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자전거 여행] 북한산 맑은 물이 흘러내리는 우이천 물고기가 ‘버글버글’지리산이야? 서울이야?
[자전거 여행] 북한산 맑은 물이 흘러내리는 우이천 물고기가 ‘버글버글’지리산이야? 서울이야?
  • 김대홍 기자
  • 승인 2008.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0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산과 천이 함께 있으니 풍경이 정겹다. 2008년 10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여행스케치=서울] 바닥까지 환하게 보이는 맑은 물을 서울에선 보기 힘들다. 아니, 모두들 볼 수 없다고 믿는다. 서울 동북부 지역에 있는 우이천(牛耳川)을 보기 전까진 그렇게 믿어도 된다. 북한산에서 시작한 물이 흘러내리는 우이천은 깨끗하기로는 서울에서 손꼽히는 곳이다. 게다가 천에 가득한 물고기들은 이곳이 수족관인지 헷갈릴 정도다. 

산은 높고 집은 낮다
우이천은 중랑천의 제1지류로, 중랑천 지류 가운데 가장 크다. 하지만 중간에 복개구간이 있어 중랑천에서 우이천까지 바로 이어지지 않는다. 중랑천 자전거길을 탔다면 차도를 잠시 달려야 하며, 접이식 자전거를 지하철에 싣고 간다면 석계역에서 내려 복개주차장을 지나 우이천 자전거길에 들어갈 수 있다.

우이천이라는 이름은 하천 상류에 있는 북한산 백운대와 인수봉이 마치 소 귀처럼 보인다고 해서 쇠귀봉이라 부른 데서 비롯했다. 북한산과 도봉산이 이어지는 소귀고개(牛耳嶺) 아래서 흘러내리는 물길이라는 뜻도 있다. 우이천의 또 다른 이름은 소귀내다. 인근 우이동의 출처가 바로 우이천이다. 2008년 4월 월계동 우이천 가로공원에 ‘가족’이란 주제의 소 조형물이 설치됐다.

우이천은 유로면적 49만9800㎡, 유역면적 27.43㎢에 천 길이가 8330m 정도 되지만, 중랑천에서 석계역까지 자전거길이 없는 구간과 석계역 부근과 상류 복개구간을 빼면 실제 자전거길은 얼마 되지 않는다. 그래도 자전거길과 찻길을 넘나들며 달리는 맛이 괜찮다. 자동차가 많이 다니지 않으며, 속도도 빠르지 않다.

석계역은 인근 석관동에서 ‘석’, 월계동에서 ‘계’자를 가져와 ‘석계’라고 이름을 붙였다. 여기서 자전거 여행이 시작된다. 주변이 다소 복잡하지만, 내 흐름과 발원지인 북한산을 잘 살피면 대략 상류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

2008년 10월. 사진 / 김대홍 기자
물에 빠진 동무를 구하는 아이들. 2008년 10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석계역에서 방향을 잡아 달리다 보면 주차장 구간을 지난다. 한때 하천을 덮어 주차장을 만드는 게 유행이었다. 자동차는 늘고, 땅이 부족하니 생각한 궁여지책이었다. 지금은 주차장을 걷어내는 게 유행이다. 자동차는 여전히 늘고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게 있음을 뒤늦게 깨달은 것이다. 

천 주변 집들은 낮고, 멀리 산은 높다. 그 풍경이 무척이나 정겹다. 하늘을 찌를 듯 아파트 단지가 가득했다면 이런 풍경을 보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오랫동안 개발 바람에서 벗어나 있던 이곳 땅값도 들썩이기 시작했다. 오래된 집들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고층 아파트들이 들어선다면 어디서나 북한산 자락을 볼 수 있는 여유도 줄어들 것이다.

잠시 뒤 자전거길이 나온다. 폭이 좁고, 사람이 많으니 천천히 달리는 게 좋다. 자전거길 부근엔 광운대가 있다. 1934년 5월 20일 설립된 조선무선강습소가 모태다. 역사가 70년을 넘겼으니 나이가 적지 않다. 

멀지 않은 곳엔 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놀이동산 ‘드림랜드’가 있다. 1987년 문을 연 이 공원은 서울 동북부지역의 유일한 놀이동산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1988년 과천 서울랜드 개장, 1989년 잠실 롯데월드어드벤처 개장으로 점점 경쟁력을 잃었고, 2000년 이후엔 거의 방치상태다. 서울시는 공원부지 34만7931여㎡에 인근 땅 90만5278㎡(약 27만4000여 평)을 더해 2013년까지 공원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2008년 10월. 사진 / 김대홍 기자
하천에서 우연히 건진 헬멧을 걸고 이제 더 달려보자. 2008년 10월. 사진 / 김대홍 기자

물 반 고기 반, 팔뚝만한 물고기가 가득
천천히 폐달을 저으며 천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헬멧 하나가 천 중간에 걸려 ‘뱅글뱅글’ 돌고 있다. 보기에 멀쩡하다. 누군가 상류에서 물놀이를 하다 떨어뜨렸는데, 그만 놓친 듯하다. 손을 뻗었으나 한참 멀다. 마침 몸에 지니고 있던 우산을 빼내 5분여 동안 애를 쓴 끝에 헬멧을 구출했다. 

