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자전거 여행] 자연과 인간이 평화롭게 어우러지다 한강 호령하던 한성 백제의 흔적, 성내천
[자전거 여행] 자연과 인간이 평화롭게 어우러지다 한강 호령하던 한성 백제의 흔적, 성내천
  • 김대홍 기자
  • 승인 2008.1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걷기 좋은 산책로.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여행스케치=서울] ‘백제’ 하면 부여나 공주를 먼저 떠올리는 이들이 많지만, 충청도와 전라도에 터를 잡기 이전 백제의 근거지는 서울이었다. 그 시절 백제를 ‘한성 백제’라고 부른다. 서울 올림픽공원 안엔 한성 백제 시절 주요 근거지 중 하나인 몽촌토성이 있고, 근처엔 풍납토성이 있다. 그 성 주위를 성내천(城內川)이 감싸 흐른다.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성내천에 들어가기 전에 일단 숙지.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1927년 한강 대홍수 때 404명이나 죽었다고?
남한산성 청량산에서 발원했다고 하기도 하고(서울시 홈페이지), 송파구 마천동에서 발원했다고 하기도 하는(<600년 서울 땅이름 이야기>) 성내천은 올림픽공원을 지나 몽촌토성을 돈 뒤 잠실철교 부근에서 한강으로 이어진다. 길이는 9.4~9.77km 정도로 그다지 길지 않다. 

화창한 가을, 자전거 친구와 함께 길을 나섰다. 서울 서북쪽 인왕산에서 출발한 나와 서울 서북쪽 아현고개에서 출발한 친구는 한강 마포지점에서 만났다. 싱그러운 바람을 맞으며 한강을 거슬렀다. 잠수교를 건너 성내천 입구에 도착하니 대략 1시간 정도가 지났다. 입구에서 잠시 숨을 고르며 땀을 훔쳤다. 주위를 두리번거리다 입구에 있는 성내천 이용 안전수칙과 눈이 ‘딱’ 마주쳤다.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올림픽공원에 나타난 태권 V.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자전거 이용자는 보행자에게 양보의 미덕을!” 
“수질보호를 위해 물고기에 먹이를 주지 마세요.” 

안전수칙 표지판이 예뻐 마음에 든다. 직각으로 꺾인, 틀에 박힌 표지판이 아니라 주변과 잘 어울린다. 표지판 옆에 있는 다리는 여울목다리다. 이 다리를 지나면 성내천 여행의 시작이다. 여울이란 바닥이 얕거나 좁아 물이 세게 흐르는 곳을 말하는데, 물살이 그리 세어 보이진 않는다.

다리를 건너면 아주 잘 닦인 길이 나타난다. 자전거길은 빨갛게, 보행자길은 파랗게 칠했다. 둘 사이엔 노란 선을 그었다. 평소 걷는 사람이 많은데, 대낮이라 그런지 한산하다. 옆에 보이는 커다란 건물은 서울아산병원이다. 아산은 고 정주영 현대 창업자의 호다. 사람은 떠났지만 이름은 남았다. 성내천 건너편과 서울아산병원 사이엔 다리가 놓여 있다. 길이는 짧지만 꽤 높아 지나려면 아찔하다. 입구엔 서울시 주요홍수현황이 기록돼 있다. 피해액이 상상보다 크다.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자연과 어우러진 조형작품.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1927년 을축년대 홍수 때는 무려 404명이 죽고 건물 1만8072동이 부서졌다. 당시 피해액만 4600만원. 식민지 백성들에게 그와 같은 엄청난 자연재해는 어떤 상처를 남겼을까. 1972년에도 큰 홍수가 일어나 301명이 죽고 건물 4만1200동이 부서졌다. 피해액은 20억원에 가깝다. 이게 끝이 아니다. 

1984년 홍수 때는 43명이, 1990년엔 44명이 죽었다. 따지고 보면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그러나 한강에서 일어난 홍수로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내가 너무 숨 가쁘게 달린 것일까, 너무 쉽게 잊고 사는 것일까. 이런저런 생각을 하고 있는데, 친구가 저 앞에서 한마디한다. “형, 빨리 가시죠.”
 
오래지 않아 갈림길이 나타난다. 직진길 대신 왼쪽으로 꺾인 내리막길로 들어서면 올림픽공원 가는 길이다. 오른쪽에 숲이 보인다. 제법 울창하다. 숲을 지나니 송파시각장애인축구장과 송파여성전용축구장이 나온다. 소수를 위한 체육시설이라 눈길이 간다. 천은 계속 부드럽게 휘어진다. 

