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오지마을]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삼척 큰거르내마을, 전깃불 대신 달과 별이 길을 밝히는 곳
[오지마을]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삼척 큰거르내마을, 전깃불 대신 달과 별이 길을 밝히는 곳
  • 손수원 기자
  • 승인 2010.02.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장엄한 산이 둘러처진 큰거르내마을 전경.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 = 삼척] 당연한 것이 당연하지 않게 되면 낯선 풍경이 되고 만다. 단지 전기가 들어오지 않을 뿐인데, 마을의 풍경은 금세 낯설어지고 만다. 큰거르내마을에서 경험한 낯선 풍경은 이제 곧 낯익은 풍경으로 바뀌게 될 것이기에 더욱 특별하다. 

‘설마 전기가 없는 마을이 있겠어?’   

마을을 찾아가면서 전기가 없는 상황이 어떤 것일까 상상의 나래를 펼쳐본다. 
“일단 TV는 못 볼 테고, 그럼 DMB로 보면 되겠네. 참, DMB도 충전을 해야 하지? 그럼 책을 보나? 밤에는 어두워서 어쩌나? 전등을 켜나? 전등도 충전을 해야 하나? 그럼 충전은 어떻게 하나….” 

마을로 가는 길, 아무리 추워도 얼지 않는다는 빨래터. 겨울에도 지하에서 뜨거운 물이 나온단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전기가 전혀 없다는 가정 하에 하루 동안의 생활을 재구성해보려 하지만 이내 뒤죽박죽이 되고야 만다. 나름 시골에서 나고 자라 문명의 혜택이 없는 삶을 잘 이해할 수 있으리란 추측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아무리 시골내기였어도 나 역시 문명인이었던 셈이다.

정선에서 화암팔경이 있는 421번 지방도와 가깝다는 말을 듣곤 ‘내비게이션 찍고 가지, 뭐’했던 계획이 현장에 도착하니 뒤죽박죽되어버렸다. 애초에 지도에도 나와 있지 않는 오지인 탓이다. 우왕좌왕 겨우 ‘대전리 2반’을 찾아 들어갔지만 길가에 늘어선 전봇대는 순간 당황하게 만든다. “어, 이게 있으면 안 되는 건데?”

전기가 들어오게 되어 무척 기쁘다는 해운 스님. 사진 / 손수원 기자
마을로 가는 길, 아무리 추워도 얼지 않는다는 빨래터. 겨울에도 지하에서 뜨거운 물이 나온단다. 사진 / 손수원 기자

몇십 분 동안 지도만 살피다 겨우 한 할머니를 만나 길을 물었다. 
“여가 큰거르내는 맞는데 전기 안 들어오는 마을은 산으로 한참 더 올라가야 있더래여. 근데 겨울에는 다들 밖에 나가서 살다 오는데 지금 사람이 살지 몰라.”
하, 이건 무슨 황당한 시추에이션. 전기가 없으니 난방도 안 될 거고, 아무리 나무를 땐다 해도 겨울나기가 녹록지 않을 것이란 생각은 했지만, 겨울을 외지에서 날 것이란 생각까지는 하지 못했다. 여기까지 왔는데 행여나 텅 빈 마을만 보고 갈까 마음이 다급해진다.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큰거르내마을을 찾아 10여 분을 들어가니 드문드문 집이 보이기 시작한다. 차에서 내려 사방을 둘러보지만 인기척은커녕 멧돼지나 만나지 않을까 온몸이 신경이 곤두선다. 그런데 가만 보니 진짜 전봇대가 없다! 슬금슬금 길을 오르는 사이 순식간에 전봇대의 행렬이 끊겨 있었다. 
‘그나저나 사람은?’

난로로는 한겨울의 추위를 이길 수 없어 뜨거운 물병을 넣고 껴안고 자는 주머니. 사진 / 손수원 기자

사람이 살 만한 집은 여러 채이건만 도무지 문을 두드려도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그때, 한 건물에서 희미하게 연기가 보인다. 사막에서 오아시스 찾은 기분이 이런 걸까? 반가움에 뛰어가 문을 두드린다. “누구시오?” 이윽고 문을 열고 나온 이는 비구니 스님이다. 
“날씨가 이래 추운데 일단 들어오래요.”

