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환상의 여행] 충북 옥천 춘추민속관  한옥에 울려 퍼지는 문화의 향기
[환상의 여행] 충북 옥천 춘추민속관  한옥에 울려 퍼지는 문화의 향기
  • 서태경 기자
  • 승인 2008.04.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충북 옥천의 춘추민속관 풍경.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여행스케치=옥천] 난생처음 와봤는데도 편안한 곳이 있다. 옥천의 마흔아홉 칸   옛집 ‘춘추민속관’이 바로 그런 곳이다. 언제나 대문 활짝 열어놓고 찾아온 이를 반기는, 한옥체험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하는 춘추민속관을 소개한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주인장의 감각이 묻어난는 솟대를 연상케 하는 조형물.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한옥으로 마실 오세요
언제부턴가 한옥 혹은 고택체험이 우리 전통을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이자 방법이 된 듯하다. 하지만 옛집에서 잠을 자고 그곳에서 몇 끼 밥을 먹었다고 해서 한옥을 체험했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또 전주한옥마을이나 안동하회마을이 인지도를 얻고 어느 정도의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데 성공한 듯 보이지만 깊이가 더해지는 데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하다. 

이번에 찾아간 충북 옥천의 춘추민속관은 소극적 체험에 치우쳐있던 한옥에서의 시간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두루 갖추고 있어 한옥체험에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한다. 물론 전주나 안동에도 여러 프로그램이 있지만 정해진 틀 안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는 점이 조금 아쉽다. 그에 반해 춘추민속관의 프로그램은 딱히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그만큼 개인의 취향이 존중된다고 할 수 있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집 안 곳곳에 옛 물건이 가득하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각자의 관심사와 개성이 다르니 주인이 이를 적극 수용하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학에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시인 정지용과 관련된 곳들을 찾아볼 수 있고, 시골장에 대한 추억이 있는 사람들과는 옥천에서 열리는 우시장엘 함께 갈 수도 있다. 또 조용히 고샅길을 걷고 싶다면 일부러 그런 곳을 찾아갈 수도 있고, 금강에서 나는 별미에 관심이 있다면 그에 맞는 일정 구상이 가능하다. 

다른 한옥체험과 차별되는 점은 또 있다. 바로 누구나 문화 공연을 향유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라는 점. 그중 하나가 매월 셋째 주 회화나무 아래서 열리는 ‘꿈엔들음악회’다. 어릴 적부터 전통 춤에 심취해 있었던 정태희 관장을 비롯해 내로라하는 춤꾼들의 공연을 볼 수 있는 기회다. 음악회는 때로 우리 악기와 서양 악기가 한데 어우러지기도 하고 흥이 오르면 오르는 대로, 그렇지 않으면 아닌 대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시간이다.

“한옥이라는 공간도 낯선데 그곳에서 열리는 전통공연을 사람들이 어려워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기우에 불과했을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 그래서 내친김에 얼마 전엔 멍석 대신 작은 무대도 하나 마련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왔으면 하는 마음에서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정갈하게 정리되어 있는 장독대. 요즘 쉽게 볼 수 없는 풍경이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파란만장한 49칸 고택
옛날 정승집에나 있었다는 멋들어진 회화나무와 수백 년 된 고택 두 채. 그리고 넉넉한 마당이 지금의 춘추민속관의 모습이다. 처음엔 정태희 관장이나 동네 사람 모두 이 안에 이런 집이 있을 거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단다. 등기에 등재해놓은 소유주만 10명이 넘었고 마구잡이로 지은 건물이 여덟 채나 되었다. 심지어 그중에 두 채는 양계장과 콩나물공장으로 사용되고 있을 정도였다. 원래 대가(大家)일수록 파란만장한 법이라지만 제 모습을 찾고 보니 이전의 대접이 해도 너무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춘추민속관으로 이름을 붙이고 세상에 조금씩 알려지니 자연스레 이 집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이 들려왔고, 때때로 중요한 자료도 발굴이 되었다. 지난해에는 공사 중에 죽은 일본 천황의 1주기를 추모한다는 추모비가 발견되기도 했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어스름 저녁에 더욱 분위기 있는 춘추민속관.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이 집과 인연을 맺은 인물도 많다. 야인 시절의 흥선대원군을 비롯해 이승만 전 대통령, 그리고 한국전쟁 때에는 인민군 사령관의 거처로도 이용되었다. 또 일제시대에는 지금의 한국은행장에 해당하는 오윤목 국고국장의 집으로 한동안 사용되기도 했다. 

