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오지 여행] 살둔, 월둔, 달둔 홍천 삼둔 ‘둔둔둔’ 흐르는 강물에 오지의 세월도 흘러가라
[오지 여행] 살둔, 월둔, 달둔 홍천 삼둔 ‘둔둔둔’ 흐르는 강물에 오지의 세월도 흘러가라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9.08.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사진 / 손수원 기자
강원도 홍천 삼둔의 오지마을.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홍천] 우리나라엔 오지가 많다. 강원도 방태산 자락의 삼둔도 둘째가라면 서러운 오지 중의 오지였다. 하지만 이제 그곳에도 길이 나고 사람의 발길이 흔하게 되었다. 사람이 떠난 자리엔 또다시 사람이 돌아왔지만 그 풍경만은 언제까지나 오지인 삼둔을 둘러봤다.  

삼둔사가리. 우리나라에서 오지를 말할 때 이 삼둔사가리는 항상 다섯 손가락 안에 들곤 했다. 방태산 자락의 삼둔은 살둔(生屯), 월둔(月屯), 달둔(達屯)을 일컫는 말이고, 사가리는 우리가 익히 아는 아침가리를 비롯해 연가리, 적가리, 명지가리를 가리키는 말이다(여기에 명가리를 더해 오가리라 부르기도 한다). 이중에서 삼둔은 <정감록> 삼척 이본(異本)에 전쟁과 환란과 온갖 갈등을 벗어나는 피난처라고 했다. 

홍천과 인제를 잇는 44번 국도로 달리다 446번 지방도로 갈아탄다. 길은 뱀처럼 똬리를 틀면서도 반반한 아스팔트 길을 이어갔다. 삼둔의 첫 관문인 살둔으로 향하는 길인 이 지방도는 구불구불 어지럽긴 하지만 아주 못 갈 길은 아니다. 오지여행이라기보단 여느 시골마을을 찾아가는 여정처럼 느껴진다. 

사진 / 손수원 기자
귀틀집 형식으로 지은 살둔산장. 사진 / 손수원 기자

그러고 보니 446번 지방도는 어디선가 들어본 도로번호다. 지도를 펴놓고 하나하나 짚어가니 오대산을 가로지르는 비포장 오솔길(2008년 10월호에 소개. 올해 3월에 폐쇄됨)이 바로 이 446번 지방도이다. 가을의 오대산 풍경이 어찌나 인상 깊었던지 이 길이 같은 길이라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살둔의 풍경이 오대산의 그것과 겹쳐진다. 

좁은 지방도로는 인제군 상남면을 지나면서 좌우에 내린천을 번갈아가며 함께 달리는 길이 된다. 이 부근은 물 맑기로 유명한 미산계곡이다. 내린천 발원지가 살둔을 지나 월둔 부근에 자리하고 있으니 지금은 내린천을 거슬러 올라가는 꼴이다. 내린천 하면 래프팅을 즐기는 거대한 강만을 생각했던지라 지금의 이 작은 계곡물이 내린천이란 사실이 생경하다. 

물이 어찌나 맑은지 바닥이 훤히 비치는 것은 물론이고, 파란 하늘까지 물에 담겨버릴 지경이다. 하지만 이 맑은 계곡물을 아리따운 아가씨를 곁눈질하듯 바라보고 달리다 보면 큰일 난다. 내린천이 협곡을 휘감으며 구불구불 이어가면 아스팔트 길도 반드시 따라서 이어지기 때문에 자칫 한눈을 팔다가는 차와 함께 계곡물에 수영 할 수도 있다. 

사진 / 손수원 기자
텃밭에 비료를 뿌리는 마을 주민. 사진 / 손수원 기자

미산계곡에서 살둔을 잇는 이 길의 풍경은 지금에야 ‘아름답다’란 말로 표현할 수 있지만, 10여 년 전엔 내린천의 절경을 파괴한다는 이유로 수많은 사람들이 투쟁을 벌이던 사연이 있는 길이다. 하지만 결국 21세기가 시작된 해에 이렇게 길이 났으니 그 투쟁의 역사도 내린천을 따라 흘러가버렸다. 

