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이현동의 사찰기행] 청양 장곡사 칠갑산 긴 계곡의  녹음에 젖다
[이현동의 사찰기행] 청양 장곡사 칠갑산 긴 계곡의  녹음에 젖다
  • 이현동 객원기자
  • 승인 2006.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칠갑산의 청량함이 느껴지는 장곡사.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여행스케치=청양] 걷는 것만으로도 턱턱 숨이 차오르는 더운 날에 장곡사에 가보자. 칠갑산의 푸름이 청량감을 줄 것이며, 그 청량감이 도시를 떠난 맛을 제대로 느끼게 해 줄 것이다. 장곡(長谷)이라고 하지 않던가. 비록 계곡이 짧다 하여도 그 푸름은 길지 않겠는가. 

이번에는 혼자 가기 싫었다. 지난번에 혼자서 왔다가 칠갑산에 퍼지는 노을과 장곡사에 내리는 어둠에 그만 발을 옮기지 못하고 서러움에 아파하지 않았던가! 봄은 상처 같은 것. 언젠가 다시 돋아나 제 살점을 뚫고 까만 밤하늘의 별처럼 눈물로 맺힌다. 그래서 장곡(長谷)에 남겨진 봄이 싫었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봄이 가고 녹음이 가득한 장곡사에 다시 사람들과 함께 찾았다.

사람이 사람을 만났을 때, 그 나이를 묻는 것처럼 장곡사에게 나이를 묻는다. 장곡사에 홀로 계신다는 주지 스님에게 물으려 했더니 바쁜 일로 절을 비우고 대신 사무장님이 답을 주신다. 장곡사는 아마도 신라 말, 서산의 보원사에서 구족계를 받으신, 그 유명한 보조국사 체징이 창건했을 것이라고 한다. 천년을 넘긴 절이다. 사람으로서 그 천년을 더듬기에도 부족할 터, 그래도 애써 역사의 흔적들을 찾아본다.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나무로 둘러싸여 있어 신비한 느낌을 준다.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그랬다. 처음 절에 갔을 때에는 그냥 ‘둘러보기’를 했다. 휙 돌아보고 ‘볼게 있다, 없다’ 고 말했다. 그러다 다시 찾을 이유가 생긴다. 누군가 내가 보지 못했던 그것을 보았냐고 묻거나 혹은 어디선가 내가 보지 못한 것의 사진이라도 가져오면 다시 절을 찾는다. 그때는 자세히 살피면서도 ‘듣기’가 되고 어느새 ‘느끼기’가 된다. 

장곡사에는 상대웅전과 하대웅전이 있다. 상대웅전이 훨씬 높은 곳에 있다. 상상해보라. 그 상대웅전 앞에 서서 하대웅전 있는 곳으로 떨어지는 눈과 비, 그리고 내 눈 아래로 내리는 눈과 비를. 

장곡사의 상대웅전 앞에 서서 이 이야기를 듣는 순간, 눈앞에 생생하게 상상의 나래가 펼쳐진다. 비가 내리지 않고 눈이 내리지 않지만 바람이 올라오고 내려서는 것이 온몸으로 느껴진다. 그러나 아직도 나는 그렇게 ‘느끼기’가 부족한 것 같다. 그것도 양심처럼 그냥 자라는 것이 아니라 키워야하는 것인가 보다. 

장곡사에는 특별함이 있다. 다른 절에서는 도저히 찾을 수 없는, 유래가 어찌 되었는지 절에 계시는 스님조차 잘 모르는 그런 특별함이다. 바로 대웅전이 둘이라는 것인데, 그 대웅전도 사실 대웅전이라고 하기에 좀 난감한 면이 없지 않다.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하대웅전. 다포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하대웅전 내 금동약사여래불좌상.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아래 있어 하대웅전이라고, 그보다 높은 곳에 있어 상대웅전이라고 부르지만 이상하게도 두 대웅전 모두 석가모니불을 모신 게 아니라 하대웅전에는 금동약사여래불을, 상대웅전에는 철조비로자나불, 철조약사여래불 그리고 소조아미타불을 모셨다. 

사실 장곡사를 찾는 이유 중 중요한 것이 바로 이 대웅전 때문일 것이다. 도대체 왜 대웅전이 둘인가? 그런데 이 호기심은 사실 어리석음에 지나지 않는다. 장곡사에 가서 물어보라 왜 둘인지, 왜 어리석은 질문이 되는지? 

하대웅전에서 상대웅전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그 경사가 심하고 높아 만만치가 않다. 먼저 오르는 이를 보고 있노라면 긴 만행을 떠난 수도승 같은 기분이다. 한 계단 한 계단 오르면서 나 또한 만행의 수도승이 되어본다. 그러나 아직도 속세에 어지러운 탓인지 제 스스로 자세가 자꾸 흐트러진다. 아이구! 욕심과 집착이 가득한 어리석은 중생이 아니던가! 그래도 수도승이든 어리석은 중생이든 어찌 되었든 계단은 누구든 올라설 수 있다. 상대웅전이다.  

보물로 지정된 하대웅전도 그 나름으로 상당한 가치가 있지만, 상대웅전에 서면 하대웅전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상대웅전 내에는 세 분을 모셨는데, 철조약사여래불은 10세기 전반에, 철조비로자나불은 고려시대, 소조아미타불은 조선시대 만들어졌다.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상대웅전으로 올라가는 계단.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고려시대 창건한 상대웅전. 2006년 6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특히 철조약사여래불은 보기 드물게 방형의 석조 대좌 위에 올려져 있고 불상 뒤 광배는 후대에 따로 나무로 만들었다. 누군가 이 불상을 보고 돌과 철과 나무의 조화라고 이야기한다. 그렇다. 전혀 다를 것 같은 세 가지가 뜻밖에 하나 안에서 조화롭지 않은가. 그것 참! 

장곡사의 국보인 미륵괘불탱은 다음 인연을 기다려야 했다. 함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인데, 애석하게도 그 ‘함부로’에 우리가 해당한다. 그렇다고 원망하지 않는다. 

장곡사는 규모는 작지만 결코 작은 절이 아니다. 칠갑산의 긴 계곡처럼 긴 역사가 있고 긴 여운을 주는 절이다. 비 오고 눈 오는 날 장곡사에 가서 그대 눈 아래로 떨어지는 눈과 비를 한번 보라. 그 길에 나도 동행하리니 그때서야 제 악업을 씻고 하얀 마음으로 채우지 않을까. 오늘도 장곡사를 생각하면 그 상대웅전 앞에 함께 섰던 이들의 미소가 떠오른다. 시원한 바람에 자연스럽게 피어나던 그 미소, 부처가 그 안에 있고 우리는 장곡사에 바로 있지 않았던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