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여름 가족산행기] 남양주 운길산 ~ 예봉산 능선 종주 근심걱정 두물머리로 휘익 던져버려요
[여름 가족산행기] 남양주 운길산 ~ 예봉산 능선 종주 근심걱정 두물머리로 휘익 던져버려요
  • 김선호 객원기자
  • 승인 2006.07.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이 돌멩이를 던지면 한강으로 떨어질거야." 한강을 향해 시원스럽게 열려있는 조망대.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여행스케치=남양주] 남양주 운길산은 늘 사람들로 북적인다. 운길산의 수종사 마당에서 두물머리를 가장 잘 조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수되는 두물머리를 제대로 보려면 운길산 정상에서 능선으로 이어진 예봉산까지 산마루를 걸어봐야 한다. 한강의 유장한 흐름이 산마루를 따라 이어져 마침내 남쪽과 북쪽의 물이 하나로 합쳐지는 장엄한 풍광을 만나게 된다.

운길산에서 예봉산까지 장장 12km의 결코 짧지 않은 능선길이지만 산세가 부드러워 한번쯤 도전해 볼 만한 코스다. 운길산 수종사 들머리는 최근 들어 포장도로가 신설되었다. 수종사까지 잘 닦인 포장도로를 이용해 차를 타고 손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하지만 산길은 걸어야 제 맛이라고 여기는 이들을 위한 길은 따로 있다. 상승곡선을 타듯 매끈하게 뻗어있는 포장길 한켠에 활이 굽듯 에돌아가는 산길이 운길산 가는 등산로이다. 한 사람이나 겨우 지나갈 정도의 조붓한 오솔길이며, 어쩌다 오가는 등산객 한둘이나 마주칠 뿐인 고요한 숲길이다. 

찰랑이는 나뭇잎이 만들어 내는 햇빛 그림자를 밟으며 고요한 숲길로 들어선다. 완만하게 굽은 산길을 걷는데도 금세 땀이 등줄기를 타고 흐른다. 바람이 반대편 산비탈에 갇혀 있었던가, 산중턱에 이르니 서늘한 바람이 한꺼번에 몰려온다. 

땀 흘려 산중턱에 다다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그 시원함은 여름 산행의 별미다. 땀이 흐르는 일은 내 몸 속 에너지의 환승작용일 뿐, 무더운 한여름에도 숲은 서늘함을 간직하고 있었다.

조붓하게 이어지는 산길을 벗어나면 다시 포장도로와 만난다. 바로 앞에 수종사 일주문이 보인다. 수종사에 갈 때면 으레, ‘삼정헌’에 앉아 두물머리를 바라보며 차를 마시곤 했다. 그걸 기억하는 아이들이 졸라대기 시작한다. 차 한잔 마시고 가면 안 되느냐고….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정상 능선을 따라 울창한 신갈나무숲이 이어진다.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운길산 정상 주변의 능선.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그런 아이들에게 시간상의 이유로 갈 길을 재촉하면서도 나 역시 내심 서운하다. 절 마당에서 두물머리를 바라다보는 것도 나중으로 미룬다. 오늘은 예봉산에서 또 다른 모습의 두물머리를 만날 것이므로!

수종사와 운길산으로 갈라지는 지점에서 흘깃 수종사 쪽으로 눈길 한번 주고 호흡을 가다듬는다. 본격적인 된비알이 시작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쉼터가 나올 때까지 가파른 오르막 계단을 걸어야 한다. 헉헉거리며 계단을 오르는데 내려오던 중년의 부부가 한창 말씨름 중이다. 운길산 산행 중 가장 난코스라 할 만한 그 길을 다닐 때면 ‘정상이 얼마나 남았냐’는 질문을 받게 마련인데, 남편되는 이가 ‘아직도 한참 남았다’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그럴 때는 ‘이제 얼마 안 남았으니 힘내서 오르라’고 해야지, 그런 식으로 말하면 어쩌느냐고 부인되는 이가 남편을 타박하는 중이었다. 나는 전적으로 부인의 입장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한발 한발 오르다 보면 가파른 오르막이 끝나고 턱하니 나무의자가 놓인 쉼터가 나타나기도 하는 법이니까.

짧은 휴식을 취하고 내쳐 운길산(610m) 정상으로 향한다. 운길산 정상은 오늘의 목표 지점이 아닌 잠시 거쳐가는 봉우리다. 운길산 정상에서는 한강을 볼 수 없다. 산으로 둘러싸인 송촌리와 시우리의 풍경이 평화롭게 펼쳐질 뿐이다. 정상 주변으로 물결치듯 이어진 능선이 장관이다.

