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my spring plan 체험 여행] 청정 산나물농원, 전남 화순 산채원
[특집 my spring plan 체험 여행] 청정 산나물농원, 전남 화순 산채원
  • 최혜진 기자
  • 승인 2010.04.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나물무침의 향연. 사진 / 최혜진 기자

[여행스케치 = 화순] 겨우내 노곤해진 몸이 기지개를 켜는 사이 봄맞이 체험들은 진작부터 줄줄이 대기 중이다. 빨갛게 익은 딸기를 수확하는 딸기 체험, 알이 통통한 조개를 캐는 갯벌 체험…. 하지만 매년 반복되는 체험 아이템이 식상하다면, 올봄엔 풍성한 ‘초록색 보약’을 뜯고, 캐고, 맛보고, 즐기는 산나물 체험 여행에 눈을 돌려보자. 

이른 봄에 외갓집에 내려가면 할머니를 따라 산나물을 뜯으러 나서곤 했다. 마치 보물찾기라도 하듯 파릇한 냉이를 찾아 온 산을 헤집고 다니면 어느새 바구니가 푸짐해졌다. 집에 돌아와 그 푸른 보약들을 된장국에 넣어 먹고 매콤하게 무쳐도 먹으며 입 안 가득 퍼지는 봄 향기를 즐겼다. 

맛이 담백하고 부드러운 곤드레나물. 사진 / 최혜진 기자
알싸한 향이 일품인 산마늘. 사진 / 최혜진 기자

이런 향긋한 봄날의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곳이 전라남도 화순에 있다. 바로 백아산 자락 100만㎡에 펼쳐진 ‘산나물 천국’ 산채원이다. 이곳에선 마치 200여 가지 산나물을 종합선물세트처럼 속속들이 만날 수 있다. 

올해도 대판골 깊은 골짜기엔 어김없이 꼬장꼬장한 땅을 비집고 봄나물이 파릇한 싹을 틔웠다. 그 초록 물결은 언뜻 보아선 그저 풀처럼 보이지만 모두 몸에 이로운 산나물들이다. 
“여기에 있는 산나물들이 바로 제대로 된 보약이지요. 농약 한 방울 치지 않고 자연의 순리에 맞게 키운 것들입니다.” 

산채원엔 곰취가 지천이다. 사진 / 최혜진 기자
향긋한 냉이는 단연 봄나물의 대표주자. 사진 / 최혜진 기자

서울 생활을 접고 귀향해 2년 만에 산채원을 훌쩍 키운 김규환 촌장은 산채원 나물에 대한 자부심이 남다르다. 산 좋고 물 맑은 백아산의 기운을 오롯이 담은 봄나물은 맛과 향, 영양 면에서 비닐하우스의 그것과 감히 비교할 수 없단다. 이처럼 질 좋은 산나물이 풍성하게 자란 이유는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지 않겠다는 원칙을 고수했기 때문이다. 산을 두루 살펴서 두릅이 자생하는 곳에 두릅씨를 뿌리고, 곰취가 자란 곳에 곰취씨를 뿌려 나물들이 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돌보았다. 

마침 학교를 마치고 돌아온 김규환 촌장의 딸과 아들인 해강이, 솔강이와 함께 산채원 체험에 나섰다. 각종 산나물이 심어진 2km의 산책로를 걷는 동안 아이들은 “이건 곰취예요?” “이건 냉이 맞죠?” 하며 한시도 봄나물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산나물의 향긋한 냄새를 맡는 아이. 사진 / 최혜진 기자
산채원은 ‘걷고 싶은 산나물공원’이란 이름도 갖고 있다. 봄 산을 산책하며 가만히 산나물을 들여다보자. 사진 / 최혜진 기자

가장 먼저 손님을 반겨준 나물은 ‘봄나물의 선두주자’ 냉이와 쑥. 한 송이 꽃처럼 푸른 잎을 겹겹이 피운 나물이 땅 위에 봉긋하다. 산 속으로 깊숙이 걸음을 하니 아이들은 산삼이라도 발견한 듯 “곰발바닥 찾았다!” 하며 고함을 지른다. 곰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가장 먼저 맛본다는 곰취는 영락없는 곰발바닥 모양이다. 쌉쌀한 향과 맛이 좋아 고기를 먹을 때 쌈으로 곁들이면 좋은 나물이다. 

다시 골짜기를 돌아들면 두릅의 향연이 이어진다. 나무에서 싹이 올라오는 참두릅도 있고, 땅 속에서 얼굴을 내미는 땅두릅도 풍성하다. 모두 한껏 통통하게 살이 올라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찍어 먹을 생각에 침이 고인다. 

곰취를 한 솥 데쳐서 조물조물 무쳐 먹어볼까. 사진 / 최혜진 기자
김규환 촌장은 “산채원의 적당한 수분과 온도가 산나물을 풍성하게 한다”고 말한다. 사진 / 최혜진 기자

비탈길을 넘자 시원한 물소리가 선명해진다. 농원을 가르는 이 계곡물 덕분에 적당한 수분이 유지되어 산나물들이 더욱 풍성한 것이란다. 계곡에서 목을 축이고 골짜기를 따라 오르니 이번엔 산마늘이 곳곳에 싹을 틔웠다. <단군신화>에 웅녀가 쑥과 마늘을 먹고 사람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것이 바로 이 산마늘, 즉 명이나물이다. 정말 한 입을 떼어서 맛을 보니 마늘을 베어 문 듯 알싸한 향이 입 안에 퍼진다. 연이어 참나물, 산부추, 달래, 다랫잎, 방앗잎, 곤드레까지 갖가지 나물들로 산채원의 봄은 초록의 물결이다. 

“봄비가 내리면 고사리랑 고비가 올라오고, 뒤따라서 더덕이나 삽주 싹이 바닥에 쫘~악 깔리지요. 이곳이 해발 800m 고지라서 초여름까지도 산나물이 파릇파릇합니다.” 
이윽고 풍성한 나물밭에 자리를 깔고 앉아 부지런히 나물을 뜯는다. 시골에서 자란 아이들은 능숙한 손놀림으로 나물을 캐고 뜯어 채반에 척척 담아낸다. 나도 냉이는 부근의 흙을 살살 걷어내 뿌리 채 캐고, 산마늘은 잎을 똑똑 뜯어가며 눈치껏 ‘채취의 정석’을 밟아간다. 아닌 게 아니라 산나물은 성장할 부분을 남겨두고 조심조심 뜯어야 내년에도 잘 자랄 수 있다. 

산 속에서 냉이 찾기. 해강이와 솔강이는 이제 산나물 채취의 달인이 됐다. 사진 / 최혜진 기자
채반에 가득한 두릅을 계곡물에 씻고 있는 아낙들. 사진 / 최혜진 기자

갖가지 산나물로 가득해진 채반을 들고 내려오니 푸짐한 봄나물 식탁이 기다리고 있다. 산나물은 생으로 먹어도 맛있지만, 살짝 데치거나 물에 우려서 먹으면 더욱 부드럽다. 곤드레는 가마솥에 밥 지을 때 넣어 먹고, 머위는 삶아서 된장에 무치면 입 안에 알싸한 봄 향기가 가득하다. 또 돌나물로 물김치를 담그면 사각사각 씹히는 식감이 그만이다. 이렇게 재료와 궁합을 맞춰 조리해 먹으면 쌉쌀한 맛, 달달한 맛, 새콤한 맛이 입 안에서 봄의 하모니를 이룬다. 
겨우내 나른해진 몸과 축 처진 입맛이 ‘초록색 보약’으로 한껏 되살아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