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여행의 재발견] 경기도 포천 아트 밸리 폐석산의 화려한 부활
[여행의 재발견] 경기도 포천 아트 밸리 폐석산의 화려한 부활
  • 서태경 기자
  • 승인 2009.0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공생의 장에 자리한 쉼터.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여행스케치=포천] 버려두었으면 흉물이 되었을 폐채석장이 국내 유일의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건축 자재인 화강암 채취 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했던 땅을 친환경적으로 복구한 것이다. 생각을 바꾸면 애물단지도 문화예술의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훌륭한 예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지하수가 흘러들어 신비스러운 호수를 연출한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포천석으로 유명한 전통 화강암 산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의 빅토리아에는 부차트 가든(Butchart Garden)라는 유명한 인공정원이 있다. 약 100여 년 전 석회암 채석장으로 사용되던 곳을 한 부부가 가꾸기 시작해 오늘날엔 북미를 대표하는 공원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말이 인공정원이지 그 규모와 경치에 있어서 ‘인공’이라는 말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그런 부차트 가든에 견줄 만한 곳이 우리나라에도 생겼다. 바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자리한  아트 밸리(Art Valley)다. 

경기도 포천은 국내 최대 화강암 생산지로 1970~1980년대 집중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한국산업의 근대화에 크게 기여했다. 일찍이 이곳에서 생산된 화강암은 고려 전기 석불의 재료로 사용되었고, 근대에는 각종 건축자재로 활용될 정도로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실제 포천석은 청와대와 국회의사당은 물론, 서울지하철 역사, 독도 노래비 등의 건축자재로 사용된 바 있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화강암 채취를 위해 발파작업을 했던 구멍이 남아 있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그러나 현재 포천만도 총 11개에 달하는 폐채석장은 산업화 과정의 대표적 갈등 사례로 꼽히기도 한다. 약 40여  년간 근대화에 기여한 점은 인정되지만 자연환경 파괴라는 1차적인 폐해 외에도 채석 시 발생하는 엄청난 소음과 먼지, 차량 통행 제한 등 주거환경 피해의 주범이라는 비난도 피할 수 없었다. 그러던 차에 관내 산재된 폐채석장의 개발 방안이 모색되기 시작했고, 그중 입지조건과 규모 등을 고려해 신북면 기지리 282번지 일원을 아트 밸리로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2005년 1월부터 2007년 말까지 주차장과 전망 데크, 화장실 등을 비롯한 전시관 3개 동을 완공했고 2009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창작벨트 조성’을 위한 2차 사업이 시작됐다. 

당초 아트 밸리는 2008년 개관 예정이었으나 지난 10월 문화체육관광부의 국정과제사업으로 선정되면서 공식 개관이 올해로 늦춰졌다. 2차 사업 기간인 올 상반기에는 모노레일을 비롯해 각종 문화공연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정비할 계획이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라디오를 형상화한 체험 휴식의 장 전시관.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아트 밸리의 권혁관 팀장은 “아직 정식 개관을 하지 않았는데도 이곳을 한 번 다녀간 사람들의 입소문으로 주말에는 하루 평균 100명 정도의 관람객이 찾고 있다”며 “민자유치사업의 일환으로 매표소에서 전시관에 이르는 460m 구간에 금년 상반기 중 모노레일이 건설되면 노약자나 아이들도 보다 쉽게 관람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훼손된 환경의 치유 그리고 공생
아트 밸리는 모두 네 개의 테마로 조성이 되었다. 만남, 공생, 치유, 체험·휴식의 장이다. “폐채석장을 활용한 문화공간을 구상하면서 처음엔 석벽 조각을 생각하기도 했는데 그렇게 되면 한번 훼손한 자연을 두 번 파괴시키는 꼴이 되어 폐석산을 그대로 두기로 했다”는 것이 시 관계자의 설명. 사실 2001년부터 방치되기 시작한 폐석산은 인근 주민들 사이에선 숨겨진 휴식공간으로 여겨질 정도로 곳곳에 비경을 간직하고 있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전망대와 계단이 마련되어 있어 산책하기 좋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인공적으로 산을 폭파하고 화강암을 채취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풍광만큼은 빠지지 않기 때문. 우스갯소리처럼 들리지만 이곳을 아트 밸리로 조성하기 시작하자 주민들이 꽤나 서운해 했다고 한다. 그들만의 파라다이스가 만천하에 공개되니 그럴 만도 할 것이다. 현재는 안전상의 이유로 호수 출입이 금지되고 전망 데크에서 감상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한다. 그러나 멀찌감치 떨어져 감상하는 풍광도 대단하다. 

의정부에서 온 김진희 씨는 “한 블로그에서 아트 밸리 사진을 보고 찾아오게 되었는데 포천에 채석장이 있다는 것은 들어본 적이 있지만 이렇게 특이한 곳일 줄은 생각도 못했다”며 “모노레일이 완공되면 부모님을 모시고 다시 한 번 와보고 싶다”고 말했다.

입구 주차장에서 주보행로까지는 경사가 약 23도로 다소 힘이 들지만 양옆의 폐석산을 감상하다보면 어느새 ‘체험·휴식의 장’에 이른다. 아날로그 라디오를 형상화한 전시동과 작은 야외공연 무대가 마련되어 있어 봄가을에는 야외활동을 겸하기에도 좋을 듯싶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경사로에는 곧 모노레일이 설치될 예정이다. 2009년 1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체험·휴식의 장’에서부터 ‘공생, 치유의 장’은 자연스럽게 산책로로 연결이 된다. 특히 ‘치유의 장’으로 이름 붙여진 공간은 자연적으로 지하수가 흘러들어 신비스러운 호수를 연출한다. 7000㎡ 크기에 깊이가 20m 내외로 1급수에만 산다는 버들치와 가재 등이 서식하는 것도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인간에 의해 이미 파괴되었지만 또다시 스스로 생명을 움트게 한 자연에 놀랍고도 고마운 마음이 든다. 

치유의 장에서 또 하나 눈여겨보아야 할 곳은 야외 공연무대. 아래로는 물이 흐르고 뒤로는 석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어 콘서트 등을 하기에 제격이다. 앞으로 이곳에선 다양한 공연을 할 예정이라 올여름 즈음에는 폐석산 한가운데서 재미있는 공연을 감상하며 피서를 즐길 수 있을 듯싶다. 이제 시설 부분은 거의 완료되었고 체험이나 지역 연계 프로그램 등을 확충할 계획이다.

포천 아트 밸리가 근대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창작벨트의 성공적인 모델로 자리를 잡는다면 이후에는 다른 폐채석장도 문화공간으로 개발하는 데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그냥 버려두면 흉물이 되었을 폐석산의 재발견이자 화려한 부활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