미산계곡과 개인약수터 가는 길을 지나 칡받이고개를 넘어 홍천군 내면으로 들어선다. 같은 방태산 자락이라도 삼둔은 홍천 땅에 다 있는 것이다. 크게 협곡을 돌아 나오자 산을 병풍 삼아 고즈넉이 내려앉은 작은 마을을 만난다. 바로 이곳이 삼둔의 첫 관문인 살둔(생둔, 홍천군 내면 율전2리)이다. 살둔은 동으로 오대산, 북으로 개인산, 남으로 계방산 등 해발 1500m 이상의 산들로 둘러싸여 있어 삼둔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고 살 만한 곳이라고 했다. 

삼둔은 세 곳의 둔덕(屯)이란 뜻이고, 생둔(生屯)은 그중에서도 ‘살 만한 둔덕’이라고 해서 붙여졌지만 ‘살둔’이라는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린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옛날 학교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생둔분교. 사진 / 손수원 기자

살 만한 둔덕이지만 그 이면에는 ‘도망친 사람들이 살 곳’이었던 역사도 있다. 조선 세조 때 사육신 후예들이 세상을 등지고 터를 잡은 곳으로 알려진 곳이 바로 살둔이다. 

다리 위에 서서 마을을 살펴보니 사진으로 보았던 살둔산장이 멀리로 보인다. 통나무를 우물 정(井)자 형태로 엮어 올리는 귀틀집 방식이 이색적이다. 그 외에는 학교로 보이는 작은 건물 하나와 서너 집의 민가가 전부다. 마을이라 하기엔 너무 작다. 

그런데 살둔산장 입구가 닫혀 있다. 비록 울타리에 불과하지만 ‘예약손님 외 출입금지’란 팻말이 단호하다. 마냥 인심 좋을법한 시골마을에서 만난 단호한 팻말이지만 왠지 그 사정을 듣지 않아도 알 수 있을 듯하다. 

오지라고 알려져 있지만 그 특이한 산장의 모습이 각종 언론에 나갔으니 산장을 구경하러 오는 관광객들이 한둘은 아니었을 것이다. 쉬운 말로, ‘관광객에게는 하나의 산장이지만 산장지기에게는 하루에도 수십 명의 관광객’인 것이다. 굳이 이렇게 울타리를 친 산장지기의 마음도 편치 않았을 것이다. 굳이 그 안의 모습이 궁금하다면 어쩔 수 없지만 산장의 외관만 구경하기엔 울타리 주변에서도 충분하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이제는 조용한 생둔분교의 오래된 복도. 사진 / 손수원 기자
사진 / 손수원 기자
교실에 덩그러니 놓여있는 고장난 풍금. 사진 / 손수원 기자

산장 바로 앞의 폐교에선 웬 스피커 설치 작업이 한창이다. 오가는 사람도 없는 이곳에서 웬 뜬금없는 무대 설치 작업일까.  

“여기는 원당초등학교 생둔분교입니다. 1948년에 지어져 한때는 100여 명의 아이들이 다니던 큰 학교였답니다. 그러다 사람들이 살둔을 떠나니까 1993년에 폐교되었지요. 작년부터는 살둔마을에서 야영장으로 활용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며칠 후에 첫 손님을 받게 되어 한창 바쁘네요.”

이인호 살둔마을 위원장의 말을 듣고 학교 안으로 들어가니 내가 다녔던 초등학교보다 훨씬 더 오래되어 보인다. 1948년에 지어진 학교 건물에 거의 손을 대지 않았으니 삐걱거리는 나무복도 하며 나무창살이 얽힌 창문이 마치 영화 세트장 같다. 총 세 개의 교실에 100여 명의 학생이 다녔다니 그때는 살둔도 꽤 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모양이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월둔마을 입구의 민가. 원래의 마을터는 아니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산자락 곳곳에 집이 있었어요. 살둔만 해도 100여 명의 아이들이 있었으니 꽤 큰 마을이었지요. 옛 어른들이 말씀하시는데, 여기 학교는 비만 오면 휴교를 했대요. 강을 건너야 했으니까요. 그 많은 집들이 지금은 흔적도 없이 다 사라졌으니 세월이 무상할 따름이지요.”

