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추억여행] 예스런 풍경 강화 내가마을 추억을 보러 오세요 그리고 추억을 만들어 가세요
[추억여행] 예스런 풍경 강화 내가마을 추억을 보러 오세요 그리고 추억을 만들어 가세요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8.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손님이 쉴 수 있게 가게 앞에 내놓은 긴 의자가 정겨운 이발관.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강화] 예스러운 시골마을은 언제 찾아도 정겹지만, 특히 가을에그 정겨움이 더하지 않나 싶다. 가을은 만물이 풍성해지는 계절인 만큼 추억도 풍성해지기 때문이다. 그 추억을 들추어보기 위해 강화도의 작은 마을을 찾았다. 빛바랜 사진처럼 정겨움이 묻어나는 ‘내가마을’이다. 

여느 시골처럼 산길을 거슬러 오르고 숲길을 걸어서 가야 하는 마을이 아니다. 강화도를 잇는 수많은 아스팔트 길을 차로 유유히 거닐다보면 어느 순간 시간이 정지되어 있는 듯한 마을에 당도하게 된다. 혹시나 이곳에서 무슨 대단한 볼거리를 기대한다면 미안하지만, 시간만 낭비한 것이다. 차를 타고 가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지나친다 해도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모처럼 추억을 되짚어보려는 ‘꿍꿍이속’을 가진 이라면 이곳만큼 좋은 장소도 없을 것이다. 

내가(內可)마을이라 불리는 이곳의 풍경은 21세기 전에서 멈춰 있다. 어릴 적 눈으로 봐왔던 그 촌스런 간판들이 박물관 안에서가 아니라 현실에 그대로 내걸려 있다. 그것만으로도 이곳은 추억의 보물창고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형제문구의 대표 상품은 아직도 주산부기문제집이다. 물론 팔지는 않는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마을 입구랄 것도 없이 방앗간 간판을 발견한 순간 차를 멈춘다. 하얀 캔버스 위에 까만 페인트로 ‘조계떡방앗간’이라고 적은 간판이 예스럽다. 나름 강조를 하려고 했는지 ‘떡’자는 붉은색으로 썼건만 세월이 지나다 보니 아래받침인 ‘ㄱ’이 반쯤 지워져 얼핏 보면 ‘조계떠방앗간’으로 보이기도 한다. 

닳고 단 간판과는 달리 건물은 예사 방앗간에서 볼 수 없는 신식 양옥집이다. 모름지기 방앗간은 좀 허름해서 매운 고추 향도 폴폴 날리고 고소한 참기름 냄새도 진동을 해야 폼이 난다지만 어디까지나 그건 구경 나온 외지인들 생각이고, 방앗간 주인은 지나가던 참새가 그냥 지나갈 정도로 깨끗한 요즘 시설에 더 만족하고 있을 수도 있는 일이리라.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내가마을 근처의 외포리 선착장. 석모도와 교동도가 눈에 들어온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내가마을을 지나는 참새는 방앗간을 그냥 지나칠 수 있어도 나는 시골의 작은 초등학교를 그냥 지나칠 수 없다. 마침 4교시 체육시간인지 한 무리의 아이들이 선생님과 함께 피구놀이(어릴 적 표현대로라면 ‘도지볼’)를 하고 있었다. 어릴 적 피구라면 죽어나가길 항상 앞에서 1,2등 하던 ‘저질’ 운동 실력을 가졌던 나로선 그 모습이 새삼스러우면서도 구경하고 싶은 충동이 인다. 

사실 강화도라면 서울과 그리 먼 곳도 아닐 터인데, 아이들 노는 폼이 영락없는 시골내기들이다. 도시 아이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여유와 순박함이 표정에 묻어 있다. 달랑 공 하나 가지고 저렇게  즐겁게 뛰어 노는 모양이 당연하고 쉬운 일인 듯하지만 시간만 나면 미니게임기를 손에 들고 고개를 파묻고 있는 도시 아이들을 떠올려 보면 그리 간단치 않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옛 양복점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유일 양복점.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초등학교를 나와 조금만 더 가면 내가마을의 중심지인 내가시장이다. 예전엔 오일장이 서던 곳이고 지금은 버스정류장으로 바뀌었건만 거리에서 사람 한두 명 만나기가 어렵다. 마을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 해서 근처 부동산엘 들어가 보았다. 