운길산 정상에서 내려서니 한동안 암릉 구간이다. 아이들이 특히 재밌어 하는 암릉 구간이지만 운길산의 등줄기 위쪽에 잠깐 감질나게 자리할 뿐이다. 주변에 신갈나무숲이 울창하게 들어서고 부드러운 흙길이 능선으로 이어져있다. 하루 종일 걸어도 좋을 것 같은 부드러운 흙길은 그러나 오래 걷는 동안 조금씩 무료해지기 시작한다. 철쭉나무가 섞여든 신갈나무숲도 별 변화가 없다.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두물머리와 일직선상의 견우봉.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옛날엔 선비들이 이 산을 만나면 임금이 계시는 도성이 가까워졌다며 예를 갖췄다.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자칫 무료해질 무렵 고빗길을 만났다. 운길산과 예봉산 중간의 적갑산(561m)에 닿기 전이었을 것이다. ‘새우젓 고개’라는 엉뚱한 이름의 고개를 힘겹게 넘었다. 산중에 때 아닌 ‘새우젓’이라니 이름 풀이로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느라 로프에 의지해서 올라야 하는 고개를 힘든 줄 모르고 넘었다.

또 어느 틈에 적갑산을 넘어왔는지 예봉산을 가리키는 이정표가 세워진 삼거리에 닿았다. 예봉산 3.7km 지점이다. 걸어 온 길만큼 걸어가야 하는 거리다. 조금씩 피로감이 몰려온다. 다행인 것은 울창한 숲이 천연 냉장고 역할을 해주어 더위를 잊게 해주는 것이고, 그리 가파르지 않은 능선길이 이어져 있다는 점이었다.

언제부터인지 한강의 물길이 오른쪽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곳곳에 조망대가 있어 다리쉼을 하며 한강 주변부를 조망하기 좋은 곳이 눈에 띈다. 하남시와 미사리조정경기장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보이는 곳에 쉼터가 있다. 능선 종주의 중간지점이다.

조망을 시원하게 하기 위해서였는지 앞쪽으로 나무가 한 그루도 없다. 손을 뻗으면 한강물에 손이 닿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이 돌을 던지면 한강에 닿지 않을까?’ 느닷없는 아이들의 돌팔매를 말려야 했다. 산중에서 눈앞에 펼쳐진 한강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느껴지긴 아이들도 마찬가지였나 보다.

마침내 예봉산. 예봉산의 조망은 더 넓고 시원하게 트였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하나로 합쳐진 한강의 유장한 흐름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느껴진다. 대자연의 파노라마 앞에서 가슴이 뭉클해지는 순간이다.

예봉산(683m) 정상에서 파는 ‘잣과 옥수수’로 빚은 감로수 한잔을 맛나게 비우고 하산을 서두른다. 그러나 하산 또한 그리 간단치 않았다. 곧장 하산하는 길이 아닌 예빈산 코스로 들어섰기 때문이다. 조안리쪽으로 하산해서 차를 둔 운길산으로 갈 생각이었는데, 조안리로 하산하는 산길이 거의 폐쇄 지경이다.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태극기 두 개가 바람에 휘날리는 예봉산 정상. 2006년 7월. 사진 / 김선호 객원기자

직녀봉과 견우봉을 거느린 예빈산에서 보는 두물머리 풍경이야말로 능선 종주의 백미라고 하지 않던가. 묵묵히 따라오는 아들 녀석을 앞장세우고 아직도 멀었냐는 불평을 숨기지 않은 딸아이를 다독이며 마지막 능선길로 들어선다.

마침내 예빈산에 도착했을 땐 발에 힘이 풀려가는 느낌이 들었다. 뒤를 돌아본다. 굽이치는 능선이 끝도 없이 이어졌다. 첫 관문이었던 운길산에서부터 저 끝없이 이어지는 능선길을 한발 한발 걸어 예까지 왔구나 싶어 가슴이 뿌듯해지는 순간이다. 

다산 정약용 선생이 형인 정약전 선생과 자주 다니러 왔을 뿐 아니라 학문의 도를 깨우쳤다는 예빈산 직녀봉은 비슷하게 솟아오른 견우봉으로 이어졌다. 하늘나라 견우와 직녀는 오작교가 있어 칠월칠석날 재회가 가능하다면, 예빈산 견우와 직녀는 사람들의 걸음걸음이 가교 역할을 해주는 것이리라. 견우와 직녀는 예빈산에서만큼은 외롭지 않을 거라는 생각을 하며 산봉우리를 올랐다.

운길산을 타고 흘러온 능선이 마지막 정점을 찍듯 견우봉이 우뚝 서 있는 지점에 도착했을때 나도 모르게 탄성이 절로 나온다. 사방이 막힘이 없이 뚫렸고, 견우봉과 일직선상에 북한강과 남한강 물이 합쳐지는 두물머리가 눈앞에서 펼쳐져 있다. 

자못 감동적이기까지 한 풍경이었다. 내 발걸음에 실려온 산줄기와 한강의 유장한 흐름이 하나로 합쳐지는 순간이었다. 굽이쳐 내달리던 능선이 마침내 강물에 산자락을 드리운 두물머리, 그곳을 향해 하산을 서두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