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Part 1 토박이 추천 ③] 전남 문화해설사 박광자 씨가 추천하는 영암 선암마을과 덕진차밭
[Part 1 토박이 추천 ③] 전남 문화해설사 박광자 씨가 추천하는 영암 선암마을과 덕진차밭
  • 손수원 기자
  • 승인 2010.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드넓은 덕진차밭.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 = 영암] 영암이 숨겨놓았다는 비밀의 차밭 속으로 꼭꼭 숨어본다. 나의 몸은 자꾸만 초록빛 녹차밭으로 들어가는데, 영암이 자랑하는 거대한 바위산은 눈앞에서 더욱더 선명하게 드러난다.이렇게 극적인 광경을 왜 이제야 찾게 되었나 싶을 정도로 영암이 숨겨놓았던 ‘비밀의 정원’은 아름다웠다. 

“영암 사람들도 잘 모르는 차밭을 우째 알고 오셨으까요?”
맞는 말이다. 영암에 사는 사람들이 월출산은 알아도, 선암마을은 알아도, 그 마을로 들어가면 월출산을 마주하는 ‘비밀의 정원’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지 못한다. 그곳은 다름 아닌 녹차밭. 덕진면에 있어서 ‘덕진차밭’으로 불리는, 아는 사람만 안다는 바로 그곳이다. 

녹차밭으로 가기 위해선 선암마을을 거쳐야 한다. 한반도 지형 마을로 잘 알려진 영월의 선암마을과 이름이 같은 이 마을은 물길을 따라 만들어진 멋진 풍경은 없지만, 수십 년의 세월을 버텨온 돌담길이 또 다른 매력의 멋진 광경을 만들어 낸다. 

선암마을의 오래된 고샅길 돌담. 사진 / 손수원 기자

“요즘 돌담길이 아름답다는 곳엘 가보면 뜻밖에 옛 모습을 잃어버린 곳이 많아요. 돌담길을 보수하느라 진흙이 아닌 다른 재료를 발라놔서 그런 거지요. 어떤 곳은 돌담에 시멘트를 발라놓은 곳도 있던 걸요. 근데 여기를 한 번 둘러보세요.”
박씨의 선암마을 자랑은 가히 과장이 아니다. 선암마을의 돌담은 이제껏 거의 보수를 하지 않은 ‘온 것’이다. 때문에 세월의 풍파에 돌담이 무너져 있기도 하고, 말라죽은 넝쿨이 어지럽게 벽을 타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그런 모습이 오히려 반듯반듯 돌을 새로 쌓아 색깔만 황토색인 시멘트를 바른 모습보다 훨씬 정겹고 보기 좋다.   

차보다는 사람이 걸어야 제 맛인 고샅길은 또 어떤가. 골목을 돌면 개구쟁이 녀석들이 숨바꼭질을 하고 있을 것만 같은 풍경이 돌담길을 따라 쭉 이어진다. 선선한 바람이 댓잎을 스치며 부는 대밭에서는 지나가던 선비가 잠시 멈춰서 시 한 수 읊고 갈 만한 낭만적인 풍경이 연출된다. 

월출산을 향해 걸어가는 덕진차밭 길. 사진 / 손수원 기자

자고로 이런 돌담길에는 포근한 흙길이 어울리겠지만, 아쉽게도 그것까지는 충족할 수 없나보다. 아스팔트 반, 시멘트 반으로 발라놓은 골목길은 황토색 돌담길과 도무지 어우러지지 않는다. 하지만 잠시 와서 둘러보는 나의 눈보다는 매일 이 길을 걸어야 할 주민들의 발이 먼저일 터. 이제껏 세월을 버텨온 돌담길만으로도 대만족이다. 

이 정겨운 마을길을 따라 낮은 뒷산을 오르면 비로소 녹차밭 꼭대기에 당도하게 되는데, 이곳이 바로 호남다원(한국제다)이 운영하는 영암 제2녹차밭, 즉 덕진차밭이다. 우리나라 최대의 녹차밭이라는 보성다원에 비하면 그 크기가 아담하기까지 하다. 더구나 일본에서 들여온 차나무를 심은 보성다원과는 달리 키가 작은 토종 차나무를 심어 어찌 보면 보성다원의 차밭을 축소해 옮겨놓은 듯한 느낌도 받는다. 

덕진차밭은 6월 하순까지 차를 수확한다. 사진 / 손수원 기자

하지만 규모가 작다고 풍광의 감동까지 작은 것은 아니다. 마치 부채를 펼쳐놓은 듯 내리막을 따라 좌우로 펼쳐진 모습은 초록색 비단결을 풀어놓은 듯 청초하다. 초록색은 눈을 편하게 하는 색이라 눈이 편해지니 마음도 안정되며 여유로워지는 듯하다. 

“차밭은 1979년에 만들어져 생긴 지는 오래되었는데, 어째 그동안은 찾는 사람이 드물다가 요즘 들어 사람들이 꽤 찾아오는 편이에요. 신문사나 방송국 같은 데서도 많이 찾고요. 그래서 저도 영암을 찾는 분들에게 꼭 이곳을 추천하고 있지요.”
박광자 씨는 덕진차밭 자체로도 빛이 나지만 최고의 절경은 차밭과 어우러지는 주변 풍경이라며 손가락으로 어느 한 곳을 가리킨다.

이슬을 따는 것일까, 녹차를 따는 것일까. 차밭의 새싹들은 싱그럽기만 하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손가락의 끝을 따라 시선이 머무는 곳에서 ‘와~’하는 감탄사가 절로 터진다. 영암의 넓은 평야가 하늘과 맞닿은 지평선엔 마치 바위가 솟아난 듯 웅장한 월출산이 위풍당당하게 서있기 때문이다. 마치 갑옷을 입은 듯 기암괴석을 온몸에 두른 월출산은 눈앞의 초록 치마폭과 대비되며 더욱 장쾌하다.

“월출산은 영암의 어느 곳에서 보더라도 그 모습이 훤해요. 하지만 차밭이 있는 백룡산은 월출산을 정면으로 마주보는 곳이라 이곳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가장 웅장하고 아름답지요.”
희미한 안개가 산등성이를 휘감아 나가는 월출산의 모습은 신비스럽기까지 하다. 전국의 어느 산이 저렇게 아무런 가림도 없이 온전한 모습을 보여주던가? 세상에 한 치의 부끄러움이 없는 대장군의 기개가 산으로 그대로 옮겨진 느낌이 순간 들었다. 

덕진차밭의 토종 녹차. 사진 / 손수원 기자

“이곳 차는 재래종이 90% 이상이어서 녹차 맛으로도 정평이 나 있지요. 곡우 때부터 차를 따기 시작하는데, 세작과 중작, 대작을 따는 6월 하순까지 이곳에 오면 찻잎 따는 풍경을 볼 수 있어요.”
박광자 씨의 설명을 들으며 차밭 사이의 길을 따라 걸으니 마치 CF 속의 주인공이 된 듯하다. 사방에서 발산되는 초록빛의 감성은 시 한 구절을 읊거나, 노래라도 흥얼거려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차밭 산책은 한 번 휙 둘러보는 것으로 끝내기가 못내 아쉽다. 계절에 따라, 보는 각도에 따라, 어느 배경을 곁에 두고 보느냐에 따라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변하는 차밭을 이리 한 번, 저리 한 번 보는 재미가 꽤 각별하니 놓치지 말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