공짜 헬멧이 생긴 게 기분 좋아 휘파람을 불고 있는데, 저 아래 사람들이 20~30명 모여 있다. 도대체 무슨 볼거리가 생겼나 싶어 고개를 들이밀었더니, 세상에…, 팔뚝만한 고기 수십 마리가 모여 있는 것이다. 한두 마리도 아니고, 한강에서 큰 고기 수십 마리를 본 것은 처음이다. 물 반 고기 반이란 말을 이럴 때 써야 할 듯하다.

더 놀란 것은 큰 고기떼가 그곳에만 모여 있는 게 아니었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타고 천을 거스르는 동안 내내 고기떼가 노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물이 맑아 천 바닥까지 또렷이 보였다. 늦더위를 피해 나온 동네 주민들과 아이들이 곳곳에서 물놀이를 즐기고 있었다. 모래바닥이니 아무리 물장구를 쳐도 흙탕물이 생기지 않는다. 모래톱과 바위, 물풀 등이 적당히 어우러진 풍경은 서울이라기보다는 지리산 어느 계곡에 온 듯한 착각이 들게 했다.

물가까지 가서 물 구경을 하다 차마 발은 담그지 못하고, 손으로 물만 적시다 올라왔다. 풍경에 감탄하며 계속 페달을 밟는데 중간쯤에 아이 셋이 모여 있는 것이 보인다. 아이 한 명이 물속에서 목만 내밀고 있고, 둘은 위에서 아이 팔을 잡고 있다. 처음엔 장난치는 줄 알았다. 

아, 그런데 물 흐름을 늦추기 위해 쌓은 둑 중간에 있던 물 통로에 아이 몸이 절반 정도 빠져 빨려 들어가는 것을 아이들이 붙들고 있는 것이었다. 뒤늦게 상황을 알아차린 어른들이 둑 위로 올라갔다. 어른 서넛이 위에서 끌어당겼으나 수압을 이기지 못했다. 누군가 물속에 들어가 등 뒤에서 끌어내야 했다. 그러자면 몸을 물에 담가야 했다. 결단이 필요한 순간, 머리가 허연 어르신이 물속에 풍덩 들어가 아이를 뒤에서 끌어냈다. 이런 일을 막기 위해서 물 통로에 안전철망이라도 씌워야 할 듯하다.

이런 일이 있었거나 말거나 천 곳곳에선 아이들이 여전히 놀이에 빠져 있다. 

2008년 10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옹기박물관. 아담한 돌담이 정겹다. 2008년 10월. 사진 / 김대홍 기자

덕성여대, 국립4·19민주묘지, 옹기민속박물관
수유교까지 가니 자전거길이 끝이다. 다리 위로 올라가 다시 차도를 타기 시작했다. 벽에 그림이 그려져 있다. 체 게바라다. 그림 솜씨가 예사롭지 않다. 

주변 집들은 대부분 단층집들이다. 담과 옥상에 풀들이 나 있고, 벽엔 평상이 놓여 있다. 어르신들이 그곳에 한가롭게 앉아 있다. 나도 덩달아 마음이 포근해진다. 머리를 길게 늘어뜨린 능수버들이 꽤 울창하다. 

차도는 덕성여대에서 오른쪽 길이 사라진다. 덕성여대는 1920년 조선여자교육회가 운영하던 여자야학회가 모태다. 교문 앞을 우이천이 흐른다. 다리를 건너 등교하는 맛이 꽤 괜찮겠다는 생각이 든다. 

왼쪽 길을 따라서 더 올라가보자. 근처엔 국립4·19묘지가 있다. 1960년 4월 19일 이승만정권을 무너뜨린 민주혁명을 기념해 만들어진 묘지다. 1963년 묘지가 만들어졌고, 2006년 국립4·19묘지에서 국립4·19민주묘지로 이름이 바뀌었다. ‘민주’라는 이름이 들어갔으나, 아직도 국립4·19묘지로 많이 불린다.

덕성여대 부근엔 옹기민속박물관이 있다. 아담한 박물관이다. 천 바로 옆에 있어 찾기도 어렵지 않다. 1991년 고려민속박물관이란 이름으로 개원해, 1993년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도봉 10대 명소 중 하나로, 옹기 3000여 점을 포함해 총 5000여 점의 유물이 있다.

우이천 여행은 여기까지다. 여기서 더 올라가면 우이계곡과 우이동유원지가 나오고, 내처 북한산과 도봉산 등산도 즐길 수 있다. 좀 일찍 길을 나섰다면 이쯤에서 자전거를 세워두고 등산을 한 다음 천에서 땀을 식히는 것도 좋을 듯 싶다.

서울에 아직도 이렇게 맑고 조용한 곳이 있다는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도심의 번화함과 복잡함에 지친 이들에게 우이천은 피난처 같은 곳이지만, 언제까지 이 같은 모습을 지킬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곳 또한 어쩔 수 없이 서울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