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마을을 찾아 ③] 물도리마을 경북 예천 회룡포 육지 속의 섬마을
[특집 마을을 찾아 ③] 물도리마을 경북 예천 회룡포 육지 속의 섬마을
  • 장병목 기자
  • 승인 2008.02.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회룡포 전경.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여행스케치=예천] 전형적인 물도리마을로 ‘육지 속의 섬’이라 불리는 경북 예천 회룡포. 한눈에 바라본 회룡포의 풍경은 빼어난 장관을 자랑하지만, 마을 주민의 삶은 고달팠다. 육지 안의 섬이기에 힘들었던 시간이 많았다는 회룡포에서 꽃샘추위보다 더 춥게 수년을 지내야 했던 이들의 사연을 들어보았다.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 마을을 감싸며 S자 모양으로 흐른다. 강 주위엔 백사장이 길게 펼쳐져 있고, 그 너머에 가파른 경사의 산이 철옹성처럼 마을을 둘러싼다. 산 정상에서 마을을 바라보면 용이 꿈틀거리는 것 같다 하여 ‘회룡(回龍)’이라 한다. 경상북도 예천군 회룡포는 내성천이 마을을 휘감아 돌아 만들어진 전형적인 물도리로 강 위에 섬이 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350도, 딱 10도가 모자르여. 저기 바위만 읍스면 완전 섬이 돼뿌리지여.” 예천군 문화관광해설사 박용성 씨의 말처럼 회룡포와 이웃 마을이 연결된 곳은 사람이 건널 수 없는 바위뿐이었다. 회룡포를 ‘육지 속의 섬 아닌 섬이 될 뻔한 곳’이라는 우스갯소리를 하는 것도 그런 연유 때문이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회룡포 전망대 가는 길에 만난 팔각정 모양의 작은 쉼터.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아름다운 물도리마을
회룡포는 낙동강 상류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갑입곡류(물길이 휘감아 돌아 형성되는 형태의 하천 지형)로 산과 물이 어우러진 빼어난 장관으로 유명하다. 특히 드라마 <가을동화>의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탔다. 아름다운 물도리 마을인 회룡포를 잘 조망할 수 있는 장소는 비룡산 정상에 세워진 팔각정 모양의 전망대다. 가장 빠르게 전망대로 가고자 회룡교를 건너 곧바로 우회전해 산길을 넘어 장안사로 들어간다. 장안사에서 종루 옆으로 난 오르막길을 오르면 큰 불상이 서 있고, 오른쪽에 ‘회룡대’라 쓰인 이정표가 보인다. 이정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5분 정도 걸으면 전망대에 도착한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지난 겨울 복원된 회룡포와 고두실마을을 잇는 옛 오솔길에서 바라본 내성천과 비룡산의 풍경.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비룡산에 자리한 장안사는 아담하고 조용한 산사이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전망대에서 바라본 회룡포의 풍경은 아름답다. 곱게 S자로 굽어진 내성천은 태극 문양처럼 힘차면서도 부드럽게 이어져 있고, 고운 백사장과 어우러진 마을 풍경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전망대 근처의 산책로를 따라 제2전망대와 산성까지 다녀오는 코스(30분 정도 소요)도 괜찮다. 또한 주변의 원산성과 봉산성 등 역사가 깃든 장소가 있어 둘러보는 것도 좋다. 장안사 역시 스쳐 지나가기에는 아쉽다. 장안사는 통일신라시대 운명선사가 세운 고찰로,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이를 기리고자 전국 명산 세 곳에 장안사를 세웠는데 위로는 금강산, 아래로는 양산, 중간이 바로 비룡산의 장안사라 한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이방인의 발소리에 사납게 짖어대는 개.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가깝지만 먼 이웃 마을
“옛날엔 의성께(의성포)라 했는데, 사람들이 자꾸 자게(저기) 의성으로 가서 회룡포로 바꿨제.” 영남의 강변마을인 회룡포는 원래 의성포로 불렸으나 관광객들이 이웃 고을인 의성군에 가서 회룡포를 찾는 일이 많아지자 얼마 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그러나 여전히 회룡포 주민들은 이곳을 의성포라 부른다.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대은2리가 회룡포의 주소다. 회룡포는 신당, 고두실, 회룡 이 네 부락이 모여 대은2리라는 한 마을을 이루고 있지만, 다른 마을과 왕래가 적었다 한다. 회룡포에서 이웃 마을까지 가는 길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회룡포에서 이웃 마을로 가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다. 

우선 1996년 개설된 회룡포와 개포면 신음리 간 임도를 따라가는 방법이다. 그러나 시간이 만만치 않게 걸린다. 건넛마을까지 6km 정도 가야 하니, 걸어서는 엄두가 나질 않는다. 이웃 마을로 가는 가장 빠른 방법은 마을을 감싼 내성천을 직접 건너는 방법이다. 과거 강이 얕을 땐 마을주민들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바지를 걷은 채 물길을 헤쳐 지나갔다. 수심이 깊을 땐 배를 이용했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화룡포 마을은 주민 9가구 15명이 전부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지금은 없어졌지만 십 년 전만 해도 내성천을 오가던 배가 있었다고 한다. 건너편에서 부르면 사공이 노를 저어 와 강을 건넜다. 7~8년 전, 내성천에 다리가 하나 생겨 요즘은 다리를 통해 건넛마을로 향한다. 일명 ‘뽕뽕다리’라 불리는 이 다리는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으로 만들어졌는데, 바닥에 반 뼘 정도의 구멍이 숭숭 뚫려 있어 뽕뽕다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어깨가 들썩일 정도로 흔들리는 것이 바람이 세차게 불면 다리가 뒤집어질 것 같다. 그나마 물이 범람하는 날에는 다리를 통해 건너는 것도 불가능하다.

