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맛기행] 제철 만난 간월도 바다 그 많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맛기행] 제철 만난 간월도 바다 그 많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8.0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간월도 바다.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서산] 밥도 여러 사람이 모여 먹어야 맛있고, 제철 만난 새조개도 북적거리는 횟집에서 감질나게 먹어야 더 맛있는 법. 그러나 한창 제철을 만난 천수만의 굴과 새조개가 뜻하지 않은 된서리를 맞아 썰렁하니 아쉬움이 크다.  

불어에서 바다를 가리키는 ‘Mer’는 어머니라는 의미의 ‘Merr’와 발음이 같다. 그 넓이와 깊이를 알 수 없다는 점에서 바다는 어머니이고, 어머니는 바다이다. 때문에 지난 유조선 사고로 까맣게 죽어가는 태안의 바다를 보며 어머니의 가슴에 깊은 생채기를 낸 자식의 심정마냥 참담했다. 많은 이들이 그랬을 것이고, 이들의 거대한 땀방울로 바다는 다시 숨을 쉬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파는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연일 뉴스며 신문이 헤드라인에 사태를 보도하자 기름 피해가 없는 천수만까지 덩달아 관광객의 발길이 줄었다. 온 국민이 걱정하는 와중에 인근 지역으로 여행을 가는 것이 꺼림칙하겠지만, 한참 식도락가들로 붐벼야 할 마을이 썰렁한 모습을 보니 이 또한 마음이 좋지 않다.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간월도의 유명한 일몰.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간월도에서 보증한다는 무학표 어리굴젓 매장.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어리굴젓
“여기는 피해가 없는데 사람들이 모르니께 작년보다 오는 사람이 1/10로 줄었어.”
그래도 손을 놀릴 수 없는지 부지런히 굴을 까며 느릿한 충청도 말로 이방인을 맞는 건어물가게 ‘항구할머니’의 할머니. 끌탕을 하는 와중에도 “이거 함 잡사볼텨?” 하며 아기 볼처럼 통통하게 살이 오른 굴을 한 손에 들고 벌써부터 기다리고 있다. 아무리 사양을 해도 이미 주기로 한 이상 거둘 수 없다는 듯 손짓이 단호하다. 차진 굴 속속들이 숨어 있던 겨울바람, 겨울 바다…. 그 향이 혀끝에 착 감긴다. 채 굴이 목으로 다 넘어가지도 않았는데 할머니는 또 “어이, 하나 더 먹어. 좋아하믄” 하신다. 관광객이 없는 썰렁한 바닷가 마을에 찾아온 손님이 반가우셨던 모양이다. 

이 신선한 굴이 간월도를 전국에서 유명하게 만든 일등공신이다. 그 유명한 어리굴젓의 재료이기 때문이다. 이곳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여 알이 굵고 크지 않지만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이것을 11월 중순부터 채취하여 깨끗한 바닷물에 씻어 15일간 숙성을 시킨 뒤 태양초 고춧가루로 버무린 것이 간월도 어리굴젓이다. 일설에는 고춧가루로 버무려서 맛이 얼얼하기 때문에 ‘어리굴젓’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어리굴젓은 조선 초 이곳에서 수련을 하던 무학대사가 태조 이성계에게 어리굴젓을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이후 세종대왕은 어리굴젓이 없으면 수라를 들지 않았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로 역사적으로도 인정받는 식품이다.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간월도 입구의 어리굴젓 기념탑.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쩌어기 동네 입구에 음식 기념탑 최초로 어리굴젓기념탑을 세웠을 정도자녀. 요즘에는 수입산도 들어오고 가격도 딴 데보다 비싸지만 그래도 원조 맛이 어디 가남?”

‘무학표 간월도 어리굴젓’ 공장에서 만난 김덕신 씨의 말이다. 간월도에서는 어리굴젓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생산 라인을 단일화하고 있다. 간월도에서 채취하는 굴의 전량을 이곳에서 수거하여 맛의 품질을 보증하고 있다. 이 마을의 김만석 이장이 “이 공장에서 나는 것만이 진짜 간월도 어리굴젓”이라 말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예년에 비하믄 찾는 사람이 턱없이 줄었슈. 그래도 곧 좋아지겠지, 워떡혀유.”
충청도 특유의 낙천성이 그래도 반갑다. 작은 공장을 나서며 마을 앞 간월암으로 향하는 길, 손님도 없이 썰렁한데 “어리굴젓 사세요” 하고 목소리 높이는 아낙의 목소리가 유달리 길게 울린다.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손님을 환영하는 간판이 아직은 쓸쓸하다.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새조개 
새조개를 처음 먹어본 것은 불과 4년 전, 여행통 선배가 후배들을 몰아 이곳까지 와서는 푸짐하게 한턱을 낸 것인데 네다섯 장정이 말도 안 하고 순식간에 냄비를 비웠던 기억이 난다. 흥부네 집 밥상처럼 쏟아지는 젓가락 세례 속에서 제대로 맛을 느꼈을까 싶지만, 신기하게도 그때 혀끝에 감돈 쫄깃함은 단번에 뇌리에 박혔다. 이런 맛있는 것을 못 먹어보고 죽으면 참 억울했겠다 싶을 정도였다. 이건 순전히 개인적인 맛의 취향이니 어느 정도 가감하고 들으시라. 그러나 실제로 새조개는 조개 중에서 황제급으로 놓는 귀한 식품이다. 사실 한창 살이 오르는 1월에는 새조개 샤브샤브 2인분짜리가 5만원까지 치솟으니 결코 만만한 놈은 아니다. 

이곳 주민도 새조개를 두고 “그니께 아무나 먹는 게 아녀”라고 할 정도. 김만석 이장은 “저쪽 아래 지방에서 가져온 것은 가격이 좀 싸지. 천수만에서 잡힌 것이 한 만원 정도 더 비싸. 훨씬 살이 좋으니깐 그려”라며 거든다.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살이 통통히 오른 새조개. 2008년 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새의 부리 모양이라고 해서 새조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데 실제로 다른 조개들과는 사뭇 모양새가 다르다. 12월에서 3월이 제철이지만 본격적인 맛은 한창 바람이 매서운 1월부터다. 이때가 알이 굵고 육질이 부드러워서 이 맛을 1년이나 기다렸다는 사람들의 심정이며, 왜 이를 명품조개라 하는지 실감할 수 있다. 새조개는 보통 육수에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지만, 식도락가들은 회로 즐기는 맛을 더 좋아하기도 한다.         

간월도에는 이런 새조개를 즐길 수 있는 횟집이 10곳 정도, 선상포장마차가 20곳 정도 늘어서 있다. 이곳에서 그럭저럭 20년간 선상횟집을 운영했다는 ‘명성호’ 주인장 부부는 앞바다에서 나는 차진 새조개와 회로 네 아이를 모두 대학까지 가르쳤단다. 이 부부도 이맘때 쯤이면 마을이 들썩일 때인데 손님이 없다며 주름이 깊다. “이제부터 버는 돈은 노후대책 해야 허는디 말여. 그래두 우리는 좀 있시먼 괜찮아지것지만서두 태안은 언제 해결될지도 모르고. 거기가 더 큰일이지.” 어느새 새조개 이야기는 끝나고 또 기름때에 얼룩진 바다 이야기로 되돌아간다. 다행히 내 집 앞 바다는 큰 화를 면했지만, 울타리 없는 바다를 앞마당처럼 함께 쓰고 있으니 어찌 그 맘을 모를까. 세상의 깊은 시름을 아는 듯 모르는 듯 제철을 맞은 새조개는 제 혼자 알아서 통통하게 살이 올라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