이런 사실들을 알게 된 건 이 집에서 살다 캐나다로 이민을 간 한 노인의 전화를 받고서다. 노인이 어린 시절을 보내던 집이 복원됐다는 소리를 듣고 며느리를 직접 보내 비디오를 찍어 오게 했는데 그 화면을 보며 집에 얽힌 이런저런 얘기를 전화로 들려줬다는 것이다. 

현재 집에는 井자의 안채와 별채, 곳간과 뒷간을 합쳐 49칸이 보존되어 있는데 상량문에 정확한 건립년도(철종7년, 1856년)가 나와 있어 올해로 153년 된 것이 확실하다. 하지만 안채의 경우는 확실한 증거가 없어 300년 정도 되었을 거라는 추정만 하고 있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방문객들을 위해 펼친 우리춤 한마당.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옛 읍에 홀로 남은 옛집
춘추민속관의 문은 언제나 열려 있다. 실제로 지나가다가도 기웃대는 사람이 많아 아예 작은 설명서를 하나 세워두었다. 하지만 그간 몇 차례의 도난사고와 한옥을 함부로 다루는 사람들이 있어 ‘종갓집 맏며느리가 대문 닫아놓는 심정’도 이해하겠다는 것이 정 관장의 설명이다.

하지만 그래도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 것의 소중함을 알고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는 마음만은 변함이 없다. 돈으로도 어쩌지 못할 정도로 시간이 흐른 뒤에는 때늦은 후회만 남으니 말이다. 그래서 최대한 덜 불편하면서도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갖추고 부담 없는 비용으로 사람들을 자꾸만 이끌어야 한다고 말한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지난해 발견된 일본 천황 1주기 추모비를 설명하는 정태희 관장.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한옥이라고 해서 무조건 불편하고 또 그 불편함을 감수하라고 하는 건 잘못된 것 같아요. 때로는 주인도 손님 입장이 되어보고 이 집에 걸맞은 배려를 해주어야 돼요. 또 얼마나 좋습니까. 이런 데 오면 재테크니 펀드니 뭐 그런 얘기 대신 남의 얘기도 좀 들어줄 수 있는 여유가 생길 것 같지 않나요?” 

아마 여행을 다녀본 사람이라면 잠자리가 단지 잠만 자는 공간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곳 주인이 어떠한 사람인가도 꽤 중요하다는 뜻이다. 그런 의미에서 춘추민속관은 곳곳에 주인의 철학이 배어 있는 곳이다. 광목을 일일이 씌워 이부자리를 만들고 먹는 음식 하나도 되도록 옥천 땅에서 나는 것들로 차리고자 애를 쓰는 모습 등에서 그가 어떤 마음으로 이 집을 꾸려 가는지 읽을 수 있다.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신방을 꾸며도 좋을만큼 예쁜 방. 2008년 4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충북 청원이 고향인 정태희 원장의 어린 시절도 지금 그가 살고 있는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고 한다. 마당에서 종종 농악패의 판이 벌어졌고 소년이었던 그도 덩달아 흥겨워했다. 어쩌면 그때의 그런 기억이 지금의 춘추민속관을 만들고 ‘꿈엔들음악회’라는 풍류를 만들어냈는지도 모르겠다. 

“먼지 좀 묻으면 어때요. 그저 편하게 머물 수 있는 공간이면 되지. 또 살면서는 큰 목표만 정해지면 되는 거 아닌가요. 졸리면 낮잠도 자고, 하고 싶은 것도 하고.” 

정태희 관장은 천성이 뭔가에 착착 맞춰 사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며 그간의 고생에 대해선 말을 아낀다. 다만 “두 번 하라면 못 하겠다”는 소리만 할 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