장마철, 강을 건너는 배가 없을 땐 내성천을 따라 형성된 약 2km의 오솔길을 따라 이웃 마을인 고두실마을로 향했다. 이 길은 회룡포에서 개포면으로 이어진 도로가 개설되면서 방치됐다가, 작년 겨울에 대은리마을 주민들에 의해 복원이 됐다. 복원된 옛 오솔길을 걸어보았다. 길 폭이 1m 안팎이다.

어깨너비도 채 안 되는 곳도 있다. 평평한 길인가 싶더니, 이내 가파른 길이 나온다. 등산로로는 안성맞춤일진 몰라도 마을과 마을을 잇는 길이라 하기엔 험난하다. 또한 오솔길엔 강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어떠한 보호장비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한눈을 파는 순간에 위험한 일을 당할 수도 있겠다. 과거 회룡포 주민은 비가 많이 내려 내성천을 건널 수 없을 때엔 이 오솔길을 통해 물을 이고, 쌀을 사고, 학교에 가야 했을 터. 그래서 회룡포 주민들은 육지에서 철저히 섬 생활을 해야 했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화룡포와 건넛마을을 잇는 일명 뽕뽕다리.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육지에서 섬 생활을 한다는 건
“그런 고상이 없었지. 말도 못하오.” 열일곱 살에 회룡포에 시집와서 65년을 산 엄재경(82세) 할머니는 이곳을 사람 가두어놓는 동네라 한다. “산꼭대기로 가서 아덜 학교 가고 이랬지. 물은 머리에 이고 이러고 댕겼지.” 아이들은 결석하는 날이 많았고, 몸이 아파도 쉽게 병원엘 가지 못해 병이 악화되거나 목숨을 잃는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 

9가구 15명. 현재 회룡포마을 주민 수다. “혼자 사는 데가 서이, 두 사람이 사는 데가 여섯이라.” 대부분의 주민은 70~80세로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이다. 엄재경 할머니가 집으로 초대한다. 허리가 불편해서 유모차에 의지해 몸의 중심을 잡은 채 이동을 하신다. 점심에 붙인 아궁이 불이 식었는지 구들방엔 온기가 약하다.

손님이 왔으니 뭐 좀 내와야 한다는 할머니. 끝끝내 사양하던 내게 작년 늦가을에 따다 말린 곶감을 내주신다. 가는 길에 먹으라고 한 주먹 움켜쥐어 주머니에 넣어주신다. 둘러보니, 집집이 감나무가 서너 그루 이상 자라고 있다. 봄의 기운이 아직 오지 않아 앙상하게 남은 나뭇가지에 감꼭지만 쓸쓸하게 매달려 있다. 지금이야 회룡포가 아름다운 마을로 널리 알려져 외지에서 찾아오는 이가 많지만, 과거에는 이곳을 방문하는 이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 가는 사람도, 오는 사람도 적은 외딴 섬 이야기가 바로 회룡포의 이야기였다.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소여물을 쑤는 할아버지. 2008년 3월. 사진 / 장병목 기자

소여물을 쑤던 김영수(70세) 할아버지도 회룡포에 살면서 겪었던 이야기 하나를 들려주신다. “물이 많이 차면 방탱이(고무대야)에 아덜 태우고, 어른들이 (썰매처럼) 끌고 갔지.” 첨벙첨벙 자신은 물에 빠져가며 아이들을 등교시키는 것, 육지이면서 동시에 섬인 회룡포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일이다.

“논하고, 고추하고 그러지.” 회룡포 주민들은 논농사와 고추농사로 생계를 잇는다. 지금은 농한기라 대부분 주민이 집에서 가축을 돌보거나 집안 살림을 정비하는 데 시간을 보낸다 한다. 김영수 할아버지 역시 집에서 키우는 다섯 마리 소에게 먹이를 주는 일과 땔감을 손질하는 것이 요즘 하루 일과다.

인적이 드문 회룡포는 조용했다. 9가구에 사는 할머니, 할아버지 몇몇은 타지에 사는 아들네와 딸네로 갔기에 마을은 더욱 한적했다. 저녁 준비가 한창인지 몇몇 굴뚝에선 연기가 피어오른다. 마을에 들리는 소리라곤 이방인의 발걸음에 반응하는 개 짖는 소리뿐이다. 할아버지가 어두워지기 전에 서둘러 가라 하신다. 뽕뽕다리가 어둠에 갇혀버리면 건너기가 어려울 것 같아 걸음을 재촉한다.

Tag
#예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