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② 구름 위의 암자] 하늘에 닿은 산사, 구례 오산 사성암 기암을 딛고 날개짓하는 천상 누각
[특집 ② 구름 위의 암자] 하늘에 닿은 산사, 구례 오산 사성암 기암을 딛고 날개짓하는 천상 누각
  • 이현동 객원기자
  • 승인 2006.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일출 명소로 손꼽히는 구례 사성암. 2006년 5월 사진.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일출 명소로 손꼽히는 구례 사성암.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여행스케치=구례] 소문이 자자하다. 구례 사성암을 가봤냐고. 그리 좋은 절에도 아직 못 가봤냐고. 물음에 웃음 지으며 혼자 몇 번을 찾아간 일을 손꼽아 본다. 그래, 참 많이도 찾아갔구나. 한 번을 찾든 두 번을 찾든 사성암을 스쳐가는 바람보다 못한 것을….

사성암, 544년(백제 성왕 22)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연기조사라면 저 유명한 화엄사 사사자석탑에 공양상으로 남아 있는 화엄사의 창건주라고 전해오는 인물이자 신라 황룡사에서 화엄경을 설하였던 스님이다.

화엄사 창건주 연기조사와 황룡사에 계셨다는 연기조사는 시대를 넘어선다. 스님이 시대를 넘어 다시 오신 것일까? 아무튼 연기조사가 창건한 사성암은 이후 원효, 도선, 고려시대 진감국사 혜심까지 해서 네 분이 머문 곳이라고 한다. 그래서 사성암이라고 하는데 원래 이름은 오산사(鰲山寺)였다. 산 이름이 오산이다.

구례 사성암에 정신없이 올라 아래를 내려다보면서 사성(四聖), 이분들이 여기에 오래 머물었을까 하고 생각해본다. 하늘에 닿은 산사는 지리산마저 그 높음에 비해 고개를 숙인 듯 낮게 보이고 태극으로 돌아가는 섬진강 물줄기가 아득히 그 흐름마저 멈춘 듯 보이는 사성암. 그러나 하늘에 닿았지만 이곳에서 도를 이루기는 하늘의 별따기가 아니었을까?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경내의 기와불사. 간절한 소원이 적혀있다.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해가 진다. 사성암이 노을에 잠겨든다.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무릇 도란 물이 있어야하고 나무가 있어야 한다. 하늘에 닿은 만큼 오히려 메마름이 있다. 천하를 굽어보고 어찌 도를 이루겠는가! 혼자만의 생각이 이쯤에 이르렀을 때, 암자를 찾은 이들이 적어 놓은 소원들을 본다. 제 각각의 소원을 적어놓은 기와불사. 많고 많은 소원들이지만 별 다르지 않다. 그러나 하나같이 간절하다.

언젠가 찍어놓은 사성암의 모습과 지금의 사성암 모습은 사뭇 다르다. 옛날이 좋았든 지금이 좋든 나무랄 일도 없는 사성암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가만히 숨을 멎게 할 뿐이다. 아무 생각없이 안으로 잠기는 감탄이다. 사성암에서 생각없는 속에서 생각나는 것이 무엇이던가. 하늘과 땅, 눈에 보이는 모든 곳에 어둠이 내려도 어둡지 않을 그리움이다.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광채를 띠는 화려한 약사여래불.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사성암을 찾아온 이들에게 스님이 사찰을 안내하고 있다.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절에 마애불상이 있다. 무엇인가 광채를 띠는 듯 화려한 불상이다. 원효스님이 선정에 들었을 때 손톱으로 새긴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옛 절터라고 전하는 굴이 있는 그곳에도 불상이 있다. 어디에서나 널찍하고 하늘로 솟구치는 바위가 있다면 그곳에 불상을 새길 만 하다고 생각하는 터이니 별 다른 신기함은 없지만 그래도 가만히 생각하면 하늘 가까운 이곳, 원효스님이 성불하시어 바위 속 부처님이 되신 듯, 그 도가 높고도 높음이라.

사성암에서는 자꾸 아래를 내려보게 된다. 올라올 만큼 올라온 것일까? 하늘을 보면 오히려 현기증이 나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네 분의 성인이 머물렀다는 옛 자취는 새롭게 탄생한 건물과는 무관할 터. 도는 바람에 실려 가기도 한다는 생각 끝에 찬바람이 분다.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공중누각에 서면 멀리 섬진강과 구례 구읍이 보인다. 2006년 5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때마침 서쪽으로 해가 넘어가는데, 사성암의 스님도 해를 바라본다. 무슨 생각을 하시는지 짐작도 못하지만 그냥 그렇게 함께 서쪽을 바라본다. “신발은 여기 있는데 사람은 어디 있는가?” 보조국사 지눌이 물었다. 이에 “왜 그때 보시지 않았습니까?” 라고 진감국사 혜심이 답한 것처럼, 무언 속으로 서로 묻고 답하는가. 아~ 서쪽에서 여래가 오신다. 바위에 노을이 물드는데, 삼매가 따로 없다. 사성암이 삼매에 젖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