 맨 처음 나를 안내한 곳이 ‘이삼평 기념비’였다. 그러고는 “이분으로 인해 일본에 도기가 전래되었다”며 심지어 나에게까지 매우 고마워했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아리타 자기의 유명세가 바로 이삼평으로 인해 시작된 것이다.  

나는 한국 사람이면서도 그를 몰랐고, 설명을 듣고 매우 부끄러웠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호평을 받고 있는 백자의 메카이자, 그렇게 일본이 탐을 냈던 도기 기술, 그 원천지가 바로 경기도 광주, 이천, 여주 일대이다.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주도자축제 기간 중, 전통 불가마 넣기 시연. 현재도 나무를 때어 작업하는 도예가들이 있다.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한반도에 자기가 유입된 것은 대략 10세기 무렵이라고 한다. 중국 양자강(揚子江) 하류 월주(越州) 지방의 비색요(秘色窯)가 고려시대에 유입된 것이 고려청자의 시초다. 초기엔 중국의 자기를 모방한 순청자기(純靑磁器)를 만들었지만 이내 독자적으로 유약을 개발하고 기술을 발전시켜 11세기 이후에는 완전히 새로운 독자적인 경지를 이루었다. 그 유명한 상감기법(象嵌技法)이 대표적으로, 도자기 표면을 미세하게 파서 그 안에 백토 등을 넣어 무늬와 형상을 만들었다. 

고려시대는 불교가 한창 꽃피웠던 시기라 차를 즐겼고, 그와 함께 청자도 크게 발달했다. 그러나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안타깝게도 청자 기술은 그 맥이 끊겼다. 불교를 배타하고 유교를 숭상하던 조선은 고려의 화려했던 청자보다 단아하고 순수한 백자를 선호했다. 귀족적인 청자의 시대가 가고 소박한 백자시대가 온 것이다.

더불어 이 일대가 도자기 메카로 한층 부상하였다. 한양에 가까운 지리적 이점에 더해 무엇보다 질 좋은 점토와 도기를 구울 때 필요한 적송(赤松)이 충분했기 때문이다. 

그중 여주 지역의 도자기와 관련된 구체적 기록은 고려 말까지 올라가며, 조선조에는 도자기의 원료를 광주분원에 공급하였다는 일설이 있다.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쓱쓱 칠하는 것 같은데, 금세 꽃이 피어난다.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1884년 광주분원이 문을 닫자 그곳에 있던 도공들 몇 명이 여주에 자리를 잡으면서 이곳에서 만든 작품이 전국에 팔렸고, 여주도자기가 널리 알려졌다. 임진왜란 때 많은 도공이 잡혀가 위기가 있었지만 그 맥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1960년대 후반부터는 호황을 이루어 오늘날에는 공방이 무려 600여 개에 이른다. 현재 도예가들을 여주읍 오학리, 천송리, 현암리 등지에 모여 작업을 하고 있다. 공방들은 규모가 그리 크지 않으나 이곳에서 생산되는 상품은 전국으로 퍼져, 국내 생활도자의 약 60%를 차지한다고 한다.

그곳 공방 중 하나인 ‘한울(HAN WOOL)도예’를 방문하던 날은 봄햇살이 좋아서인지 문이 활짝 열려 있었다. 그 바로 문 앞에서 초벌구이한 그릇에 울긋불긋 그림을 그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아직은 도기라기보다는 토기에 가까운데 그 위에 빨갛고 푸른 꽃들이 붓끝에서 하나둘 피어났다. 

이곳 사장이자 도예가인 탁인학 씨는 도기를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교묘히 오가며 실용적인 작품을 만드는 인물이다. 얼마 전 큰 성공을 거둔 영화 <쌍화점>에서 선보였던 고려시대 도기가 그의 디자인이다. 이곳은 공방과 일반 숍을 함께 겸하고 있는데, 본래는 도매하는 사람들만 찾았지만 소문을 듣고 찾아오는 고객들이 있단다. 깨끗하게 잘 차려진 숍과 달리 도자기 만드는 과정을 슬쩍 곁눈질하며 볼 수 있어 색다르다.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엄마, 나도 직접 도자기를 만들 거예요!”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한울도예’의 작업장 풍경.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사실 도자기 소매상점이 한곳에 많이 몰려 있는 이천과 달리 여주는 상점이 드문드문 떨어져 있어 잘 모르는 초심자가 찾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나마 여주도예촌이라 불릴 만한 작은 단지가 신륵사 앞쪽에 있다. 이곳과 이천도예촌 두 곳에 상점을 내고 있는 ‘도예향’의 대표 정유경 씨는 흙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토기와 자연물을 이용한 매치가 눈에 띄는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그녀는 도기에도 유행이 있다고 말한다. “예전에는 작품으로서 백자와 청자를 찾는 사람들이 꾸준히 있었는데, 요새는 그보다 생활자기 위주로 되어가는 경향이 있어요. 그 때문에 청자, 백자 작업하는 사람들이 많이 줄었죠.” 

도기가 생활 속에 깊이 자리하면서 생긴 현상인 듯하다.

그 힘들다는 청자, 백자 장인이 점차 줄어드는 것은 아쉽지만 많은 사람들이 도기와 친숙해지는 것은 반갑다. 눈부신 봄 햇살 아래 뽀얗게 속살을 드러낸 생활도자기들을 직접 손으로 만져보면서 그 감촉을 오랫동안 즐겨본다. 이 위에 어떤 음식을 놓으면 좋을까, 누구를 초대해서 이 그릇을 자랑해볼까 여러 가지 생각이 많아진다.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저 호리병에 술을 담아 달밤에 친구와 함께 세월을 낚아볼까? 2009년 5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그러나 요즘은 체험여행이 대세! 직접 도자기 만드는 과정을 관람하고, 직접 만들어보는 경험에 도전해보고 싶다면 증터도자체험마을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여주군 여주읍 오학1리에 마련된 이 테마마을에선 31개 업체가 모여 도자생산과 굽기, 문화체험 등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5월 24일까지 여주도자축제 기간 동안에는 신륵사 앞 축제마당에서만 운영된다. 축제 기간 이후 단체가 아닌 개인 체험을 원한다면 도자기조합으로 전화하여 원하는 체험일자와 프로그램 등을 문의한다. 가격은 작품 크기나 내용에 따라 다르며 대략 5000원~2만5000원 선. 

강천면에 위치한 걸은도자문화체험학교(www.ceramictour.co. kr)도 학교나 기업 등의 단체 체험은 물론 가족체험, 개인교습 등의 프로그램이 다양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