성내천은 몽촌토성을 한 바퀴 돈다. 성 주변을 둘러싼 해자(垓子)에 물이 흐른다. 해자란 적이나 동물을 막기 위해 파놓은 구덩이다. 여기서 다시 다리를 건너면 올림픽공원으로 들어가게 된다.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가을 하늘을 만끽하는 사진가.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곰말다리 까치다리 청룡다리…, 성내천엔 다리가 많다
짧은 성내천엔 유난히 다리가 많다. 서울올림픽파크텔에서 풍납로 쪽으로 건너가는 성내교가 있고, 올림픽공원 안 호수 위에 곰말다리, 까치다리, 구중교가 있다. 북1문쪽엔 무지개다리, 북2문쪽엔 청룡다리가 있다. 

다리를 건너니 눈이 환해지도록 초록이 펼쳐진다. 초록 바다다. 바닥엔 온통 풀이고, 풀 사이사이 큰 나무들이 잔뜩 잎을 매달고 있다. 풀밭 위엔 아무렇지도 않은 듯 조각들이 놓여 있다. 미술관을 박차고 나온 조각들. 올림픽공원 안엔 전세계 110여 개국 200여 명의 조각가가 참여해 만든 218개 조형작품이 만들어져 있다. 자연과 사람이 참 잘 어우러져 있지 싶다.

몽촌토성은 사적 제297호다. 몽촌토성 주변으로 산책로가 나 있다. 길이는 2340m. 걷는 게 좋겠다 싶어 산책로 입구에 자전거를 세웠다. 망원렌즈를 단 사진기를 든 사람 여럿이 사진을 찍는 중이다. 저 멀리 외로이 서 있는 나무를 찍는 것 같기도 하고, 그 너른 들을 혼자서 지키고 있는 허수아비를 찍는 것도 같다. 아니면 하늘을 찍고 있는 것일까. ‘풍덩’ 빠지고 싶을 정도로 파란 하늘이다. 

흙길을 밟으니 기분이 좋다. 토성을 따라 걸으니 은행나무 한 그루가 눈에 띈다. 높이가 17.5m인 나무의 나이는 530세. 1438년에 지정했으니, 정확히 말하면 570세인 셈이다. 오래된 나무가 이 은행나무뿐인 건 아니다. 공원 안엔 430년 된 느티나무도 있다. 역시 지정날짜로부터 계산하면 470살이다. 

성 한쪽엔 목책이 만들어져 있다. 한성 백제 시절 적군을 방어하기 위해 만든 시설을 재현한 것이다. 당시 백제의 적군은 고구려였다. 저 목책을 사이에 두고 벌어졌을 무참한 살육전들. 목책은 아무래도 아슬아슬해 보인다. 친구가 “저 목책이 얼마나 적군 방어에 도움이 됐을까요”라고 묻는다.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아파트에 둘러싸인 석촌호수. 2008년 1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과거 고구려군이 서 있었을 곳을 바라보니 그곳엔 아파트가 서 있다. 지금 자연과 과거 역사 흔적을 파괴하는 것은 아파트들이다. 지금의 아파트들은 오래전 고구려군보다 더 강력하다. 그 시절 전투가 끝나면 다행히 흔적이라도 남지만, 지금은 터조차 찾을 길이 없다. 성내천을 사이에 두고 아파트와 몽촌토성은 대치 중이다.

주위를 바라본다. 풀이 참 곱다. 저 풀을 밟고 싶은 마음이 솟구친다. 허나 누구 하나 들어서는 사람이 없다. 한번 밟아볼까 마음을 먹었을 때 표지판 하나가 ‘딱'’ 나타난다. ‘내가 디딘 한 발자국 멍드는 우리 사적지.’ 아차, 내 마음을 읽었나 보다. 펜싱경기장, 구 경륜장 등을 돌아 조각공원을 거쳐 올림픽공원 입구로 나왔다. 

여기서 석촌호수가 근처다. 친구에게 “석촌호수 어때?” 하고 말하니, 흔쾌히 동의한다. 호수 둘레엔 산책로가 만들어져 있는데 그 길이 2560m나 된다. 한 바퀴 돌려면 40분 정도 걸리니 만만치 않다. 자전거를 타고 근처에 가니 경비원이 제지한다. “여기는 자전거는 못 들어갑니다.”

아쉽지만 호수 산책길 대신 차도 옆에 놓인 자전거길을 따라 호수 둘레를 돌았다. 걸어서 돌았다면 더 좋았겠지만 이미 해가 뉘엿뉘엿하다. 오늘 여행은 여기까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