“예전엔 강화도에서 강화읍, 온수, 내가가 3대 중심가였어요. 시장도 크고 사람도 많고…, 흥청거리던 곳이었죠. 종합개발도 된다고 했었어요. 그런데 도로가 생기고 다리가 생기고 이러저런 이유로 사람들이 외지로 많이 빠져나갔지요. 그러다보니 개발계획도 슬그머니 사라지고, 지금은 많이 낙후됐죠.”

이 한적한 마을에도 한때는 부귀영화를 꿈꾸던 사람들이 오고갔었다. 하지만 현실을 따라, 개발을 따라, 편리를 따라 하나둘씩 떠나다보니 뜻하지 않게 옛 모습을 간직하게 된 것이다.
 
외지에서 구경으로 온 사람들이야 여기저기 셔터를 눌러대며 취미생활의 일부쯤으로 받아들여지겠지만 과연 이 마을에 사는 사람들의 현실도 그만큼 여유가 있을지는 모를 일이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전국의 초등학교를 순회하며 책을 읽는 ‘책 읽는 소녀’ 동상.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공 하나로 이렇게 즐겁게 뛰어놀 수 있는 아이들의 순수함이 부럽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버스정류장, 또는 광장으로 불리는 곳의 중심에 서면 별별 신기한 간판들이 다 모여 있다. 특이해서 신기하다기보단 ‘오래되어서’ 신기하다 쯤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정말 이 동네에 단 하나밖에 없는 양복점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름만은 동네에서 유일한 ‘유일양복점’의 간판은 이곳을 다녀간 사람들에 의해 인터넷에서도 꽤 알려졌다. 하얀 간판 위에 반듯한 정자로 쓴 글씨는 세월을 거슬러 올라간 풍경을 대표한다.   

간판 소박하기로는 다른 가게들도 절대 뒤지지 않는다. 형제문구, 내가이발관, 현대사진관, 삼성다방, 내가약방…. 어느 것 하나 세월에 빛바래지 않은 것이 없다.
 
형제문구로 들어선다. 동네에서 단 하나뿐인 유일한 문구점. 말하자면 옛날 ‘학교 점빵’이다. 각종 문구와 장난감들이 너무나 빼곡하게 들어차 있어 사람 서너 명이 들어가면 움직일 공간조차 없을 정도다. 자연스레 눈이 장난감 쪽으로 돌아가는데, 어릴 적 손톱깎이로 조심스레 부품을 뜯어내 풀로 조립하던 ‘조립식 프라모델’도 여럿 남아 있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내가마을 학생들의 학습준비물을 책임지는 20년도 넘은 형제문구.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문 연 지 한 20년도 넘었어요.”
아직도 ‘주산부기문제집’이란 스티커가 붙어 있고, 지금은 스타가 되어 있는 탤런트와 가수의 풋내기 시절의 브로마이드가 버젓이 진열되어 있는 곳. 급기야 형제문구를 나올 때 내 손엔 ‘미 해군 항공모함 프라모델’이 하나 들려 있었다. 먼지가 10년은 묵은 듯, 구석에 박혀 있던 1998년도 제품이다. 10년 전 가격 그대로 8000원, 어릴 적 한을 이제야 풀었다.

처음엔 그저 그런 오래된 시골동네인 줄만 알았던 작은 마을. 하지만 작은 추억이나마 기억해내고 싶어 들른 낯선 사람에게 돈으로 살 수 없는 행복을 베풀어준다. 추억을 찾으러 찾은 곳에서 또 하나의 추억을 만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