그러고 보니 코와 귀가 감각이 없을 정도로 얼어 있었다. 산등성이를 넘어 그대로 땅을 향해 내달리는 겨울바람은 ‘춥다’라는 감각을 인지하기도 전에 온몸의 감각을 마비시키고 있었다.
스님을 따라 들어간 방은 낮인데도 어두운 기운이 감돈다. 촛불 두 개가 유일하게 어둠을 밝히고, 방 한가운데에는 어울리지 않는 연탄난로가 놓여 있다. 밖에서 본 연기는 이 난로의 연통에서 나고 있던 것이었다.  
“진짜 전기가 안 들어오나요?”
“전기 들어오면 방에 난로는 왜 핀데요? 전기 안 들어온 지가 20년도 더 됐지요, 아마.”

큰거르내마을에 전기가 끊긴 것은 마지막 주민이 떠난 1980년대 후반이라 한다. 물론 그 전에는 사람도 많이 살았고 전기도 들어왔었다. 

연탄가스 가득 담은 누런 고드름은 옛 정취를 떠올리게 한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콩과 메밀 등을 기르면서 사는 화전민들이 20여 집 됐었다지요. 그런데 산골에 워낙 외진 곳이다 보니 북한에서 간첩들이 수도 없이 나타났대요. 60살을 넘긴 마을 주민들은 지금도 그때 일을 기억하고 있어요.”
간첩이 자주 출몰하는 탓에 마을 사람들은 이사를 가야 했다. 주민들이 떠나고 나서는 나라에서 집을 싹 밀어버렸다. 행여나 간첩들의 아지트로 사용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마을은 자의 반 타의 반 텅 비게 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부터 마을에 다시 사람이 들어왔다. 

“고랭지 배추가 유행하면서 사람들이 한 둘 들어왔어요. 당시 ‘고랭지 배추 농사 한 번 잘 지으면 집 한 채 가뿐히 산다’는 말도 있었어요. 그런데 이미 전기는 끊겼으니 사는 게 쉽지는 않았지요.” 
스님은 마을에 20여 년 동안 불공을 드리러 오가다 4년 전에 집을 짓고 정착을 했다. 
“3년 전에 처음으로 겨울을 났는데, 진짜 너무 힘듭디다. 난로만으로는 추위를 이길 수 없어서 밤에 잘 때는 뜨거운 물을 담은 병을 껴안고 자요. 세상천지에 이런 곳이 또 있을까 싶더라고요.”

아직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큰거르내마을에서 난로는 집마다 필수품이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집 앞 개울에서 얼음을 깨고 물을 긷는 스님. 사진 / 손수원 기자

스님은 마침 점심식사를 준비 중이었다며 만둣국을 한 상 차려낸다. 여느 상차림처럼 진수성찬을 올린 건 아니지만 그릇 가득 만둣국을 퍼주는 배려가 다른 때보다 훨씬 고맙다. 전기도 없는 이곳에서 가스는 얼마나 귀할 것이며, 버스도 다니지 않는 이곳에서 음식 재료는 또 얼마나 귀한 것인가. 단숨에 먹어버리겠노라 다짐하며 한 숟가락 입에 떠 넣지만 이내 숟가락 드는 속도가 느려진다. 간이 너무 짜다. 평소 맵고 짜게 먹는 내 식성으로도 연신 물을 찾을 지경이다. 

“입맛에 좀 안 맞지요? 그런데 여기선 어쩔 수 없어요. 냉장고를 못 쓰니 김치 같은 건 아주 짜고 맵게 담아야 조금이라도 오래 먹을 수 있으니까요.” 
그 말을 듣고 보니 전기가 없는 생활은 먹는 즐거움까지 제한해 버린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나마 지금은 겨울이어서 좀 나은 편이지만 여름이 되면 어떻게 지낼까  생각만 해도 숨이 턱턱 막혀온다. 살면서 냉장고 없는 생활을 단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다. 모든 풍경이 낯설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다행히 올해 초 수도 시설이 들어오게 되어 이제 이렇게 양동이를 들고 다닐 필요는 없게 되었다. 사진 / 손수원 기자

