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전설 따라잡기] 변강쇠와 옹녀 따라 떠난 함양·남원 여행 지리산 운우지정의 무대는 과연 어디?
[전설 따라잡기] 변강쇠와 옹녀 따라 떠난 함양·남원 여행 지리산 운우지정의 무대는 과연 어디?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6.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함양에서 마천면 등구마을로 넘어가는 오도치.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함양] 천하에서 허리 아래 힘에 관해서라면 따를 자가 없었다는 변강쇠. 그리고 강쇠를 만나 청상과부 팔자에 잠시나마 쉼표를 찍었던 옹녀. 천지도 흔들었다는 그들만의 운우지정을 엿보고 싶은 엉큼한(?) 생각이 들어 지리산으로 떠났다. 함양군과 남원시가 변강쇠 부부가 살았다는 장소를 놓고 설전을 벌이고 있었다.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경남 함양군 등구마을의 전경.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1. 경남 함양군 마천면 등구마을
삼남을 떠도는 천하잡놈 변강쇠와 평안도 월경촌 출신의 옹녀. 보통 팔자 가지고는 저도 죽고 남도 죽이는 팔자인 이 둘은 개성 청석관에서 처음 만나 평생 같이 살 것을 약속하고 야단스럽게도 운우의 정을 나눈다.

“남 지리(智里) 토후(土厚)하여 생리(生利)가 좋다하니 그리로 찾아가세.” 속궁합이 제대로 맞은 강쇠와 옹녀가 삼남을 떠돌다 흘러들어온 곳이 지리산 자락의 오도치(悟道峙)라는 것이 함양군의 주장이다. 오도치는 함양읍내에서 마천면 등구마을로 오르는 고갯길이다. 

지금은 오도치의 앞 고개인 지안치부터 아스팔트가 깔려 승용차가 다니는 구불구불한 1023번지방도가 되었지만, 그 옛날 변강쇠와 옹녀는 봇짐을 들쳐 메고 질펀한 노랫가락 뽑으며 올랐을 그 고갯길이다.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도치에서 만난 변강쇠와 옹녀의 무덤.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가뭄이나 홍수에 상관없이 사시사철 맑은 물이 흐르는 옹녀샘.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마천면 등구마을은 <변강쇠가>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혼란스럽던 조선 후기 하층민 부부의 유랑생활을 받아준 곳이 영산(靈山)인 지리산이요, 그 지리산 중에서도 ‘등구마천’으로 표기되어 있으니 변강쇠와 옹녀가 최종적으로 살았던 곳은 바로 여기라는 것이다.

오도치를 조금 오르다보면 ‘변강쇠·옹녀의 묘’, ‘옹녀샘’이 있는 곳을 가리키는 이정표를 볼 수 있다. 천하의 정력가라던 변강쇠의 명성에 어울리지 않게 무덤의 높이가 나지막하다. 옆의 옹녀묘 또한 지아비를 닮아 비슷하게 생겼다. 

분명 옹녀샘도 주위에 있다고 했다. 그런데 아무리 찾아봐도 그럴듯한 샘이 보이지 않는다. 입구에 있는 식당 주인에게 물어서야 겨우 옹녀샘을 찾았으나 멋대로 찢겨진 비닐이 여기저기 날리며 뚜껑까지 얌전히 덮어있는 빨간 양동이의 모습을 보자 씁쓸함이 먼저 밀려온다. 

‘이런, 저기가 어떤 곳인데…. 천하의 강쇠만이 마음대로 쥐락펴락할 수 있던 곳을….’
옹녀샘에서는 연신 맑은 물이 졸졸 흘러내린다. 이곳의 물을 마시면 정열이 샘솟는다는 이야기를 들었건만, 아직 젊은 솔로인 기자는 도무지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냥 보는 것만으로 만족한다.

오도치를 넘은 뒤 임천강을 건너 칠선계곡 쪽에 있는 벽송사 입구에는 <변강쇠전>의 모티브가 되었을 법한 목장승 두 개가 남아있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모두 불타버린 벽송사의 운명과 마찬가지로 이 목장승들도 얼굴 부분에 깊은 상처를 입었다. 

화상의 상처가 아물지 않았으나 장승들의 생김새는 여전히 익살스럽다. 변강쇠를 능가하는 큼지막한 코는 콧구멍으로 주먹이 들어가도 될 정도이다. 게다가 잔뜩 부라린 왕방울만한 눈알은 “뽑아다 불쏘시개로 써 보시지. 네 놈 머리끝에서 발톱 끝까지 오장육부에 병을 처발라 줄 테니…” 하고 말하는 듯하다.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남성의 성기모양을 닮은 음양바위.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 전남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벽송사 장승을 뒤로 하고 전라도로 넘어서니 도로가에 수많은 장승들이 서 있는 것이 보인다. 이곳은 백장공원. 남원시가 여러 정황으로 봤을 때 변강쇠 부부가 살았다고 주장하는 산내면 대정리에 팔도의 일백 장승신을 모아 놓고 공원으로 꾸민 곳이다. 

장승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변강쇠와 옹녀. 천하 정력가다운 큰 코와 짙은 눈썹, 천박한듯하면서도 남자다운 호탕한 웃음, 그리고 무엇보다 허리 아래 당당한 천하대물. 이것이 변강쇠 장승임을 금방 알아차리게 해준다. 수족 없는 장승이라고 오히려 호통까지 치며 불쏘시개로 만들더니 세월이 흘러 결국 본인도 이렇게 장승이 되어버렸구나. ‘사필귀정, 인과응보.’

강쇠를 벌줄 회의를 주관한 대방장승을 비롯해 팔도 장승들의 모습은 모두 제각각이다. 모두 풍자적이고 익살스럽게 생겼지만 이들이 어떤 장승들인가. 제 몸에 각각 병 하나씩 짊어지고 강쇠에게 달려들어 오장육부에 병 도배를 한 무지막지한 장승들이 아니던가.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벽송사 장승. 왼쪽이 금호장군이고 오른쪽이 호법대신이다.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에 조성된 백장공원. 2006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장승들을 지나 계곡 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음양바위를 볼 수 있다. 이 바위는 조그만 안내표지 장승에서 왼쪽으로 들어가 바라보면 왜 이름이 ‘음양바위’인지 금방 알아차림과 동시에 얼굴이 확 달아오름을 느낄 수 있다. “천하대물에 천하명기네 그려…. 참 요상하게도 생겼다.” 민망하게도 음양바위의 핵심부분(?)에는 항상 물기가 묻어있다. 아직도 강쇠와 옹녀는 날이면 날마다 운우지정을 나누고 있는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지역 간에 각자 변강쇠와 옹녀라는 코드를 문화상품으로 만들려는 신경전이 있지만, 전설의 장소들이 객관적으로 검증된 바는 없다. 애초에 ‘변강쇠·옹녀 전설’이라는 것은 조선 신분사회의 동요와 혼란이라는 참혹한 현실 속에서 파생된 하층민의 ‘유랑문학’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전설이라는 것이 어디 문서나 과학으로 해명되는 것들인가. 단지 풍자와 해학으로 풀어낸 유랑민들의 비극적 정착기, 그리고 각각 남도지역과 북도지역의 개혁 세력을 대변하는 변강쇠와 옹녀의 숨결을 느낄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즐겁고 훌륭한 여행이었다. 전설은 과거, 그 시대를 풍자하는 거울인 셈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