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추억여행] 20여년 만에 찾은 내 고향 전남 강진 고향은 우리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추억여행] 20여년 만에 찾은 내 고향 전남 강진 고향은 우리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 이수인 기자
  • 승인 2006.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어린시절을 보낸 강진으로 떠나는 추억여행.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여행스케치=강진]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살았던 강진으로 추억여행을 계획했을 때만도 ‘지금 그곳은 어떻게 변했을까?’하는 막연한 호기심 정도였다. 그러나 마을 어귀에 들어서자 가슴이 두근거리기 시작한다. 20여년의 세월을 훌쩍 뛰어넘어 어린 시절로의 추억여행이라. 어찌 가슴 설레지 않을 수 있을까.

춘전리 ‘북초등학교’정문이라며 내려주고는 택시는 왔던 시골길을 되돌아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학교 운동장 너머로 두어 개의 희미한 불빛이 있을 뿐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우둑하니 섰다.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당황스럽다. 더듬더듬 교문 앞으로 다가가 학교 문패를 확인해본다. 여기가 맞다.

마을 어귀를 들어서자 저만치 옛집이 보이는데 가슴이 뛰기 시작한다. 논두렁 사이로 난 길 끝에 세 채의 집이 옹기종기 모여 있었는데, 지금은 두 채만 남아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사이좋게 마주 앉았다. 숨바꼭질할 때면 숨곤 하던 대나무 숲도 그대로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춘전리 북문초등학교의 운동장 모습.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마을회관 앞 고목.  그 속에는 붉은 철쭉이 심어져 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목조건물이었던 옛 우리집은 이미 오래전에 헐리고 말쑥한 벽돌집이 들어섰다. 마당 한가운데를 지키고 섰던 키 크고 오래된 감나무도 이젠 없다.‘쐬기’라고 부르는 송충이가 많아서 그 밑을 지날 때면 머리나 어깨 위로 뚝뚝 떨어질 정도였다. 덜 익은 풋감을 베어 물면 떫은 맛이 한입 가득 차서 홍시가 되기 전엔 먹을 수가 없었다.

가을이면 높은 나뭇가지를 목 아프게 쳐다보며 감이 떨어지기만 기다렸다. 감나무 옆 높이 쌓아둔 짚단 위로 홍시가 떨어지곤 했는데, 종일 뛰놀고 출출해지는 느지막한 오후가 되면 그 위로 기어올라 홍시를 찾아냈다.

어린 시절 내내 달달한 군것질거리를 주던 감나무가 베어졌다는 것을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눈으로 확인하자 추억 한 자리를 싹둑 베어낸 것처럼 허전하다.  

논밭 사이로 구불구불 흐르던 개천이 시멘트를 발라 잔득 힘을 준 채 반듯하게 흘러간다. 계곡에서 굴러 내려온 크고 작은 바위가 참 많았는데 시골아이들의 놀이터였다. 비온 뒤 둑 바로 밑까지 넘실거리던 물이 빠지면 동네 깨복쟁이 친구들과 우르르 몰려갔다.

웅덩이에서 첨벙첨벙 물장구를 치거나 둥그렇게 돌멩이를 쌓아 소꿉놀이 집을 지었는데, 항아리조각을 빻은 붉은 가루에다 뜯어온 풀을 버물리면 반찬이 되었다.‘여보’‘당신’하며 노는 엄마아빠 놀이가 싫증나면 새총을 들고 나간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논밭 한가운데 있는 옛 집의 자리가 보이기 시작하자 가슴이 뛴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숨바꼭질 할 때면 자주 숨던 대숲이 그대로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저수지 옆 개복숭아나무 가지 위에 앉은 참새들이 표적이다. 천둥벌거숭이처럼 날뛰는 아이들에게 ‘딱 걸린’운 없는 녀석들은 맛난 구이가 되어 어린 것들의 입을 즐겁게 해주곤 했다.  