“마침 물 좀 길어 오려던 참인데, 구경할래요?”
나도 모르게 ‘예?’하고 놀라버렸다. 그럼 물도 안 나온다는 소리?
“물을 끌어올리는 펌프도 전기가 있어야 돌아가니까…. 그래도 개울가에 물이 깨끗해서 마실 만 해요.” 
스님은 난로 위에 놓여 있던 양동이를 들고 집 앞 개울가로 나간다. 작은 개울은 얼음이 꽁꽁 얼어 흐르는 물을 볼 수 없을 정도다. 스님은 돌 하나를 짚어 얼음을 깨고는 이내 드러난 물을 바가지로 퍼 담는다. 

“이 정도면 얼음이 적게 언 거고요, 한겨울엔 못으로 깨야 해요. 아니면 조금 내려가면 한겨울에도 따뜻한 물이 나오는 곳이 있어요. 옛날에는 주민들이 겨울에 빨래하던 곳이었어요. 아마 지하에 온천수가 있나봐요.”
장갑을 껴도 손이 시린 날씨에 차가운 물을 긷는 스님을 보니 이곳에서는 그야말로 물이 물로 보이지 않는다. 다행인 것은 조만간 수도 시설이 들어와 다음 겨울부터는 시린 손으로 물을 뜨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가장 기본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이곳에서는 이제야 비로소 엄청난 혜택으로 주어지는 셈이다. 

올겨울을 나기 위해 가득 쌓아둔 장작. 하지만 곧 마을에 전기가 들어오면 이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될 터이다. 사진 / 손수원 기자

하지만 무엇보다 기쁜 소식은 따로 있다. 올해부터 이곳에도 전기가 들어오게 된다는 사실이다.‘엄연히 사람이 살고 있는데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게 말이 되느냐’며 주민들은 2005년부터 민원을 냈고, 마침내 작년에 결실을 봐 올해 초에는 전기가 공급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렇게 고즈넉한 풍경에 전봇대가 들어선다니’ 따위의 섭섭함은 주민들의 불편에 비하면 정말 아무것도 아닌 불평이다.

아직 해가 저물기엔 한참 남은 오후 4시 즈음이지만 마을엔 그림자가 짙게 드리우기 시작한다. 사방에 병풍처럼 둘러처진 산이 해를 한두 시간이나 먼저 가려버리는 탓이다. “겨울엔 일어나서 불공 드리고 책 좀 읽다보면 어느새 칠흑같은 밤이 된다”는 스님의 말처럼 큰거르내의 낮은 야박하기 그지없다.

아직까진 유일하게 큰거르내의 어둠을 밝혀주는 촛불. 사진 / 손수원 기자

“그래도 좋을 때가 있어요. 여기에선 가로등 하나 없어도 달이 뜨면 엄청 밝아요. 별도 얼마나 총명하게 밝은지 하늘을 바라볼 때만큼은 전기가 없다는 것이 그렇게 다행스러울 수가 없지요.”
도시인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꿈꿔봤을 ‘칠흑같은 밤, 별 하나 나 하나, 별 둘 나 둘’의 낭만이 큰거르내마을에선 일상의 풍경이다. 나 또한 그 낭만적인 밤 풍경을 만끽하고 싶지만 해가 진 후에는 외지인들이 드나들기에는 너무 깊은 산 속이라 날이 밝을 때 큰길로 나가는 게 나을 거란 말에 주섬주섬 짐을 꾸린다. 

큰거르내마을의 내년 겨울은 올겨울보다는 훨씬 따뜻해질 것이다. 마을 주민들은 겨울마다 다른 곳으로 ‘피난’을 가지 않아도 될 것이고, 밤새도록 전등을 켜고 TV를 봐도 누구 하나 뭐라 할 사람이 없게 될 것이다. 하지만 얻는 것이 있는 만큼 잃는 것도 있는 법. 달과 별이 나누어주던 빛의 소중함, 그것조차 이내 문명이 만들어내는 빛에 가려지게 될까 봐 아주 조금은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