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Special 2 가을 산사의 단풍] 애기단풍이 일품인 장성 백양사 백암산 단풍맛에 배고픔도 잊었지요
[Special 2 가을 산사의 단풍] 애기단풍이 일품인 장성 백양사 백암산 단풍맛에 배고픔도 잊었지요
  • 이현동 객원기자
  • 승인 2006.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단풍숲에 포근히 안긴 고불총림 백양사.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여행스케치=장성] 호남사람들은 ‘산은 내장이요, 절은 백양사’라 말한다. 그만큼 내장산이 명산이요, 백양사가 대찰임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그런데 내장산을 두루 돌아본 사람이라면 ‘산도 백암산이요, 절도 백양사’라 감히 말할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백암산은 한순간에 감탄케 하면서도 두고두고 마음을 잡아두는 매력이 있다. 

백양사의 가을은 고운 ‘애기단풍’으로 절정을 이룬다. 단풍나무의 잎이 작아서 애기단풍이라 부르는데, 백양사로 가는 길 입구부터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는 단풍잎은 애기손처럼 보드랍다. 햇빛 한줌 털어낼 듯 제 몸을 흔들 때면 자태 또한 귀여운데, 색 또한 작은 붓으로 그려 놓은 듯 곱다. 너무 고와 그런가. 마음에 담기에도 조심스럽다. 

백양사의 가을은 사람들로 붐빈다. 산에 단풍이 들고 물에 단풍이 비치면 사람들마저 단풍을 이룬다. 그 많은 사람들로 오히려 몸살을 앓을 법도 하건만 산은 여전히 말없이 가을이면 고운 단풍만 토해낸다. 제 속은 어떨까? 단풍처럼 속 다 태운 것일까? 그 속을 누가 알까마는 백암산 흰 봉우리처럼 오히려 하얗지는 않을까!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대웅전과 극락보전의 천장에는 여러 종류의 조각상이 매달려 있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백양사로 가는 길. 700년 된 갈참나무가 길 가에 버티고 서 있다. 백암산은 갈참나무와 대나무, 비자나무가 많다. 그래서 단풍이 들 때면 붉은 색만 띄는 것이 아니라 노란색, 붉은색, 푸른색이 흰 봉우리와 함께 묘한 색채의 조화를 이룬다. 바로 이것이 애기단풍과 함께 백암산의 단풍 맛이다.

길을 걷다 마음에 담기 시작한 단풍은 백양사 쌍계루 앞에서 절정을 이룬다. 쌍계루는 양쪽에서 계곡이 흘러내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 양쪽의 계곡은 쌍계루 앞에서 모여 연못을 이루고, 계곡 사이로는 절벽같은 백암산이 우뚝 솟아있다. 연못 아래로 보를 설치하고 그 위로 돌다리를 만들었는데 백양사 제일경은 이 돌다리에서 바라보는 쌍계루 쪽이다. 쌍계루 앞으로 가면 부도전이 나온다. 

그중 만암스님과 소요대사의 부도가 눈길을 끈다. 백양사는 산강수약해서 인물은 많이 나나 사찰은 가난하다고 했던가! 애초에 백양사를 찾을 때 저 고운 단풍 속으로 살짝 숨겨져 있던 백양사의 많은 인물을 만나고 싶었다. 그 분들이 살아간 시대와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시대는 다르지만 백양사에서만은 그 시간을 초월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찾아간 백양사가 아니던가! 저 애기단풍만 보고 간다면, 백양사를 외롭게 두고 간 것이 아닐까. 

부도전을 지나 다리를 건너면서 단풍으로 흥분된 마음을 씻어내고 백양사로 들어선다. 종무소를 찾아들어 불청객이 찾아온 연유를 밝히고 법선스님과 마주 앉았다.

“백양사를 일러 고불총림이라고 하였는데, 고불(古佛)이라면 중국의 조주 종심스님을 두고 한 것입니까?” 물으니 법선스님이 “그도 그렇지만 옛날 부처나 지금 부처가 다르지 않다는, 결국 고불은 인간 본래의 진면목 참모습을 구현한다는 뜻이겠죠.” 우문현답이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경내에서 올려다본 백암산과 단풍의 조화.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단풍이 백양사 곳곳에 피어 있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백양사가 있는 백암산은 ‘백학봉’이라고도 한다. 보름달이 뜨면 학이 날개를 편 듯한데 일년 중 그런 모습을 잘 볼 수 있는 날이 거의 없다고 한다. 옛날엔 환양선사가 백양사에서 법회를 열 때 산에서 흰양이 내려와서 설법을 듣고 갔다고 한다. 그래서 백양사라 하고 스님도 환양(換羊)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양이든 학이든 보름달밤 백암산은 신비롭기까지 하다 그래서 다음 백양사는 보름달밤에 찾을 것이다. 

북에 금강산 마하연이 있다면 남에는 백암산 운문이 있다는 말이 있다. 백양사의 부속 암자들은 6·25전쟁 때 모두 소실되었다. 그 이후에 복원된 암자 가운데 운문암은 백양사를 찾아갔다면 꼭 한번 들러볼 일이다. 물론 선원이라 일반인 출입금지라고 강력하게 붙여놓긴 했지만 못 본 척 찾아든 사람을 내쫓기야 하겠는가. 

아무튼 운문암은 법선스님이 권하신 대로 깊고 높다란 곳에 위치하여 뭇 봉우리들이 운문을 향해 절하는 듯하다. 절을 하는지 딱 버티고 서 있는지 그 모습이 아른아른 거린다. 아침·점심을 굶은 터라 배고픔의 절정이다. 단풍의 절정, 경치의 절정에서 배고픔의 절정이라니.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백양사 주지를 역임한 소요대사의 부도.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곱게 물든 애기단풍은 마치 작은 붓으로 그려 놓은 듯하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한 시간 정도 걸린다는 말에 자신있게 출발해 길가에 늘어선 나무들의 이름표를 보면서 “이건 합다리나무, 저건 사람주나무 그리고 노린재나무, 검양옻나무, 작살나무, 곰의말채, 층층나무, 산딸나무, 검팽나무, 왕괴불나무….” 재미있는 이름들을 보며 즐거워했건만 운문암에 도착하니 산인지 물인지 헷갈린다. “아, 이 충만한 배고픔이여.” 

마침 공양간에서 저녁준비가 한창이다. 슬그머니 다가가 물 한잔 부탁하며 밥 좀 달라 했더니 선뜻 몇 가지 찬을 챙겨 밥과 함께 주신다. 꿀맛 같은 밥, 최고였다. 하산하여 백양사에 다시 들러 법선스님을 만나 운문암에서 시간도 아닌데 공양을 했다고 하니 넉살도 좋으시다고 한다. 넉살 좋은 것도 여행의 행복이고 즐거움이다.

백양사의 진면목을 제대로 들여다보지도 못하고 지친 몸 귀가를 서두르다 잠시 쌍계루에 올라 내리는 어둠에 나를 맡긴다. 바람도 물도 숨죽인 고요. 단풍잎 하나가 떨어진다. 어디에서 어디로 떨어지는지 조차 짐작할 수 없었다. 다만 백양사 애기단풍 속에 백암 같은 하얀 마음이 있다는 것을 알았을 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