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② 추석 명절 휴양여행 고택] 고향 가는 이가 부럽나요? 가을 고택의 하룻밤은 고향입니다
[특집② 추석 명절 휴양여행 고택] 고향 가는 이가 부럽나요? 가을 고택의 하룻밤은 고향입니다
  • 김상미 객원기자
  • 승인 2006.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안동 민속촌에는 양반가와 서민가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여행스케치=안동] 이 가을에 잃어버린 고향이 문득 그립거나, 개발바람에 낯선 풍경으로 바뀌어 돌아갈 곳이 없다면 안동을 찾아보라고 권하고 싶다. 들떴던 여름날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불어오는 가을바람에 낭낭한 풍경소리를 원없이 들을 수 있다. 구불구불한 고샅길을 돌아가면 오래 전 잊고 지내던 고향집 가족을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가을이라는 바퀴로 갈아 끼우기에는 이른 계절, 시간을 앞세워 정신문화의 고장 안동으로 향했다. 파란 하늘빛이 따라나서며 눈의 피로를 덜어 주려는지 뭉게구름도 피워 올리고 햐얀 쌀밥도 지어놓는다. 아마도 쉬엄쉬엄 가라는 듯하다.

우리나라 선비의 절반이 영남지방에서 났다는 말도 있듯이 선비의 고장을 찾아가는 마음은 특별했다. 몸과 마음을 정숙하게 하지 않으면 갓을 쓴 할아버지가 호통을 칠 것 같은 느낌이다. 마음의 시계를 거꾸로 돌려 조선시대에 맞춰놓고 서안동 톨게이트를 통과했다.

처음 가보는 안동이지만 좀 다르다. 언젠가 오랫동안 머물렀던 곳 같기도 하고 가슴이 뛰기도 한다. 마음에 품고 있던 길이기 때문 아닐까 싶다. 2차선 도로로 접어들어 바퀴가 낯선 길을 깎아내고 있을 때 병풍 같은 뒷산을 배경으로 앉아 있는 기와지붕이 눈에 들어왔다.

안동에는 유교문화를 후손에게 전해주기 위해 애써서 지키고 가꾸는 고택과 종택들이 많다. 안동을 중심으로 유교문화가 잘 보존되고 있는 것은 퇴계 선생의 영향이 크다고 한다. 그것은 지금까지도 영남과 안동 사람들이 퇴계 선생을 정신적인 지주로 모시고 살기 때문이란다.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안동 제비원의 미륵불.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학봉 선생의 인품처럼 단정하고 깔끔하게 보존된 학봉종택.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퇴계의 애제자인 학봉 김성일 선생의 종택에 들렀다. 원칙과 자존심을 지키는 의리가로 알려진 학봉 선생 종택은 선생의 인품처럼 깔끔하게 잘 보존되어 있었다. 마당을 수놓고 있는 녹색잔디와 파란 하늘빛, 추녀 끝에 매달린 풍경, 오래되었음직한 현판이 조선선비의 자존심처럼 고고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풍뢰헌(風雷軒)에 선대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어서 특별한 보물들을 볼 수가 있다. 학봉 종택은 조선 후기 상류주택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살아가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서 고향집에 들른 기분이다.

다시 길로 들어서 천등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은 봉정사에 들렀다. 봉황이 머무는 곳이라 하여 봉정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단다. 대웅전은 겹처마 팔작지붕에 다포양식을 하고 산 중턱에 세워진 건물이면서도 평야를 끼고 있다. 잠시 덕휘루에서 한낮의 불주사를 피해본다. 산에서 내려오는 건들바람에 더위를 물리고 시원한 마룻바닥에 낮잠을 청하고 싶다.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농암의 후손 이원정 선생님이 농암종택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다.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봉정사 덕휘루 넓은 마루의 바람은 무척이나 살갑다.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안동 선비들의 혼이 살아 있을 것 같아 낙동강변 영호루에 들렀다. 언제 건립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안동에 머무를 때 마음을 달래던 곳이라고 한다. 지붕 아래에는 한시조가 걸려 있고 영호대교 건너 안동 시가지가 한 눈에 들어온다. 말라 버린 내 정서에도 한 바가지 여유를 부어본다.

안동 산세의 특징은 한마디로 부드러움이다. 동양의 현자들이 왜 강함보다는 부드러움을, 동(動)보다는 정(靜)을 중시했는지 알 듯도 하다. 어쩌면 부드러움과 정이 보다 더 인간의 근원적인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 아니었을까. 

문사는 거친 부분을 다듬어 부드러움으로 바꾸어주는 사람이다. 거침에서 부드러움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바로 문명화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거친 사람이 다듬어져서 부드러워질 때 그 강함은 아주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게 된다. 안동의 모습도 부드럽지만 감추어진 날카로움이 느껴지는 도시다.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어둠이 드리워지고 있는 농암종택의 정취. 2006년 9월. 사진 / 김상미 객원기자

굵은 빗줄기가 어둠 속으로 꽂힐 때 낙동강변을 타고 흐르다가 농암 이현보 선생 종택에 들었다. 사방이 어둠에 묻혀 아무 것도 볼 수 없었지만 급하게 흐르는 시냇물소리 풀벌레소리가 도심을 벗어난 마음의 평화를 가져다주었다. 간간이 뒷산에서 들려오는 소쩍새 소리가 잠을 못 이루게 했다. 추억을 더듬다 꿈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나를 잡을 수가 없다.

이른 아침 물안개로 뒤덮인 분강으로 나가려는데 종택의 귀염둥이 진돗개 진순이가 길을 안내한다. 사람을 좋아해서 진순이가 바짓가랑이를 물어뜯으며 장난을 청한다. 농암종택을 스치며 굽이도는 물살에도 선비들의 혼이 살아 있는 듯하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강변에 나가 견지낚시를 해도 좋을 듯하다. 가을비 내리는 날에 처마 밑에 앉아 빗방울 연주를 청해 듣는 것은 어떨까. 아침 산책으로 출출하던 참에 식사를 하라고 부른다. 주인장과 겸상한 상차림이 깔끔해 외갓집에 온 기분이 들었다. 텃밭에서 따온 고추며 안동의 토속적인 절임요리가 밥맛을 돋우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