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① 구름 위의 암자] 天下一景 남해 금산 보리암 바다가 열리니 미련도 스러지더라
[특집 ① 구름 위의 암자] 天下一景 남해 금산 보리암 바다가 열리니 미련도 스러지더라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6.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기암괴석이 만들어내는 풍경이 일품인 금산의 보리암.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남해] 산에도 ‘몸짱’이 있다면 미끈한 산허리에 우락부락하지만 환상적인 기암괴석을 근육처럼 자랑하는 금산이 단연 꼽힐 것이다. 원효대사도 그것을 알았던 것일까. 남해를 굽어보는 금산 대장봉 벼랑 아래 아슬아슬하게 보리암을 사뿐히 얹어 놓았다.

보리암 입구에 이르자 입이 떡 벌어진다. 올라오던 길에는 돌담과 나무로 가려져 미처 알지 못했던 남해바다가 두 눈에 꽉 들어찼기 때문이다. 그림으로 된 지도가 아닌 실제 풍경으로 보는 지도, 그 말이 맞다. 남해 다도해의 모습이 손에 들고 있는 지도의 그것과 똑같다.

한두 번 와본 사람들이야 ‘와~ 경치 좋구나’하며 감탄만 하면 그만인 것을, 지도까지 펼쳐가며 해안선의 생김과 무인도의 위치까지 바둑 기보 훑듯 확인하고 있으니 참 촌스럽다. 하지만 괜찮다. 나중에라도 이 천하의 비경을 기억해낼 수 있다면 말이다.

보리암에 들어서자 염불소리가 가득하고, 소원성취의 기대를 안고 불공을 드리러 온 사람들은 더욱 가득하다.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해수관음보살상 아래에서 불공을 드리는 불자.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3층 석탑 주위를 돌며 소원을 비는 불자들.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우리나라에는 3대 관음 기도 도량이 있다. 낙산사 홍련암, 강화도 보문사, 그리고 금산 보리암. 혹자는 설악산 봉정암과 팔공산 갓바위를 홍련암과 보문사 대신 치기도 하지만 금산 보리암만은 결코 빠지는 법이 없다. 그만큼 관음성지로서 보리암은 그 입지가 굳건하다. 이성계가 이곳에서 기도를 하고 조선을 얻었다고 하니, 세계재패는 아니더라도 무병장수와 수능 만점 정도의 소원은 거뜬히 이루어지지 않을까.

용마루에 거의 닿을 듯이 맞대고 있는 보광전과 범종각을 지나 계단을 내려가면 해수관음보살상이 있다. 온화한 미소를 머금고 남해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그 모습이 더 없이 자비로워 보인다. 보살상 바로 오른편에는 허태후의 전설이 깃든 보리암3층석탑이 자리 잡고 있다.

김수로왕의 비인 허태후가 인도에 갔다가 돌아올 때 풍파를 만나 건너오지 못했다고 한다. 그런데 배에 파사석(인도에만 있는 돌)을 싣고 오니 아무 사고 없이 무사히 건널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돌을 가지고 원효대사가 석탑을 쌓았다고 하는 전설이 전해온다.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쌍무지개문'이라는 뜻을 가진 쌍홍문.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괴수댁이 총각의 상사를 풀어준 사랑이야기가 들려오는 상사암.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그럴듯한 전설 하나쯤 담고 있지 않은 유물이 어디 있겠냐마는 이 3층석탑은 위에 나침반을 올려두면 위치에 따라 동서남북이 달라지는 ‘자기난리’(磁氣亂離)가 일어난다고 하니 분명 범상치 않은 석탑임에는 틀림없다. 혹자는 탑 안에 부처님의 사리가 들어있어 그렇다고 하고, 어떤 이는 탑 아래로 우주의 기운이 흐르기 때문이라고도 하는데, 이유야 어쨌든 전설과 과학적 현상이 오묘하게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 신비감을 더한다.

혹시나 해서 잠시 카메라를 닫고 탑돌이를 해보았다. 시계 방향으로 천천히 발걸음을 옮기는 동안 보리암과 기암괴석들, 해수관음보살상, 그리고 앞으로 넓게 펼쳐져 있는 남해의 기운이 한꺼번에 전해지는 느낌이다. 이런 기운을 받는다면 굳이 영험한 종교적 기운이 없더라도 하는 일 모두 다 잘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세상사 모든 일은 마음먹기 나름’이라는 말이 새삼 떠오르는 순간이다.

분명 쌍홍굴 가는 이정표를 보고 길을 따라 걸었는데, 엉뚱한 정상 부근의 금산산장으로 빠져버렸다. 황당한 마음 반, 그래도 조난당하지 않은 것이 어디냐는 안심 반이다. 이곳 금산, 사람의 마음을 참 많이도 들었다 놨다 한다. 우람한 덩치에 맞지 않게 참 새침하다.

조선시대 이성계가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를 연 것에 감사하는 뜻으로 보리암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조선시대 이성계가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를 연 것에 감사하는 뜻으로 보리암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2006년 5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전설도 많고 사연도 많다는 이곳의 괴석들은 하나 같이 이렇게 어떤 사물을 닮아있다. 아직도 저 괴석들은 밤이면 깨어나 오순도순 이야기를 나누고 금산을 뛰어다닐 것 같은 공상 속에 빠져본다.

발길을 돌렸을 때, 아까와는 다르게 긴장감이 맴돈다. 금산38경의 모든 구경거리에 이정표나 안내판이 설치된 것이 아니어서 자칫 잘못하다가는 방금 전처럼 그곳을 지나가면서도 그냥 지나쳐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걸음에 좌우 한 번씩, 그렇게 꼼꼼히 살피며 다음 목적지로 향한다.

그런데 이러다보니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 이러다간 38가지 천하절경을 다 보지 못할지도 모른다. 딜레마다. 그럴듯한 안내지도도 없이 무작정 38경을 다 찾아 돌아다니자니 이래저래 헤맬 것 같고, 발걸음을 늦추고 꼼꼼히 살펴보자니 하루가 너무 짧다.

하지만 행복한 고민이다. 아이스크림 31가지를 골라먹는 것도 행복한 고민일 지언데, 38가지의 천하절경을 골라 보는 일의 행복함과 설렘은 말해서 무엇하리. 어릴 적 하던 놀이대로 손바닥에 침 한 번 ‘퉤!’ 뱉어 두 손가락으로 ‘탁!’쳐서 방향을 정해도 될 것 같다.

카메라 셔터를 누르며 따라 눈을 깜빡인다. 금산과 보리암의 기운과 풍경을 마음의 필름에도 간직하기 위해서 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