동갑내기 친구였던 영석이네 집 수돗가에선 물에 담긴 볍씨가 불어가고 있다. 한참동안 마당을 서성여도 아무런 인기척이 없자 가만히 유리창문 너머로 집안을 들여다봤다. 세간이 깔끔하게 정리된 마루의 한쪽 벽에 가족사진이 걸려있다. 지금도 생각나는 쌍꺼풀 진 큰 눈매의 사내아이가 누구인지 단박에 알아볼 수 있었다.

걸핏하면 치고받고 싸웠던 영석이는 내 얼굴에 종종 손톱자국을 남겼다. 보다 못한 아버지가  “여자아이 얼굴에 큰 흉이 지게 생겼으니 못된 네 손가락에 벌을 줘야겠다”고 겁을 줬다. 아직도 그 큰 눈에서 눈물을 뚝뚝 떨어뜨리던 모습이 선명하게 생각난다.  

외가가 있는 윗마을로 향하는 길. 양쪽으로 펼쳐진 너른 보리밭에선 바람이 불 때마다 푸른 물결이 일렁인다. 누에치는 집이 많아 뽕나무 밭이 참 많았는데 지금은 보리밭 사이사이 딸기 비닐하우스와 키위농원이 서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빈집만이 남은 외가 마당에는 집풀만이 무성하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세간은 그대로인데 사람만 없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오랫동안 버려둔 외가의 문을 조심스레 열고 들어가자 웬만한 세간부터 방바닥에 깔린 이부자리까지 그대로다. 어느날 갑자기 사람들만이 흔적 없이 사라져 버린 것 같다. 부엌에 걸린 달력이 97년 7월이다. 이 집의 시간은 그때 멈춰버린 것이다.  

토방 위에 앉아 나른한 봄 햇살을 받는다. 금방이라도 화단을 헤집고 나온 오리들이 꽥꽥거리며 지나갈 것 같은 마당에는 잡풀만이 무성하다. 사람마저 버리고 떠난 집을 새들은 잊지 않았는지 처마 밑에 제비집이 세 채다. 이곳에 살아주어 고맙다.  

하릴없이 마을을 서성이는 외지인이 이상했는지 길에서 만난 주민들이 무슨 일이냐고 묻는다. 이제 아는 이도 거의 없이 향수만 남은 곳이기에 조용히 마을만 둘러보려 했는데 곤란하게 되었다. 할 수 없이 예전 살던 집 자리를 가리키며 부모님을 말하자 한 마을 살던 이의 다 큰 딸내미가 왔다면서 사람들이 모여든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단짝 동무였던 영석이네 집마당에는 마늘이 한창이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한 마을에 살던 이의 다 큰 딸이 찾아왔다며 반겨준 동네 아주머니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퀴위농원 옆에서 얼가리 배추꽃이 활짝 피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워메, 그럼 니가 광주떡 딸이냐? 시째나 니째냐?” 오랜 서울살이로 부모님조차 거의 쓰지 않는 사투리가 정겹다. 아버지와 어린시절을 함께 했다는 서춘떡 아줌마는“아야, 느그 아부지랑 꼭 타겠다잉”하며 얼굴을 쓰다듬어준다.

떠나온 후 방학이면 잠깐씩 다녀가긴 했지만 언제부턴가 강진은 더 이상 가지 않는 곳이 되었다. 그리고 잊혀졌다. 가끔 고향이 어디냐는 질문을 받을 때면 어떻게 답해야 할지 혼란스러웠다. 강진이라고 말하기에는 그곳의 추억이 너무 짧은 것 같아서다.

그러나 긴 시간을 되돌아가 만난 그곳엔 밭두렁의 풀 한 포기조차 나를 반겨주었다. 강산이 두 번이나 바뀌는 사이 많은 것은 변했지만 산야는 아직도 나를 기억하고 있었나 보다. 이제 망설임 없이 대답할 수 있다. “제 고향은 강진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