현재 살둔에는 4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원주민들도 있지만 최근에는 도시에서 내려와 펜션이나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외지인들이 많단다. 예전에나 오지 중의 오지였지 지금은 길이 잘 나 있어 여름철만 되면 제법 사람들이 북적인단다. 

살둔에서 나와 월둔과 달둔으로 향하는 길을 달리면 더 이상 이곳이 오지가 아님을 확실히 알게 된다. 산과 계곡을 두고 펜션과 별장처럼 보이는 집들이 꽤 여럿 자리를 잡고 있다. 월둔마을엔 몇몇 민가가 있지만 이곳에도 별장처럼 보이는 집이 한창 공사 중이다. 물론 지금의 이곳이 옛 월둔마을 터는 아닐 것이다. 

사진 / 손수원 기자
내린천 최상류가 있는 월둔에서 발견한 작은 약수터. 사진 / 손수원 기자

<정감록>에 나와 있는 기록과 달리 삼둔은 한국전쟁을 비껴가지 못했다. 특히 달둔과 월둔은 전쟁을 치르며 주민들이 피난을 떠났으며 그나마 남아 있던 사람들은 1990년대에 무장공비가 출현해 모두 떠나버렸다. 그렇게 사람들이 떠나니 삼둔은 사가리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손꼽는 오지로 남게 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길이 뚫리고 삼둔사가리에 대한 정보가 언론을 타면서 펜션이 세워지고 현대식 민박이 들어섰다. 도시인들이 귀농해 새로운 주민으로 살기 시작했다. 산세에 가로막혀 ‘육지 속의 섬’으로 불리던 곳이 지금은 안락하고 평화로운 휴식처로 변한 것이다. 

월둔을 지나 달둔으로 향하는 길에 칡소폭포를 만난다. 내린천의 최상류에 있는 이 폭포는 내린천의 지류인 계방천과 자운천이 만나는 지점에 있다. 이곳에서 두 천이 만나 내린천으로 흐른다. 폭포에서 6km 정도 걸어 올라가면 내린천 발원지가 있다. 듣기로는 여느 강 발원지들과는 달리 제법 넓고 큰 계곡이 발원지라는데 걸어서도 먼 길이니 다음을 기약하고 폭포만 바라본다.  

사진 / 손수원 기자
계방천과 자운천이 만나는 칡소폭포. 사진 / 손수원 기자

쨍쨍 내려쬐는 해에 땀과 선크림으로 범벅된 얼굴을 물에 씻었다. 이곳 모두가 강원도 기념물 제67호인 열목어의 서식지라는데, 한 바가지 땟국물을 흘려보내고 나니 약간 찔린다. 그래도 워낙 깨끗한 물이니 얼마간 흐르면 금방 희석되겠지 하며 한술 더 떠 발도 담가본다.   

칡소폭포에서 나와 달둔으로 향하면 이제부터는 56번 국도로 갈아타게 되는 것이다. 이 길은 구룡령을 넘어 양양으로 향한다. 여전히 길 옆으로는 계방천이 흐르고 있지만 오지라고 부를 만한 풍경거리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길가의 숲에는 귀틀집 대신 이국적인 통나무 펜션들이 자리를 잡았다. 곧 여름휴가철이면 이곳은 사람들로 북적거릴 것이다. 10여 년 전만 해도 아는 사람들만 온다는 삼둔이 이제는 차를 타고 편안히 올 수 있는 여행지가 되었다. 10년 후엔 완전히 오지에서 벗어나 있을 테지만 그때도 지금처럼 깨끗한 물과 푸름을 간직한 ‘알려진 여행지’로 남아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