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사찰 단풍여행 ②] 곶감마을 상주 노음산 남장사 뭐가 그리 부끄러워 온 절간이 붉게 물들었을까? 
[특집 사찰 단풍여행 ②] 곶감마을 상주 노음산 남장사 뭐가 그리 부끄러워 온 절간이 붉게 물들었을까?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7.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단풍이 곱게 물든 남장사.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상주] 곳곳에 주황색 감이 알전등처럼 비추고 있는 곶감의 고장 상주. 그중에서도 노음산 아래 남장리는 대표적인 곶감마을이다. 이 곶감마을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가을 풍경이 예사롭지 않은 절을 만나게 된다. 늦가을과 초겨울의 운치가 특히 아름다운 절, 바로 남장사다. 

남장마을을 지나쳐 오는데 곳곳에 주황색 알전등이 가득하다. 바로 지금이 가을이라는 것을 온몸으로 말해주는 감들이다. 곧 있으면 주민들에 의해 나무에서 똑똑 따져 일부는 건조장에서, 일부는 집집마다 처마 밑에서 몸을 말리며 상주 명물이 될 준비를 할게다. 그중에서는 채 마르기도 전 떫은맛으로 갓난쟁이의 조막손에 쥐어져 “에잇 퉤퉤! 맛 읍떠”라며 버림당할지 모를 일이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남장사의 입구인 일주문.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달콤한 곶감 냄새에 취해 한참을 가다보니 왼쪽에 ‘웃기게 생긴’ 돌장승이 하나가 보인다. 사람들은 “그 참 되게 못생겼네” 하는데, 나는 그냥 웃기게 보여 참 정감이 간다. 코도 남자답게(?) 주먹만 하고 눈도 왕방울만 하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살짝 올라간 살인미소. 요목조목 떼어놓고 보면 그리 못생긴 얼굴도 아니다. 다만 그걸 조합해 놓으니 좀 웃기게 생겨버린 것뿐. 게다가 키 186cm에 얼굴 길이만 76cm. ‘못생긴 놈들은 서로 못생긴 얼굴만 봐도 즐겁다’는 말을 실감한다. 

남장사에서는 다른 절간에서 볼 수 있는 사천왕(四天王)이 없어 조선시대 후기에 남장동을 지키기 위해 이 돌장승을 세웠을 거라는 게 정설이다. 사실 이 얼굴도 화가 난 모습이라는데, 보는 사람마다 얼굴을 마주대고 피식 웃어버리니 이래서야 영 체면이 서질 않는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노음산 아래 내려앉은 남장사 전경.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주차장에 차를 세워놓고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붉은 단풍을 만들고 있는 오솔길을 걸어 올라간다. 한적하기 그지없는 숲에선 청솔모가 뛰어다니고 새들이 지저귄다. 노악산 자락의 단풍은 이곳에도 고스란히 전해져 있다. 특히 남장사 가는 길은 ‘경북팔경’에 손꼽힐 만큼 단풍 가득한 늦가을의 정취가 그만이다. 

스륵스륵 굴참나무의 낙엽을 밟으며 가는 길은 깊어가는 가을이 조금만 더 이어지길 간절히 원하고 있다. 그것을 원하는 것은 파르르 떨고 있는 갈대도 마찬가지다. 길 옆으로는 작은 계곡이 좁은 물길을 열고 있다. 이미 한여름 수많은 피서객들에게 시원함을 주었던 그 계곡이건만 가을엔 낙엽을 실어 나르며 붉고 노랗게 흐르고 있다. 

가는 길이 아름다운 절은 운치가 있다. 흔히 말하는 문명의 이기가 들어서지 않은 원시의 아름다움이다. 기념품을 파는 가게도, 동동주에 파전을 파는 가게도 하나 없이 쓸쓸한 오솔길이지만 노랗고 붉은 단풍들이 들어찬 지금은 오히려 그것이 더 감사하게 여겨진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영산전에서 발견된 진신사리를 모신 삼층석탑.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나무와 새들을 벗 삼아 조금 올라가자 일주문이 보인다. 여느 절의 그것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자세히 보면 기둥이 특이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기둥에 활처럼 휜 또 다른 기둥이 두 개씩 덧대어 버티고 있다. 어떠한 이유에서 저런 특이한 모양으로 기둥을 세웠는지 모르지만 보면 볼수록 주변 경관과 참 잘 어울린다. 

남장사 일주문엔 눈 내리는 날 일주문을 통과해 부처님께 간절히 기도하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전설이 있다. 물론 여느 곳 치고 그런 전설 하나쯤 없는 곳이 있겠냐만 그만큼 설경 속의 남장사 일주문은 다른 곳과는 다른 특별한 운치가 있다는 말일 게다. 물론 그에 못지않게 가을 풍경도 멋지다는 것은 다시 말하지 않아도 될 터이다.  

일주문을 지나 도안교를 건널 때까지 한가로운 단풍 길은 계속된다. 2층 누각인 범종루를 지나면 드디어 남장사 안으로 들어온 것이다. 바로 보이는 건물은 극락보전이다. 남장사는 크게 극락보전이 있는 곳과 그 뒤쪽의 보광전이 있는 곳으로 나뉜다. 우선 이 극락보전이 있는 곳은 건물이 하나밖에 없어 마당이 넓어 보기에도 시원하다. 특히 가지런히 깔린 잔디가 무엇보다 인상적이다. 

절을 둘러싼 돌담 위로 울긋불긋한 단풍이 지붕을 얹는다. 넓은 마당에 삼층석탑과 어우러진 단풍의 모습은 마치 과거로의 여행을 떠난 듯한 느낌을 준다. 신라시대의 가을로 여행을 떠난다면 아마 이런 풍경이 아닐까 싶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부처의 세상으로 나아가는 불이문의 계단에서 바라본 보광전.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남장사는 일반인에게는 좀 생소한 절이지만 불교미술 쪽에서는 꽤 소문이 나 있다. 국내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걸작품이 보광전에 있기 때문이다. 보광전으로 가기 위해서는 부처님을 모신 불전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뜻의 불이문을 지나야 한다. 누각 밑으로 통해 있는 불이문 계단은 마치 도시의 지하통로를 연상시킨다. 좁고 어두운 통로를 지나면 보광전이 정면으로 보이고 열린 문을 통해 보물 990호인 철불좌상과 보물 922호인 목각탱이 보인다. 이들이 바로 우리나라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손꼽히는 문화재들이다. 

남장사 전체를 한가로이 걷는 것만으로도 가을의 정취를 한껏 느낄 수 있지만 더 여운을 남기고 싶다면 보광전 뒤까지 돌아가 봐야 한다. 이곳에 진입로 못지않은 호젓한 산책로가 펼쳐진다. 절간을 둘러보느라 조금 지쳤다면 절에서 조금 떨어진 영산전으로 가보는 것도 좋다. 겨우 100여m도 안 되는 짧은 오르막이지만 사람들이 쌓아놓은 돌탑과 어우러진 단풍들이 여느 곳 못지않게 운치 있다. 

낙엽이 수북한 산길을 천천히 거닐며 남장사에서의 여흥을 되새긴다. 더는 가을을 잡아둘 수 없는 시간이 되어 첫눈이 내리면 남장사는 또 다른 풍경으로 사람들을 맞이할 것이다. 그것이 어떤 풍경일까 궁금해 계절이 바뀌면 또다시 남장사에 오고 싶어진다. 사람들의 발길이 뜸해 조금은 쓸쓸하지만 오히려 그것이 무한한 매력으로 여겨지는 곳 또한 이 남장사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